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7일, 경기도의회 보건복지위원회에서 열린 2025년도 상반기 업무보고에서 김용성 의원(더불어민주당, 광명4)은 경기도의 경로당 지원사업의 명칭과 경기도사회서비스원의 ‘경로당 스마트환경개선사업’의 선정 및 지원 방식의 개선을 촉구했다.
김용성 의원은 지난해 11월, 2024년 행정사무감사에서 경기도의 ‘스마트경 로당’ 사업과 과학기술정보통신부의 ‘스마트경로당’ 사업 간 용어 중복으로 인한 혼선 문제를 지적하며, 사업 명칭 정비를 요청했다.
이에 도는 노인복 지과의 ‘스마트경로당 서포터즈’는 ‘경로당 IT 서포터즈’로, 경기도사회서비 스원의 ‘스마트경로당 사업’은 ‘경로당 스마트환경개선사업’으로 변경했다.
그러나 김 의원은 “노인복지과의 경로당 사업은 스마트폰 및 키오스크 활용 교육뿐만 아니라 여가 프로그램 개발, 경로당 회계프로그램 활용 교육도 포함되므로 ‘경로당 서포터즈’라는 명칭이 더 적절하다”고 주장했다.
또한, ‘경로당 스마트환경개선사업’ 명칭에 대해서도 문제를 제기했다. 김 의원은 “사업명에 ‘스마트’라는 표현이 포함되면서 사업 본래의 성격을 이해 하는 데 혼선을 초래할 수 있다”며 단순히 ‘경로당 환경개선사업’으로 명명 하는 것이 더 직관적이며 효과적일 것이라고 말했다.
해당 사업은 경로당의 시설 개보수 및 환경 기반 조성을 위한 것으로, 지난해까지 경기복지재단에 서 운영하다가 올해부터 경기도사회서비스원으로 이관됐다.
한편, ‘경로당 스마트환경개선사업’의 공정한 운영을 촉구하기도 했다. 김 의원은 “작년에는 특정 시군에 지원이 집중되어 예산 편중 문제가 지적 된 바 있다”며, “올해는 31개 시·군에 균형 있게 예산이 배분될 수 있도록 철저한 관리가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이어 TV와 냉장고 등의 내구연한이 평균 10년인 점을 감안하여, 사업대상지 선정 시 기존 시설의 내구연한과 유사 사업 지원 이력을 철저히 조사할 것과 지원 대상 선정 과정의 공정성과 형평성을 확보하여 불필요한 논란이 발생하지 않도록 해야 한다며 경기도의 적극적인 개선 노력을 주문했다.
끝으로 김 의원은 “도민의 예산이 헛되이 낭비되지 않도록 유의하여 사업 을 진행하길 바란다”고 당부했다.
최신순
추천순
답글순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