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
0
5
0
문화
이들의 탱고는 폭발하는 그리움
    오경진 기자
    입력 2025.04.03 01:54
    0

오는 22일 첫 번째 내한 공연을 앞둔 ‘GD탱고’의 기예르모 데 파지오(왼쪽)와 지오반나 단. 마포문화재단 제공
오는 22일 첫 번째 내한 공연을 앞둔 ‘GD탱고’의 기예르모 데 파지오(왼쪽)와 지오반나 단. 마포문화재단 제공

탱고는 ‘그리움’이다. 고향을 떠난 이의 음악이라서다.

19세기 말 아르헨티나 수도 부에노스아이레스로 몰려든 이민자들로부터 탱고는 시작됐다. 세계 각국의 다채로운 리듬과 음색에 이민자의 슬픔과 상처가 더해졌다. 아름답고 우울한, 탱고만의 음색은 거기서 비롯된다.

●세계 누비는 탱고 아티스트 그룹

오는 22일 서울 마포구 마포아트센터 아트홀맥에서 첫 내한 공연을 앞둔 세계적 탱고 아티스트 그룹 ‘GD탱고’는 탱고를 조금 다르게 정의한다. 그들은 “탱고는 그리움인 동시에 ‘연결’”이라고 했다. 탱고에는 유독 껴안는 동작이 많이 나온다. 그리움을 달래려는 강렬한 몸부림일까. GD탱고는 댄서 6명으로 구성된 팀이다. 주역인 기예르모 데 파지오(42)와 지오반나 단(31) 듀오를 2일 서면으로 만났다.

“이주민의 심리적 상처에 탱고의 아름다움이 있다. 관객은 탱고의 기원에서 비롯된 감정에 이끌린다. 탱고는 진지하고 열정적이다. 하지만 그게 끝이 아니다. 탱고의 다양한 면모를 보여 주는 게 우리의 임무다. 코미디, 로맨스 그리고 행복도 함께 느낄 수 있을 것이다.”

●“이주민 상처서 기원한 열정의 춤”

GD탱고는 세계 무대에서 활발히 활동하고 있는 그룹이다. 부에노스아이레스에서 유년 시절을 보낸 파지오와 단의 음악적 원천은 가족이다. 파지오는 클래식 피아니스트의 아들로 태어났다. 단 역시 아버지는 음악가이고 어머니는 탱고 댄서였다. “우리의 일상은 언제나 음악과 춤으로 빠짐없이 채워져 있었다”고 자부하는 이들은 탱고의 매력을 세계에 알리는 데 주력한다. 미국과 남미, 유럽, 아시아, 중동 등 세계 전역에서 다채로운 프로젝트를 선보이고 있다.

“탱고에 익숙하지 않아도 공연은 즐거울 것이다. 음악, 의상, 춤은 탱고의 진화를 보여 준다. 유머러스한 패러디도 준비했다. 공연 초반부에는 ‘라 과르디아 비에하’라고 불리는 스타일의 탱고를 볼 수 있다. 초창기 탱고가 어떤 모습이었는지 알게 될 것이다.”

●탱고는 ‘연결’… 짝이 있어야 춘다

다채로운 프로그램 가운데 눈길을 끄는 아르헨티나 거인들의 이름이 있다. 프랑스 태생 가수 카를로스 가르델(1890~1935)과 탱고 작곡가이자 반도네온 연주자 아스토르 피아졸라(1921~1992)다. 탱고를 몰라도 두 사람의 이름은 알 것이다. 이들이 ‘탱고의 역사’ 그 자체라서다. 파지오와 단은 “가르델은 시이고, 피아졸라는 이야기”라고 했다. “가르델은 탱고를 대표하는 목소리인 동시에 가장 로맨틱하고 시적인 순간을 보여 주는 인물인 반면 피아졸라는 탱고의 잠재력을 가장 높은 수준으로 끌어올린 작곡가”라는 게 이들의 평가다.

