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는 국제 규정과 동일하다고도 덧붙였다.'공항안전운영기준' 제42조 제1항 제4호, '공항·비행장시설 및 이착륙장 설치기준' 제22조 제2항 역시 종단 안전구역 내의 장비·시설에 적용되는 기준이라는 설명이다.종단 안전구역은 착륙대의 끝부터 최소 90m를 확보해야 한다.
권고 기준은 240m다.사고기는 랜딩기어 고장에도 비교적 안정적으로 동체 착륙을 했지만 활주로에서 속도를 줄이지 못하고 로컬라이저의 콘크리트 받침대와 폭발한 것이 대형 참사로 이어진 원인으로 꼽힌다.
로컬라이저는 공항 활주로 진입을 돕는 안테나 설비다.앞서 항공 전문가 데이비드 리어마운트는 영국 스카이뉴스에 출연해 "승객들은 활주로 끝을 조금 벗어난 곳에 있던 견고한 구조물에 부딪혀 사망했는데, 원래라면 그런 단단한 구조물이 있으면 안 되는 위치였다"고 주장했다.그는 또 "비행기는 활주로를 미끄러지며 이탈했는데 이때까지도 기체 손상은 거의 없었다"며 "항공기가 둔덕에 부딪혀 불이 나면서 탑승자들이 목숨을 잃었다"고 판단했다.정길준 기자 kjkj@edaily.co.kr
최신순
추천순
답글순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