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아시아경제 ]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대표와 김경수 전 경남도지사의 공개 만남은 조기 대선 가능성이 거론되는 정국 상황과 무관하지 않다. 이 대표는 야당 대선주자 중 지지율 1위를 질주하고 있지만 확장성에 관한 의문부호가 남아 있다. 김 전 지사는 친노(친노무현)와 친문(친문재인)계의 정치적인 적자로 평가받는 인물이다.
김 전 지사와의 만남을 토대로 화합과 포용의 밑그림이 마련되면 민주당 ‘일극 체제’ 논란을 완화하면서 ‘통합’ 이미지를 확보할 수 있다. 실제로 이 대표는 13일 김 전 지사와의 1시간30분에 이르는 만남에서 화합의 메시지를 이어갔다.
이 대표는 "내란 극복을 위해 동의하는 모든 세력이 힘을 합쳐야 한다"며 "대한민국이 우뚝 서는 그 길에 함께 손잡고 가길 기대한다"고 밝혔다. 이 대표의 비서실장인 김태선 민주당 의원은 기자들과 만나 "헌정 수호 연대, 민주주의 연대의 폭을 넓혀 함께 확장해나가자는 이야기를 했다"고 전했다.
이 대표가 비명(비이재명)계 주요 인사와 연쇄 회동에 돌입한 것은 당내 일각에서 거론되는 ‘후보 교체론’의 불씨를 최소화하려는 행보라는 시선도 있다. 박상병 정치평론가는 "현재 이 대표의 대선 가도에서 가장 큰 걸림돌은 사법 리스크"라며 "항소심에서 당선 무효형이 아니더라도 일부 유죄가 나올 경우 비명계 대선 주자들로부터 터져 나올 후보 교체론을 미리 단속하기 위한 플랜B를 가동한 것"이라고 진단했다.
최병천 신성장경제연구소장 역시 "김 전 지사가 대선 후보로 나설 것을 염두에 두고 있다기보다는 (이 대표에게) 친문 입장을 강하게 피력한 것"이라며 "세게 요구한 것에 대해 이 대표가 부분적으로 수용하면 소수파가 다수파를 도와주자고 말할 명분이 생기는 것"이라고 분석했다. 실제로 김 전 지사는 "당에서 마음에 상처를 입은 분들을 보듬어줄 때가 됐다"며 온오프라인 당원 참여 공간 확대, 민주적 절차 정당성 확보, 원포인트 개헌 등 비명계 요구를 전달했다.
두 사람의 만남이 화합의 기류를 확대하는 계기가 될 수도 있지만 정국 흐름을 고려할 때 예단은 섣부르다. 이 대표는 김 전 지사 얘기를 경청하면서도 개헌 요구에는 "내란 극복에 집중할 때"라고 선을 긋는 모습을 보였다. 최 소장은 "김 전 지사의 주장을 다 수용하기보다는 서로의 주장이 일리가 있지만, 생각 차이가 있다는 모습을 보여주면서 연대연합을 꾀하려는 것"이라고 설명했다.
황서율 기자 chestnut@asiae.co.kr
최신순
추천순
답글순
![](https://cdn.trend.rankify.best/dctrend/front/images/ico_nocomment.svg)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