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
0
5
0
생활
커피·컵밥·햄버거 다 오른다…연초 먹거리 물가 비상
    안민구 기자
    입력 2025.01.31 12:57
    0
연초 먹거리 가격이 오르고 있다.

그동안 정부 눈치를 봐왔던 업체들이 혼란한 정국을 틈 타 너도나도 가격을 인상 결정을 내리고 있기 때문이다.

물류비와 원부자잿값 비용 상승 여파가 지속하며 설 연휴 이후에도 가격 인상은 계속될 것이란 전망이 나온다.

서민들 부담도 가중될 것으로 보인다.폴바셋 이어 스타벅스마저 커피값 ‘줄인상’30일 유통업계에 따르면 스타벅스코리아가 지난 24일부터 톨 사이즈 음료 22종의 가격을 200~300원 인상했다.

인기 1위 품목인 아메리카노 톨 사이즈 가격이 4700원으로 200원 올랐고, ‘오늘의 커피’ 톨 사이즈와 숏 사이즈는 300원씩 인상했다.

그란데와 벤티 사이즈도 100원씩 올랐다.스타벅스는 최근 5개월 사이 3차례나 가격을 올렸다.

지난해 8월 그란데와 벤티 사이즈 음료 가격을 각각 300원, 600원 올렸다.

3개월 뒤인 11월에는 아이스 음료 톨 사이즈 11종 가격을 200원 인상했다.

매일유업의 커피 전문점 폴바셋도 지난 23일부터 제품 28종의 가격을 평균 3.4% 올렸다.

2년 10개월 만에 주요 제품 가격이 200~400원 인상됐다.

카페라떼가 5900원으로 200원, 룽고는 5300원으로 400원, 아이스크림은 4300원으로 300원 각각 올랐다.커피 가격 인상은 전문점만의 일은 아니다.

네스프레소는 올해부터 국내에서 판매 중인 커피 캡슐 37종의 가격을 최대 11.6% 인상했으며, 동서식품도 지난해 11월 인스턴트 커피·커피믹스·커피음료 등의 출고 가격을 평균 8.9% 올렸다.이처럼 커피 브랜드들이 모두 가격 인상에 나선 원인은 원두의 가격 급등 때문이다.

지난해 브라질과 베트남 등 주요 커피 원두 산지에서 이어진 이상기후로 인해 원두 수확량이 크게 감소하면서 가격이 급등했던 것이다.농림축산식품부에 따르면 지난해 말 기준 외식용 아라비카 원두 가격은 1톤(t)당 7049달러(한화 약 1017만원)로 전년 동기 대비 85.4% 상승했다.

가공용 로부스타 원두 역시 같은 기간 95.9% 오른 4875달러(약 703만원)를 기록했다.스타벅스 관계자는 “제반 비용 상승에도 고객 부담을 최소화하기 위해 노력했으나 지속적인 환율 상승 및 원가 인상의 여파로 인해 가격 조정을 결정했다”고 말했다.

과자·컵밥 가격도 잇따라 '들썩'식품업체들도 연초 가격 인상 대열에 합류했다.

대상은 지난 16일 청정원 마요네즈, 드레싱 등 소스류 제품과 후추 가격을 평균 19.1% 인상했다.

오뚜기는 앞서 업소용 딸기잼 가격을 최대 10% 올린 데 이어, 다음 달엔 컵밥 7종의 편의점 가격을 12.5% 인상할 계획이다.패스트푸드 브랜드 버거킹은 지난 24일 일부 제품 가격을 인상했다.

평균 인상률은 1.07%였다.

이번 가격 인상에 따라 대표 메뉴인 와퍼는 7100원에서 7200원으로 올랐다.

갈릭불고기와퍼는 7400원에서 7500원으로 인상되고, 와퍼 주니어는 4700원에서 4800원으로 변경됐다.

프렌치프라이도 2100원에서 2200원으로 100원 올랐다.

2023년 3월 이후 약 22개월 만의 가격 인상이다.음료 가격도 오름세다.

동아제약은 오는 3월부터 약국에서 판매하는 ‘박카스D’와 일반 대리점에 유통하는 ‘박카스F’의 공급 가격을 각각 10.9%, 11.1% 올린다.

