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
0
5
0
문화
우리나라 세계기록유산 20건 보유국됐다…산림녹화기록물, 제주4·3기록물 등재
    윤수경 기자
    입력 2025.04.11 10:01
    0

제221차 유네스코 집행이사회 현장사진국가유산청 제공
제221차 유네스코 집행이사회 현장사진국가유산청 제공

‘산림녹화기록물’, ‘제주4·3기록물’이 세계기록유산에 오르며 우리나라는 총 20건의 세계기록유산 보유국이 됐다.

10일 오후 11시(현지 시간) 프랑스 파리에서 열린 제221차 유네스코 집행이사회는 ‘산림녹화기록물’, ‘제주4·3기록물’을 유네스코 세계기록유산으로 등재했다.

국민식수기간 특별우표의 모습국가유산청 제공
국민식수기간 특별우표의 모습국가유산청 제공

산림녹화기록물은 6·25전쟁으로 황폐화된 땅을 민관이 힘을 모아 성공적으로 재건했던 경험을 정리한 것으로 세계의 다른 개발도상국이 참고할 수 있는 모범 사례이자 기후변화 대응, 사막화 방지 등 국제적 논점(이슈)에 본보기가 되는 기록물이다.

6·25 전쟁 직후인 1953년 3600만㎥에 불과했던 우리나라 임목 축적 총량은 2020년 10억 3800만㎥로 29배나 증가했다. 전 국민이 나선 덕분에 가능한 일이었다.

영일만 복구사진국가유산청 제공
영일만 복구사진국가유산청 제공

제주4·3기록물은 제주 4.3으로 인한 수많은 민간인 학살에 대한 피해자 진술, 진상규명과 화해의 과정에 대한 기록이다. 세계사적으로 인권의 중요성을 알려주고, 제주도민들의 화해와 상생 정신을 통해 아픈 과거사를 해결하는 새로운 길을 제시한다는 점에서 의미가 있다.

형무소에서 온 엽서국가유산청 제공
형무소에서 온 엽서국가유산청 제공

국가유산청은 2023년 1월 17일부터 2월 28일까지 실시한 대국민 공모를 통해 접수된 기록물들에 대해 전문가의 의견을 수렴, 두 건을 세계기록유산으로 등재 신청하기로 하고, 2023년 11월 유네스코에 등재신청서를 제출한 바 있다.

이번 등재로 우리나라는 총 20건의 유네스코 세계기록유산을 보유하게 되어 기록문화 강국으로의 위상을 높일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제주 4.3사건 진상보고서 발간국가유산청 제공
제주 4.3사건 진상보고서 발간국가유산청 제공

앞서 등재된 세계기록유산으로는 훈민정음(1997), 조선왕조실록(1997), 직지심체요절(2001), 승정원일기(2001), 조선왕조의궤(2007), 고려대장경판 및 제경판(2007), 동의보감(2009), 일성록(2011), 5·18 관련 기록물(2011), 난중일기(2013), 새마을운동기록물(2013), 한국의 유교책판(2015), KBS특별생방송 ‘이산가족을 찾습니다’(2015), 조선왕실 어보와 어책(2017), 국채보상운동기록물(2017), 조선통신사기록물(2017), 4.19혁명기록물(2023), 동학농민혁명기록물(2023)이 있다.

    #우리나라
    #산림
    #산청
    #국가
    #세계기록유산
    #기록
    #스코
    #제주
    #유네
    #등재
트렌드 뉴스 모아보기
이 기사, 어떠셨나요?
  • 기뻐요
  • 기뻐요
  • 0
  • 응원해요
  • 응원해요
  • 1
  • 실망이에요
  • 실망이에요
  • 0
  • 슬퍼요
  • 슬퍼요
  • 0
댓글
정보작성하신 댓글이 타인의 명예훼손, 모욕, 성희롱, 허위사실 유포 등에 해당할 경우 법적 책임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최신순
    추천순
    답글순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문화 주요뉴스
  • 1
  • ‘법의 이름’으로 불의와 타협한 사법부의 실체
    서울신문
    0
  • ‘법의 이름’으로 불의와 타협한 사법부의 실체
  • 2
  • 세븐틴·리사·로제·한강·페이커·봉준호 등 ‘아태 지역 리더’ 100인에
    서울신문
    0
  • 세븐틴·리사·로제·한강·페이커·봉준호 등 ‘아태 지역 리더’ 100인에
  • 3
  • [김동완의 오늘의 운세] 2025년 4월 30일
    서울신문
    0
  • [김동완의 오늘의 운세] 2025년 4월 30일
  • 4
  • “눈동자만 봐도 알 수 있다”…사이코패스, ‘이 반응’ 다르다는데
    서울신문
    0
  • “눈동자만 봐도 알 수 있다”…사이코패스, ‘이 반응’ 다르다는데
  • 5
  • 지브리풍 내 얼굴, 문제는 없을까?…문화관광연구원, “저작권 침해, 산업 붕괴 우려”
    서울신문
    0
  • 지브리풍 내 얼굴, 문제는 없을까?…문화관광연구원, “저작권 침해, 산업 붕괴 우려”
  • 6
  • 서양식 건축 스민 조선 궁궐… ‘양관’을 들여다보다
    서울신문
    0
  • 서양식 건축 스민 조선 궁궐… ‘양관’을 들여다보다
  • 7
  • 플라멩코 흑백사진, 강렬한 몸짓이 되다
    서울신문
    0
  • 플라멩코 흑백사진, 강렬한 몸짓이 되다
  • 8
  • 그 시절 수학여행처럼… 장항선 낭만을 달리다
    서울신문
    0
  • 그 시절 수학여행처럼… 장항선 낭만을 달리다
  • 9
  • 한국가톨릭문학상에 윤흥길 ‘문신’, 김윤희 ‘핵에서 책으로’
    서울신문
    0
  • 한국가톨릭문학상에 윤흥길 ‘문신’, 김윤희 ‘핵에서 책으로’
  • 10
  • 아, 그 고릴라… 현직 거장의 반전 상상력 직관 ‘빅 찬스’
    서울신문
    0
  • 아, 그 고릴라… 현직 거장의 반전 상상력 직관 ‘빅 찬스’
트렌드 뉴스
    최신뉴스
    인기뉴스
닫기
  • 투표
  • 스타샵
  •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