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
0
5
0
IT
"한국서 AI 대중화"…5000만 쓰는 카카오, 오픈AI와 손잡은 까닭은
    입력 2025.02.05 11:30
    0

[ 아시아경제 ] 5000만명이 쓰는 카카오톡을 만든 카카오가 오픈AI와 손잡은 이유는 인공지능(AI) 업계에서 뒤처진 입지를 만회하고 한국 시장에서 ‘AI 대중화’를 이끌기 위해서다. 국내 업체 가운데 오픈AI와 전략적 제휴를 맺은 건 카카오가 처음이다.

정신아 카카오 대표는 샘 올트먼 오픈AI 최고경영자(CEO)와 4일 이 같은 제휴를 전격 발표하며 올해 출시될 자사 AI 서비스인 ‘카나나(KANANA)’에 오픈AI 모델을 도입하겠다고 밝혔다. 양 사 간 협력 방향을 세 가지 문답으로 정리했다.

챗GPT 개발사 오픈AI 창업자인 샘 올트먼 최고경영자(CEO)와 정신아 카카오 대표가 4일 서울 중구 플라자호텔에서 열린 '카카오 미디어데이'에 참석해 사진촬영 하고 있다. 강진형 기자

-‘카나나’에서 ‘오픈AI 모델’은 어떤 방식으로 구현되나.

▲카나나는 ‘AI 비서’를 지향하는 카카오의 AI 서비스다. 이용자가 어떤 질문을 했을 때 카카오톡에서 나눴던 대화의 맥락에서 주요 정보를 기억해 최적화된 답변을 제시하는 게 특징이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홍대 맛집 찾아줘’라는 요청을 보내면 카나나는 사용자가 과거 카카오톡에서 나눴던 음식 관련 대화를 기반으로 좋아할 만한 음식점을 추천해주는 식이다. 이렇게 이용자 대화에서 나오는 일정과 업무를 AI 모델이 분석해 알려줘야 하는데 그 역할을 오픈AI의 모델이 수행해 주는 것이다. 예를 들어 카나나는 사용자의 질문을 인지하고 대답을 전달하는 눈, 귀, 입과 같은 역할을 한다. 오픈AI 모델은 ‘두뇌’의 역할을 맡는다. 카나나를 통해 질문을 받으면 이에 대한 답을 해주기 위해 추론과 학습을 담당한다.

-양 사 간 기술 개발 진행 상황은.

▲카나나에 오픈AI의 모델을 활용하는 것 외에도 양 사가 공동으로 새로운 AI 상품을 개발하는 두 가지 방향으로 진행된다. 양 사 공동개발은 아직 구체적인 방향이 정해지지 않았지만, 카카오는 오픈AI와의 AI 상품 공동개발을 위한 팀을 꾸린 상태다. 카카오는 AI 후발주자다. 이로 인해 자체 개발한 AI 모델과 외부 AI 모델을 모두 활용하는 ‘모델 오케스트레이션’ 전략을 펼치고 있다. 오픈AI가 챗GPT나 딥리서치와 같은 AI 서비스를 운영하면서 이미 검증된 AI 모델을 여러 개 가지고 있어서 카카오에 오픈AI는 좋은 협업 상대다. 오픈AI에도 카카오가 필요하다. 올트먼 CEO는 한국 AI 시장에 높은 관심을 보이는 동시에 성장 가능성이 높다고 평가했다. 국민 대부분이 쓰는 카카오와 손잡으면 한국에서의 오픈AI 입지를 공고히 할 수 있을 것이라 판단한 것이다.

- 카나나는 언제, 어떻게 쓸 수 있나.