동아오츠카는 새해 들어 포카리스웨트, 나랑드사이다 등 주요 음료 제품 가격을 평균 6.3% 인상한 바 있다.이들 업체 역시 원재료값이 지속 오르는 데다 고환율까지 겹쳐 제품 가격 인상이 불가피하다는 입장이다.

식품 재료값 상승률을 보면 코코아 가격이 1년 전보다 173% 뛰었으며 라면·빵·과자에 들어가는 팜유 가격은 1년 사이 18% 인상했다.

지난해 폭염 등 예측하기 어려운 이상기후도 물가 상승의 요인으로 꼽힌다.통상 원재료 가격이 제품 가격에 시차를 두고 반영되는 점을 고려하면, 물가 상승 압박은 당분간 이어질 거라는 분석이 나온다.일부에서는 1년 전만 하더라도 정부는 주요 식품회사들과 소통하면서 가격 인상 자제를 요구했지만, 연말부터 윤석열 대통령 탄핵정국에 들어서면서 정부가 최소한의 물가 제어 기능을 하지 못하고 있다는 지적도 나온다.업계 관계자는 “식음료 업체들이 최근 탄핵 정국 혼란을 틈타 정부와 소비자 눈치 보지 않고 가격 인상에 나서고 있다”며 “정부 입김이 약해진 가운데 연초부터 물가 부담이 커지고 있다”고 말했다.또 다른 관계자는 “일부 식품업체의 가격 인상 움직임이 다른 업체의 편승 인상으로 연결될 경우 소비자 부담을 가중시킬 수 있다”며 “물가 안정을 위해 식품기업의 역할이 중요하다”고 강조했다.안민구 기자

    #상승
    #연초
    #커피
    #지난해
    #먹거리
    #업체
    #음료
    #햄버거
    #가격
    #이즈
포인트 뉴스 모아보기
트렌드 뉴스 모아보기
이 기사, 어떠셨나요?
  • 기뻐요
  • 기뻐요
  • 0
  • 응원해요
  • 응원해요
  • 0
  • 실망이에요
  • 실망이에요
  • 0
  • 슬퍼요
  • 슬퍼요
  • 0
댓글
    최신순
    추천순
    답글순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생활 주요뉴스
  • 1
  • “밸런타인 데이에 에버랜드를 통째로 빌려드립니다”
    일간스포츠
    0
  • “밸런타인 데이에 에버랜드를 통째로 빌려드립니다”
  • 2
  • 문체부 '제5회 한국수어의 날' 기념식 개최
    아시아경제
    0
  • 문체부 '제5회 한국수어의 날' 기념식 개최
  • 3
  • 공정위, 거짓·과장 광고 '공단기'에 과징금 1억원
    일간스포츠
    0
  • 공정위, 거짓·과장 광고 '공단기'에 과징금 1억원
  • 4
  • 힙합 그룹 '피플크루' 출신 작곡가 오성훈씨 별세
    아시아경제
    0
  • 힙합 그룹 '피플크루' 출신 작곡가 오성훈씨 별세
  • 5
  • KT, AI가 문제 풀어주는 '콴다' 구독서비스 출시
    일간스포츠
    0
  • KT, AI가 문제 풀어주는 '콴다' 구독서비스 출시
  • 6
  • 우리은행, 지난해 민생금융 2801억원 지원
    일간스포츠
    0
  • 우리은행, 지난해 민생금융 2801억원 지원
  • 7
  • 삼성 갤럭시S25, 또 사전판매 신기록…130만대 고지 넘어
    일간스포츠
    0
  • 삼성 갤럭시S25, 또 사전판매 신기록…130만대 고지 넘어
  • 8
  • 2심 무죄 받은 이재용 "본연의 업무에 전념 희망"
    일간스포츠
    0
  • 2심 무죄 받은 이재용 "본연의 업무에 전념 희망"
  • 9
  • 카카오뱅크, K-패스 프렌즈 체크카드 출시
    일간스포츠
    0
  • 카카오뱅크, K-패스 프렌즈 체크카드 출시
  • 10
  • 대장장·김 양식 등 국가무형유산 가치 평가받는다
    아시아경제
    0
  • 대장장·김 양식 등 국가무형유산 가치 평가받는다
트렌드 뉴스
    최신뉴스
    인기뉴스
닫기
  • 뉴스
  • 투표
  • 게임
  • 이벤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