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아시아경제 ] 오세훈 서울시장이 인공지능(AI) 비전을 선보인 것에 이어 지방분권 개헌론을 주장하는 등 광폭 행보에 나섰다. 여당의 유력한 잠룡으로 꼽히는 오 시장이 정책 이슈 선점으로 본격적인 대선 몸풀기에 나섰다는 분석이다.
12일 오 시장은 국회도서관에서 '87체제 극복을 위한 지방분권 개헌 토론회'를 열고 "대한민국이 국가적 위기에 처했는데 위기를 더 좋은 기회로 삼으려면 개헌이 반드시 이뤄져야 한다"고 강조했다.
오 시장은 개헌론의 핵심으로 '지방분권'을 언급했다. 지방 소멸을 극복하기 위한 국가 발전 전략으로서 개헌 논의가 필요하다는 설명이다. 정치 구조 문제 해소에 초점을 맞춘 개헌론을 띄우는 다른 대선 주자들과의 차별화에 나선 셈이다. 오 시장은 "국가의 먼 미래를 내다보고 무엇이 대한민국의 퀀텀 점프를 가능하게 하는 논의가 될 수 있느냐를 고민하는 자리가 됐으면 한다"고 말했다.
구체적으로 예산, 인력, 규제 등 '3대 권한'을 지방에 이양하는 방법론을 제시했다. 오 시장은 "각 지역이 독자적인 발전 전략을 수립·실행할 수 있도록 실질적인 권한을 지방에 이양해야 한다"며 "국세와 지방세 비율을 조정하고 자원과 행정 인력을 균형 있게 재배치하는 등 보다 과감한 조치가 필요하다"고 제안했다.
지난 11일에는 AI 정책 비전을 내놓기도 했다. 총 5000억원 규모의 AI 펀드를 조성해 관련 스타트업에 투자하고 연간 1만여명의 AI 인재 양성에 나선다는 방침이다. 이를 통해 우리나라를 미국, 중국과 어깨를 나란히 하는 '글로벌 3대 AI 강국'으로 만들겠다는 목표다. 오 시장은 "최근 화제를 모든 중국 딥시크를 통해 AI 후발주자도 저비용, 고성능의 기술을 개발할 수 있다는 희망을 봤다"며 "AI는 모든 산업의 '게임 체인저'로 지금이 바로 투자의 골든타임"이라고 강조했다.
정치권에선 오 시장이 조기 대선 가능성을 염두에 두고 정책 몰이에 나서고 있다는 점에 주목한다. 미래 먹거리인 AI 등 국가 발전 전략을 구체화하는 한편, 개헌론에 힘을 싣는 등 정치적인 존재감을 드러내고 있다는 얘기다. 여당 내부의 처지를 고려할 때 조기 대선을 공론화하기 어려운 상황을 감안해 정치 메시지를 관리하면서도 '서울시장 프리미엄'을 토대로 정책의 밑그림을 그리고 있다.
정치권 관계자는 오 시장에 대해 "당내 입지에선 안철수 의원이나 유승민 전 의원보다 강점이 있고 정치색에선 김문수 장관이나 홍준표 시장보다 왼쪽이라는 점이 부각될 수 있다"며 "조심스럽게 대선 행보에 나선 것"이라고 분석했다. 국민의힘 관계자는 "조기 대선 국면에 돌입하면 상대적으로 시간이 부족한 상황에서 준비된 주자로 비쳐질 수 있다"고 평가했다.
한편 오 시장이 토론회장에 입장하자 참석한 시민들이 일어서 "파이팅"을 외치거나 "오세훈"을 연호하며 박수를 치기도 했다. 이날 토론회에 여당 의원들이 대거 참석한 점도 눈에 띄는 대목이다. 권영세 비상대책위원장, 권성동 원내대표, 김상훈 정책위의장, 이양수 사무총장 등 당 지도부가 총출동했다. 토론회 주관을 맡은 친윤계 중진 윤재옥 의원을 비롯해 추경호 전 원내대표와 주호영 의원, 안철수 의원 등 30여명이 참석했다.
최유리 기자 yrchoi@asiae.co.kr
최신순
추천순
답글순
![](https://cdn.trend.rankify.best/dctrend/front/images/ico_nocomment.svg)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