전 세계 거의 모든 도시에 탱고 커뮤니티가 있다. 도시의 삶은 외롭고 인간은 언제나 누군가와 연결되기를 희망하기 때문일 것이다. 탱고에서 가장 특별하고도 격렬한 몸짓은 포옹이다. 그래서 이들은 탱고를 ‘연결’로 정의한다.

“상대방과의 포옹 속에서 우리는 그가 어디서 온 누구인지, 어떤 언어를 쓰는지 잊어버리고 춤을 춘다. 탱고는 파트너와 음악 그리고 심지어 우리 과거와의 연결이다. 탱고는 이끄는 이와 따라가는 이의 ‘밀폐된 포옹’ 안에서 표현된다. 춤이 존재하기 위해 두 사람은 오로지 서로에게 그리고 그 순간에 몰입해야 한다. ‘탱고는 둘이 하는 것’이다.”

    #기예르모
    #음악
    #리움
    #세계
    #우리
    #폭발
    #탱고
    #오반
    #지오
    #내한
트렌드 뉴스 모아보기
이 기사, 어떠셨나요?
  • 기뻐요
  • 기뻐요
  • 0
  • 응원해요
  • 응원해요
  • 0
  • 실망이에요
  • 실망이에요
  • 0
  • 슬퍼요
  • 슬퍼요
  • 0
댓글
정보작성하신 댓글이 타인의 명예훼손, 모욕, 성희롱, 허위사실 유포 등에 해당할 경우 법적 책임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최신순
    추천순
    답글순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문화 주요뉴스
  • 1
  • “바다·꽃·반려견 어우러진 태안 어떠세요”…559㎞ 해수욕 천국
    서울신문
    0
  • “바다·꽃·반려견 어우러진 태안 어떠세요”…559㎞ 해수욕 천국
  • 2
  • [사고] 앤서니 브라운展… 상상을 두드리다
    서울신문
    0
  • [사고] 앤서니 브라운展… 상상을 두드리다
  • 3
  • 아파트ㆍ산업ㆍ교통이 만든 ‘강남 불패’
    서울신문
    0
  • 아파트ㆍ산업ㆍ교통이 만든 ‘강남 불패’
  • 4
  • [김동완의 오늘의 운세] 2025년 5월 5일
    서울신문
    0
  • [김동완의 오늘의 운세] 2025년 5월 5일
  • 5
  • ‘법의 이름’으로 불의와 타협한 사법부의 실체
    서울신문
    0
  • ‘법의 이름’으로 불의와 타협한 사법부의 실체
  • 6
  • “얼굴에 혹이 울퉁불퉁”…피부 질환 생긴 男, ‘이 옷’ 입어서라는데
    서울신문
    0
  • “얼굴에 혹이 울퉁불퉁”…피부 질환 생긴 男, ‘이 옷’ 입어서라는데
  • 7
  • 트럼프 “외국 제작 영화에 관세 100%”… K무비도 발목 잡힐까
    서울신문
    0
  • 트럼프 “외국 제작 영화에 관세 100%”… K무비도 발목 잡힐까
  • 8
  • 과학자처럼, 경제학자처럼… 세상을 읽을 순간
    서울신문
    0
  • 과학자처럼, 경제학자처럼… 세상을 읽을 순간
  • 9
  • 결혼 후 불교로 개종하고 삭발까지…이승기 ‘불자대상’ 수상
    서울신문
    0
  • 결혼 후 불교로 개종하고 삭발까지…이승기 ‘불자대상’ 수상
  • 10
  • 젊은 거장의 새 시도… 폰으로 담아낸 ‘인간의 탐욕’
    서울신문
    0
  • 젊은 거장의 새 시도… 폰으로 담아낸 ‘인간의 탐욕’
트렌드 뉴스
    최신뉴스
    인기뉴스
닫기
  • 투표
  • 스타샵
  •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