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타데일리뉴스=황규준 기자] 허리디스크는 척추 뼈 사이의 추간판이 손상되어 추간판 내부의 수핵이 빠져나와 신경을 압박해 통증을 일으키는 질환이다. 노화에 의한 척추의 퇴행성 변화는 물론 잘못된 자세나 생활습관, 갑작스러운 외부 충격 등을 원인으로 한다. 허리를 숙이면 생기는 극심한 통증이 특징이며 서 있을 때 보다 앉아 있을 때 통증이 심해지고, 누워서 다리를 들어올릴 때 통증이 따른다. 통증과 더불어 다리로 이어지는 하지방사통이 생길 수 있다.
허리디스크는 초반에는 약물이나 수자치료, 도수치료, 신경성형술 등 비수술적 치료만으로도 증상이 완화된다. 그러나 증상이 호전되지 않거나 심해 수술을 권유 받았다면 ‘양방항 척추내시경’을 고려할 수 있다.
양방향 척추내시경수술은 1cm 이하의 미세한 구멍 두 개를 통해 한쪽에는 내시경을, 다른 한쪽에는 수술 기구를 넣어 진행하는 치료를 말한다. 초고화질의 내시경을 통해 시야를 확보하고, 병변을 직접 확인하면서 하기 때문에 수술의 정확도가 높은 동시에 작은 절개로 조직의 손상이 적어 회복이 빠르다는 장점을 갖고 있다.
수술은 1시간 이내로 진행되며 조직 손상을 최소화하기 때문에 수술 후 통증이 덜하고 회복이 빠르다는 것이 가장 큰 장점으로 꼽힌다. 손상이 적기 때문에 출혈과 이로 인한 합병증 가능성이 적고 흉도 거의 남지 않는다.
기존 미세현미경 수술 등에 비해 수술하는 내내 식염수로 씻어내기 때문에 수술부위 감염의 확률이 현저히 줄어든다. 회복이 빨라 수술 후 다음날 퇴원이 가능해 주말을 이용하여 수술하면 업무에 차질을 최소화하고 빠른 복귀를 기대할 수 있다.
연세사랑병원 척추내시경센터 진한빈 부원장은 “허리디스크가 악화되면 배뇨장애 등 일상생활이 어려울 수 있다”며 “양방향 척추내시경 수술을 통해 허리 디스크는 물론, 척추관협착증과 전방전위증까지 치료가 가능하다. 작은 구멍을 통해 나사고정술도 진행할 수 있는 만큼 치료법으로 고려하길 권장한다”고 말했다.
최신순
추천순
답글순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