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
0
5
0
IT
손님인 척 방문해서 평가지 슥슥…셰프들 '계급장' 만드는 곳이 타이어 회사?
    입력 2024.11.02 07:00
    0
넷플릭스 요리경쟁 프로그램 '흑백요리사' 흥행으로 미식가들의 바이블로 통하는 미쉐린(미슐랭) 가이드에 대한 관심이 커지고 있다. 프로그램 심사위원이었던 미쉐린 3스타 안성재 셰프(모수 서울)가 참여하는 한 미식 행사는 1분 만에 예약이 매진되고, 다른 미쉐린 1스타 셰프들의 식당에도 손님이 미어터지고 있다. 미식가들의 바이블로 통하는 미쉐린 가이드, 언제부터 시작됐을까.
미쉐린 가이드의 시작은 타이어 회사에서 발행한 여행안내 책자였다. 마시멜로 같은 통통한 모습의 캐릭터 '비벤덤'(Bibendum)으로 우리에게 친숙한 프랑스 기업 미쉐린 타이어다. 1900년대 초 미쉐린 타이어는 타이어를 구매하는 고객들에게 지도와 타이어 교체 방법, 주유소, 호텔, 식당 등 여행 정보가 정리된 책자를 나눠줬다. 1926년부터 훌륭한 식당에 별점을 부여하기 시작했고, 1931년에는 1스타, 2스타, 3스타 등으로 평점을 나누는 현재의 미쉐린 가이드의 형태가 갖춰졌다. 미쉐린 가이드에는 식당을 소개하는 '미쉐린 레스토랑' 외에 호텔 등 숙박시설을 추천하는 '미쉐린 키'도 있다.


미쉐린 평가는 1936년 세워진 기준을 철저히 따른다. 별 1개는 '요리가 훌륭해 들러볼 만한 가치가 있는 곳', 별 2개는 '요리가 훌륭해 목적지와 떨어져 있더라도, 길을 돌아서라도 들러볼 만한 가치가 있는 곳'이다. 가장 높은 등급인 별 3개 식당은 '요리가 매우 훌륭해 음식 맛을 보기 위해 여행을 떠날 가치가 있는 곳'을 의미한다. 신분을 숨긴 채 음식을 평가하는 '레스토랑 인스펙터'가 평가를 진행하며 기준은 총 다섯 가지다. ▲재료의 신선도와 품질 ▲풍미와 조리 기술의 완성도 ▲요리의 개성 ▲비용 대비 가치 ▲방문할 때마다 유지되는 일관성 등이다.
미쉐린의 별은 셰프들 간 일종의 '계급장'이 된다. 안 셰프는 흑백요리사 제작진과의 미팅에서 "내가 심사를 본다고 하면 토를 달 사람이 없을 것"이라고 말했는데, 그의 자신감 배경에는 한국 유일의 미쉐린 3스타 셰프란 칭호가 있었다. 제작진 역시 언론 인터뷰를 통해 그를 섭외하지 않을 수 없었다고 밝힌 바 있다. 다만 현재 안 셰프의 '모수'가 잠정 휴업에 들어가면서 국내에는 미쉐린 3스타 식당이 한 곳도 없다. 미쉐린 서울 2025에서 2스타를 받은 식당은 ▲라연 ▲알라 ▲미토우 등이며, '흑백요리사'에 출연한 김도윤 셰프의 윤서울, 조셉 리저우드 셰프의 에빗 등이 미쉐린 1스타를 받았다.


