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아시아경제 ] 미국의 반도체 칩 규제로 직격탄을 맞은 중국의 IT 공룡들이 실리콘밸리에서 인공지능(AI) 인재를 포섭하는 데 사활을 걸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18일(현지시간) 주요 외신은 "알리바바, 바이트댄스, 메이퇀 등 중국 최대 IT 기업들이 최근 몇 달 동안 캘리포니아 실리콘밸리에서 업무 기반을 확장하고 있다"며 "생성형 AI 경쟁에서 우위를 점하고 수익을 창출하는 데 일조할 수 있는 미국 최고의 IT 인재들을 현지 경쟁사들로부터 빼 오고 있다"고 보도했다.
이러한 움직임은 미국의 대(對)중국 반도체 규제망을 극복하려는 노력의 조치 중 하나로 풀이된다. 중국의 IT 기업들은 AI 모델 개발에 필수적인 엔비디아의 AI 칩 수출이 금지되면서 타격을 입은 상황이다. 다만 중국 기술 기업이 소유한 미국 기업이 현지 데이터센터를 통해 첨단 AI 칩에 접근하는 것에 대한 규제가 없어 중국 기술 기업들의 미국행이 가속화되는 분위기다. 이에 상무부는 지난 1월 클라우드 서비스 제공업체가 AI 모델을 훈련하는 이용자의 신원을 확인하고 활동을 보고하도록 하는 규칙을 제안한 상태다.
중국 최대 전자상거래 업체 알리바바는 실리콘밸리 인근 서니베일에서 AI팀을 모집하고 있으며, 현재 챗GPT 개발사인 오픈AI를 비롯한 미국 빅테크(대형 정보기술 기업) 출신 엔지니어, 프로덕트 매니저(PM), AI 연구원들에게 접근한 것으로 전해졌다. 링크트인에도 구인 공고를 내 미국의 응용 과학자와 머신 러닝 엔지니어, 제품 마케팅 매니저를 뽑는 중이다.
소식통은 알리바바의 한 채용 담당자가 IT 종사자들에게 이메일을 보내 이직을 제안하며 해당 AI팀을 별도의 스타트업으로 분사할 계획임을 알렸다고 전했다. 또 이 AI팀은 알리바바 인터내셔널 디지털 커머스 그룹이 준비 중인 AI 기반 검색 엔진(Accio)에 집중할 예정이라고 덧붙였다.
중국판 '배달의 민족' 메이퇀 역시 치열한 인재 영입전에 나섰다. 소식통들은 메이퇀 경영진이 AI 개발 경쟁에서 뒤지고 있다는 사실을 인지한 후 지난 몇 달간 실리콘밸리에 팀을 꾸려왔다고 설명했다. 오픈AI 출신의 한 연구원은 메이퇀과 알리바바를 포함해 중국 IT기업들로부터 이직 권유 문자 폭탄을 받은 바 있다고 토로하기도 했다.
앞서 왕싱 메이퇀 최고경영자(CEO)는 공동 창업자인 왕후이원을 회사로 복귀시켜 메뉴 번역 기능과 가상비서 등 AI 관련 사업 방향을 모색하는 GN06이라는 차세대 AI 팀을 이끌도록 했다. 소식통은 일부 직원들이 실리콘밸리와 중국 양쪽에서 근무 시간을 쪼개 일하고 있다고 밝혔다.
틱톡 모회사인 바이트댄스의 경우 이미 실리콘밸리에서 탄탄한 AI 입지를 구축한 것으로 평가된다. 한 연구팀은 틱톡에 AI 기능을 통합하는 데 주력하고 있으며, 중국과 싱가포르에 있는 직원들과 함께 도우바오(Doubao) 챗봇 모델을 연구하는 그룹도 존재한다. 중국 최대 검색 엔진을 운영하는 바이두 역시 과거 실리콘밸리에서 음성 인식 및 자율주행을 연구하는 수백명 규모의 AI 연구소를 운영했으나, 내부 갈등으로 인한 주요 인력 이탈과 및 미·중 관계 악화로 현재는 미국 사업을 대폭 축소한 것으로 전해졌다.
최신순
추천순
답글순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