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아시아경제 ] 윤석열 대통령에 대한 헌법재판소 탄핵심판 선고가 다음 달 초·중순 내려질 가능성이 커지면서 국민의힘 내부는 '플랜B'를 놓고 고심하고 있다. 특히 야권과 보수 일각에서 윤 대통령이 탄핵 심판 직전 '하야'를 선택할 수 있다는 예상 밖 시나리오를 제시하면서 물밑 여론전까지 가열되는 모양새다.
17일 대통령실은 최근 거론되는 윤 대통령 하야 시나리오에 대해 선을 긋고 있다. 대통령실 관계자는 "윤 대통령 하야설은 터무니없는 공작"이라면서 "갑자기 불거진 하야설은 납득하기 어려울 뿐만 아니라 실현 가능성도 희박하다"고 말했다.
앞서 보수성향 평론가 조갑제씨는 윤 대통령 하야 가능성을 거론하면서 "윤 대통령 지지율이 꽤 높기에 하야를 결단하면 유리한 여론을 만들 수가 있는 등 선거판을 흔들어 놓을 수 있다"고 주장했다. 이에 대해 대통령실 참모진은 "윤 대통령이 하야를 선택할 가능성은 없다고 본다"면서 "그것은 윤 대통령 성정을 전혀 알지 못하는 자의 주장일 뿐"이라고 일축했다. 대통령실 참모진은 탄핵소추 기각과 윤 대통령 복귀 가능성에 무게를 두고 헌재 상황을 예의 주시하는 분위기다.
장영수 고려대 법학전문대학원 교수는 "대통령에 대한 명문 규정은 없지만 다른 탄핵소추 대상자의 경우 해임이 불가능하게 돼 있다"면서 "중간에 해임이나 자진 사퇴 등을 통해 파면에 따른 불이익을 피해 가는 일이 없도록 하는 취지"라고 말했다.
국민의힘 내부는 셈법이 복잡하다. 탄핵이 인용될 경우 60일 이내에 대통령 선거를 치러야 한다는 현실적인 문제를 외면하기는 어렵다. 여권 핵심 관계자는 "당 지지율이 회복세를 보이는 상황에서 정권 재창출을 위해 한목소리를 내야 할 때"라면서 "탄핵 인용에 대해 준비해야 한다는 의견도 탄력을 받고 있지만 아직은 시기상조라는 의견이 대세"라고 전했다.
조기 하야라는 민감한 키워드가 여의도 정가에서 관심을 받자 여당 지도부가 진화에 나섰다. 권영세 국민의힘 비상대책위원장은 17일 관훈클럽 토론회에 참석해 "하야가 법률적으로 가능하냐는 문제를 별도로 하더라도 하야했을 때 문제를 모두 잠재울 수 있냐"라면서 "그건 아니다. 적절하지 않다. 옳은 방법은 아니다"고 선을 그었다.
최신순
추천순
답글순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