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아시아경제 ] 정부가 북한을 향해 '비핵화'를 거듭 촉구했다. 북한이 '완전한 비핵화'를 명시한 한미일 외교장관회담 공동성명에 대해 18일 비난 담화를 내자 이에 대한 대응 격이다.
이재웅 외교부 대변인은 이날 정례브리핑에서 관련 질의에 "다수의 (유엔) 안전보장이사회(안보리) 결의로 확인됐듯이 북한의 완전한 비핵화는 국제사회의 일치된 목표"라며 "북한은 결코 핵 보유를 인정받지 못할 것"이라고 말했다.
이어 "북한이 한반도와 전 세계 평화와 안정을 위협하는 불법적인 핵·미사일 개발과 도발을 중단하고 비핵화의 길로 복귀할 것을 다시 한번 촉구한다"며 "핵·미사일 개발은 오히려 스스로의 안보와 경제 발전을 저해할 뿐이라는 점을 자각하기 바란다"고 덧붙였다.
앞서 이날 오전 북한 외무성은 대변인 담화를 통해 "(비핵화는) 현실적으로나 실천적, 개념적으로도 이제는 더더욱 불가능하고 비현실적인 낡고 황당무계한 계획"이라며 "앞으로도 국가수반이 천명한 새로운 핵 무력 강화 노선을 일관되게 견지해 나갈 것"이라고 주장했다.
지난 15일(현지시간) 조태열 외교부 장관과 마코 루비오 미 국무부 장관, 이와야 다케시 일본 외무상이 독일 뮌헨안보회의(MSC) 참석을 계기로 회담을 갖고 ‘북한의 완전한 비핵화’를 명시한 공동성명을 발표한 데 대한 반응이다.
북한은 도널드 트럼프 2기 미국 행정부 출범 이후 미국 주요 인사들의 발언에 민감하게 반응하며 비난 담화를 내놓고 있다. 다만 김정은 국무위원장이나 김여정 부부장, 최선희 외무상 등 고위급 인사가 직접 나서진 않는 상황이다. 향후 전개될 가능성이 있는 북미 대화를 염두에 두고 적절한 수위를 조절하며 대응하고 있다는 평가가 나온다.
한편 이 외교부 대변인은 일본의 지방자치단체 등이 '다케시마(일본이 주장하는 독도 명칭)의 날' 행사를 개최하는 것과 관련해 "독도는 역사적·지리적·국제법적으로 명백한 우리의 영토"라며 "독도에 대한 영유권 분쟁은 존재하지 않으며, 독도에 대한 일본의 어떠한 부당한 주장에 대해서도 단호하고 엄중히 대응해 나갈 것"이라고 경고했다.
손선희 기자 sheeson@asiae.co.kr
최신순
추천순
답글순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