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아시아경제 ] 국토교통부가 국내 모든 항공사에 안전관리 강화를 지시하는 공문을 보낸 것으로 알려졌다. 사고 항공기 기종인 '보잉 737-800'(B737-800)을 보유한 항공사 6곳에는 항공안전감독관을 보낼 것을 예고했다.
30일 국토부에 따르면 국토부는 전날 항공사와 각 지방항공청, 양대 공항공사 등 유관기관에 '항공 안전 강화 지시' 공문을 보냈다. 국토부는 항공사를 향해 "비행 전 항공기 점검과 출발 전 조종사 브리핑을 철저히 해달라"며 "기상 상태 모니터링을 강화하고 제반 안전 규정 준수를 철저히 해달라"고 전했다.
휴식시간과 비정상 상황에서의 안전 수칙 준수, 무리한 운항 차단, 관제기관 지시 준수 등도 당부했다.
지방항공청에는 "관제 업무 감독을 철저히 해달라"고 했고, 항공운항과와 항공기술과엔 "항공기 종합통제 모니터링을 강화하고 필요시 공항에 감독관을 파견하고 현지 감독 활동을 강화해달라"고 안내했다.
이튿날에는 B737-800을 보유한 제주항공과 대한항공, 이스타항공, 티웨이항공, 진에어, 에어인천에 재차 공문을 보냈다. 이날부터 내년 1월3일까지 국토부 항공안전감독관을 보내 조종사 교육 훈련, 엔진·랜딩기어 등을 점검하겠다는 내용이다.
사고 기종인 B737-800은 제주항공이 39대로 가장 많이 운용하고 있다. 다음으로 티웨이항공 27대, 진에어 19대, 이스타항공 10대, 에어인천 4대, 대한항공 2대 순이다.
김영원 기자 forever@asiae.co.kr
최신순
추천순
답글순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