화제성만큼이나 논란도 끊이지 않는다. 음식에 대한 취향과 평가는 사람마다 다를 수밖에 없는데 이를 공정하게 평가할 수 있냐는 것이다. 또 미쉐린이 프랑스에 기반을 두고 있는 만큼, 한식·중식 등 다른 문화권 음식을 완전히 이해하긴 어려울 것이란 지적도 나온다.
미쉐린 별을 받은 뒤 비용 상승 등 리스크를 감당하지 못하고 폐업하는 경우도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른바 '별의 저주'다. 영국 경제지 이코노미스트는 대니얼 샌즈 런던대 경영학과 교수의 연구를 인용해 미쉐린 별을 받으면 주목도가 높아지지만 그만큼 식당이 충족시켜야 하는 고객들의 기대치가 높아져 비용 상승이 불가피해지면서 경영 구조가 취약해지기 쉽다고 지적했다. 1998년부터 현재까지 미쉐린 3스타를 유지하고 있는 프랑스의 피에르 가니에르 셰프도 1986년 2스타, 1993년 3스타 반열에 올랐음에도 경영난을 이기지 못하고 1996년 부도를 냈다가 간신히 재기에 성공한 바 있다.
별을 유지하지 못하면 매출이 떨어지거나 평판이 좋지 못할 것이란 중압감도 크다. 2003년 프랑스의 베르나르 루아조 셰프는 3스타에서 2스타로 강등될 것이란 루머에 괴로워하다 결국 극단적인 선택을 했다. 2017년 프랑스의 세바스티앙 브라 셰프는 10년간 유지해온 3스타를 반납하면서 "미쉐린 평가에 연연하지 않고 새로운 요리를 개발할 수 있게 돼 마음 편하다"고 털어놓은 바 있다.




박현주 기자 phj0325@asiae.co.kr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미쉐린
    #스타
    #식당
    #요리사
    #타이어
    #관심
    #회사
    #흑백
    #셰프
    #시작
포인트 뉴스 모아보기
트렌드 뉴스 모아보기
이 기사, 어떠셨나요?
  • 기뻐요
  • 기뻐요
  • 0
  • 응원해요
  • 응원해요
  • 0
  • 실망이에요
  • 실망이에요
  • 0
  • 슬퍼요
  • 슬퍼요
  • 0
댓글
정보작성하신 댓글이 타인의 명예훼손, 모욕, 성희롱, 허위사실 유포 등에 해당할 경우 법적 책임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최신순
    추천순
    답글순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IT 주요뉴스
  • 1
  • 넥슨, 국내 게임사 최초 매출 4조원 돌파…'中 던파모바일'·'퍼스트 디센턴트' 론칭 성공
    중앙이코노미뉴스
    0
  • 넥슨, 국내 게임사 최초 매출 4조원 돌파…'中 던파모바일'·'퍼스트 디센턴트' 론칭 성공
  • 2
  • 1억3000만원에 내놨는데 순식간에 품절…'칼군무' 추던 휴머노이드 로봇
    아시아경제
    0
  • 1억3000만원에 내놨는데 순식간에 품절…'칼군무' 추던 휴머노이드 로봇
  • 3
  • 엠게임, 2024년 매출 834억원…3년 연속 신기록
    일간스포츠
    0
  • 엠게임, 2024년 매출 834억원…3년 연속 신기록
  • 4
  • 당진-광양-포항시, 철강산업 위기 극복 긴급 대책회의 개최
    아시아경제
    0
  • 당진-광양-포항시, 철강산업 위기 극복 긴급 대책회의 개최
  • 5
  • [써보니]"누르지 마세요, 말하세요" 대화하는 AI폰 갤럭시S25
    아시아경제
    0
  • [써보니]"누르지 마세요, 말하세요" 대화하는 AI폰 갤럭시S25
  • 6
  • 형지엘리트, 작년 하반기 영업이익 13억…전년比 15배↑
    아시아경제
    0
  • 형지엘리트, 작년 하반기 영업이익 13억…전년比 15배↑
  • 7
  • 장 건강·체지방 감소…동원F&B,'GNC 비피도 핏 다이어트' 출시
    아시아경제
    0
  • 장 건강·체지방 감소…동원F&B,'GNC 비피도 핏 다이어트' 출시
  • 8
  • NHN, 티메프 사태 여파로 지난해 적자…매출은 연간 최대
    일간스포츠
    0
  • NHN, 티메프 사태 여파로 지난해 적자…매출은 연간 최대
  • 9
  • 국정 공백 속 재계단체 '자력구제' 미국行 고군분투
    아시아경제
    0
  • 국정 공백 속 재계단체 '자력구제' 미국行 고군분투
  • 10
  • 넷마블, 2년 적자 끊고 '흑자전환'…작년 영업익 2156억원
    아시아경제
    0
  • 넷마블, 2년 적자 끊고 '흑자전환'…작년 영업익 2156억원
트렌드 뉴스
    최신뉴스
    인기뉴스
닫기
  • 뉴스
  • 투표
  • 게임
  • 이벤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