▲카나나는 카카오톡과는 별개인 카나나 애플리케이션(앱)을 통해 구현될 예정이다. 지난해 말 카카오 구성원들을 대상으로 클로즈 베타테스트(CBT)를 마쳤고, 올해 중 일반에 공개한다는 목표다. 서비스는 개인메이트 ‘나나’와 그룹메이트 ‘카나’로 나뉜다. 나나는 이용자와의 개인 채팅방이나 이용자가 참여한 단체 채팅방에서의 대화를 기억해 개인 맞춤 서비스를 제공한다. 카나는 단체 채팅방에서 나눈 회의 참석 일정과 준비물 등을 기억해 메시지로 알려주는 식으로 동작한다.

정신아 카카오 대표이사가 지난해 10월22일 진행된 개발자 콘퍼런스 'if(kakaoAI) 2024'(이프카카오 AI 2024)에서 통합 AI 브랜드 카나나를 소개하고 있다. 카카오 제공
이명환 기자 lifehwan@asiae.co.kr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까닭
    #카카오
    #개발
    #나나
    #대중
    #모델
    #나는
    #한국
    #오픈
    #카나
포인트 뉴스 모아보기
트렌드 뉴스 모아보기
이 기사, 어떠셨나요?
  • 기뻐요
  • 기뻐요
  • 0
  • 응원해요
  • 응원해요
  • 0
  • 실망이에요
  • 실망이에요
  • 0
  • 슬퍼요
  • 슬퍼요
  • 0
댓글
정보작성하신 댓글이 타인의 명예훼손, 모욕, 성희롱, 허위사실 유포 등에 해당할 경우 법적 책임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최신순
    추천순
    답글순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IT 주요뉴스
  • 1
  • 삼성, 9년 만에 임원 2000명 소집 세미나…위기 극복 취지
    아시아경제
    0
  • 삼성, 9년 만에 임원 2000명 소집 세미나…위기 극복 취지
  • 2
  • 에스피지, 소형 모터 감속기 국산화 선도? 로봇시장까지 확대
    RNX News
    0
  • 에스피지, 소형 모터 감속기 국산화 선도? 로봇시장까지 확대
  • 3
  • 컴투스 '서머너즈 워: 러쉬', 태국 구글 플레이 RPG 1위 등극
    일간스포츠
    0
  • 컴투스 '서머너즈 워: 러쉬', 태국 구글 플레이 RPG 1위 등극
  • 4
  • [부고] 백인수(스피릿제로 대표)씨 별세
    일간스포츠
    0
  • [부고] 백인수(스피릿제로 대표)씨 별세
  • 5
  • 중독성에 현금보상 매력…보안 우려에도 국내서 잘 나가는 '틱톡'
    아시아경제
    0
  • 중독성에 현금보상 매력…보안 우려에도 국내서 잘 나가는 '틱톡'
  • 6
  • 아영FBC 무드서울, 세빛섬 관광특구 지정에 "주류 무한 제공“
    아시아경제
    0
  • 아영FBC 무드서울, 세빛섬 관광특구 지정에 "주류 무한 제공“
  • 7
  • 엔씨소프트 리니지W, 리부트 월드 ‘오크’ 오픈
    중앙이코노미뉴스
    0
  • 엔씨소프트 리니지W, 리부트 월드 ‘오크’ 오픈
  • 8
  • '선수 관리'까지 나선 까스텔바작…'적자 늪' 탈출 안간힘
    아시아경제
    0
  • '선수 관리'까지 나선 까스텔바작…'적자 늪' 탈출 안간힘
  • 9
  • 한국패션산업협회, '한국패션협회'로 명칭 변경…"K패션 지원 강화"
    아시아경제
    0
  • 한국패션산업협회, '한국패션협회'로 명칭 변경…"K패션 지원 강화"
  • 10
  • 로보티즈, 비용 절감·정부 지원 효과로 실적 개선세
    RNX News
    0
  • 로보티즈, 비용 절감·정부 지원 효과로 실적 개선세
트렌드 뉴스
    최신뉴스
    인기뉴스
닫기
  • 뉴스
  • 투표
  • 게임
  • 이벤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