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3시즌부터 적용된 샐러리캡은 당초 3년 동안(2023~25) 기준 금액을 유지할 방침이었다.
그러나 제도 시행 과정에서 갑자기 금액을 올렸다.
실행위원회(단장 회의)부터 몇몇 구단이 주도적으로 금액 인상을 주장한 결과였다.지난해 12월 KBO가 발표한 2023년 구단별 연봉 결과를 보면 두산 베어스(111억 8175만원) SSG 랜더스(108억 4647만원) LG 트윈스(107억 9750만원) 등은 샐러리캡 기준 금액에 7억원 미만으로 접근한 상황이었다.
2023년에는 샐러리캡을 초과한 구단이 없었으나 2024년은 말 그대로 예측불허인 셈이다.
현장에선 제재를 우려한 구단들이 실행위원회와 이사회 회의 분위기를 주도한다는 얘기가 나왔다.
샐러리캡 상한액을 20% 증액한 건 사실상 만장일치 사안도 아니었다.
제도를 운용하다 보면 문제점이 확인될 수 있다.
때론 보완이 필요하지만 20% 증액은 상식에서 벗어난다는 지적이 적지 않다.
한 관계자는 "상한액을 약 23억원을 올렸는데 이러면 4년 기준 92억원의 A급 FA 선수 1명을 영입할 수 있는 금액"이라며 제도의 기능 상실을 우려하기도 했다.
실제 2025 FA 시장에서 예상을 깨고 지갑을 연 한 구단은 20% 증액 효과를 톡톡히 봤다.KBO는 샐러리캡 운영 이유 중 하나로 '리그 전력 상향 평준화'를 꼽는다.
각 구단 운영 비용을 평균에 수렴하게 만들어 공정 경쟁을 유도하는 방법.
다만 KBO리그 샐러리캡은 절대로 넘으면 안 되는 하드캡이 아닌 상한선 초과 시 제재를 받는 소프트캡이다.
초과 횟수에 따라 제재금이나 신인 드래프트 1라운드 지명권 하락 징계 등을 받으면 된다.
하지만 리스크를 감수하기 싫은 구단들이 샐러리캡을 파격적으로 증액하는 데 동조했다.
기치로 내세운 '공정 경쟁'이라는 대의명분이 퇴색했다.
2022년 11월 발표한 샐러리캡 상한액은 2025시즌까지 적용할 예정이었다.
이후 상한액은 물가 상승률 등을 반영해 조정될 수 있다고 예고한 상황.
1차 조정으로 기준 금액을 20% 올렸는데 2025시즌 뒤 다시 손질할 수 있다.
제도의 존폐를 걱정해야 할 시나리오 중 하나이다.배중현 기자 bjh1025@edaily.co.kr
최신순
추천순
답글순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0/5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