국가정보원(국정원)은 러시아에 파병된 북한군에 '폭풍군단'이 포함됐다고 보며 "10대 후반이 일부 있고 주로 20대 초반이 많을 것으로 추정한다. 그러나 기본적으로 폭풍군단이 받아야 할 훈련들은 이미 받은 군인이라고 봐야 한다"고 밝혔다. 폭풍군단은 북한 제11군단의 별칭으로, 대표적인 특수부대로 꼽히는 부대다.
국회 정보위원회는 29일 오후 서울 서초구 내곡동 국정원에서 비공개로 국정감사를 진행했다. 감사 종료 후 여야 간사인 이성권 국민의힘 의원과 박선원 더불어민주당 의원은 국정원장과 간부의 답변을 언론 브리핑을 통해 전했다. 양당 간사에 따르면 국정원은 '북한 파병군'에 대해 "결코 전투 능력을 낮게 평가해서는 안 된다"며 "변수가 될 수 있는 것은 우크라이나·러시아 전쟁이 현대전의 특성을 갖고 있기 때문에 이를 경험하지 못한 북한군의 전투력은 미지수일 수 있다"고 했다.

국정원은 제11군단장을 지낸 김영복 조선인민군 총참모부 부총참모장을 포함해 북한 고위급 군 관계자들이 러시아로 투입됐을 수 있다고 보고 있다. 국정원장은 이날 감사에서 "김영복을 포함한 선발대가 전선으로 이동 중이라는 첩보가 있는데 이를 확인 중"이라며 "북한 파병군이 (러시아) 쿠르스크로 이동하는 것이 임박해지고 있다는 것을 시사하는 측면도 있을 수 있다"고 발언했다.
국회 정보위원회 소속의 한 의원은 북한이 주장하는 '무인기 침투'와 관련해 질문했다. 조태용 국정원장은 '우리나라 백령도에서 출발한 무인기가 평양 상공을 왕복했다고 주장하는 의도가 무엇이냐'는 질문에 "남-남(남한과 남한) 갈등을 유발하기 위한 측면이 첫째로 있다"며 "또 북한 내부 결속을 위해 와전된 측면이 있다"고 설명했다.

국정원은 북한과 중국의 관계에 대해서는 "북한과 중국 관계가 나쁜 것은 사실"이라면서도 "북·중 관계는 갑자기 좋아지는 경우도 있기 때문에 현재의 관계가 계속 나빠진다고 볼 수 없다"고 했다. 그러면서 "중국에서 외화벌이하는 북한 일꾼을 교체하는 것에 대해서 중국과의 협조가 충분히 이뤄지지 않는 과정에서 불협화음이 있었다"고 언급했다.
오지은 기자 joy@asiae.co.kr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최신순
추천순
답글순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