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
0
5
0
IT
韓, 주요국 대비 한계기업 급증…"수익성 악화 기인"
    입력 2025.02.06 06:00
    0

[ 아시아경제 ] 한국의 상장사 가운데 '한계기업' 비중이 코스닥 상장기업을 중심으로 크게 높아지는 경향이 나타났다. 경기 침체 장기화로 기업들의 수익성이 악화한 데 기인한 결과라는 분석이 나왔다.

한국경제인협회는 미국·일본·독일·영국·프랑스 등 주요국(G5)과 한국 상장사의 한계기업 추이를 분석한 결과, 한국의 한계기업 증가 속도가 미국 다음으로 빠르다고 6일 밝혔다.

한계기업은 3년 연속 이자보상배율(영업이익/이자비용)이 1 미만, 일시적 한계기업은 당해 연도 1 미만인 기업을 뜻한다. 한계기업이 많다는 건 그만큼 산업 경쟁력이 떨어진다는 뜻이다.

지난해 3분기 기준 한국의 한계기업 비중은 19.5%로 나타났다. 미국(25.0%)에 이어 두 번째로 높은 것이다. 한국의 한계기업 비중은 2016년 7.2%에서 지난해 3분기까지 12.3% 늘었다. 증가 폭도 미국(15.8%)에 이어 두 번째로 높았다. 같은 기간 영국(6.7%→13.6%), 프랑스(14.0%→19.4%), 일본(1.7%→4.0%), 독일(17.1%→18.7%) 등은 1~6%대로 비교적 증가율이 낮았다.

한경협은 한국의 한계기업이 주요국 대비 빠르게 증가한 이유에 대해 경기 부진 장기화에 따른 판매 부진 및 재고 증가로 기업의 수익성이 크게 악화됐기 때문이라고 분석했다.

일시적 한계기업도 같은 양상을 보였다. 미국(37.3%)에 이어 한국(36.4%)이 두 번째다.

특히 지난해 3분기 코스닥의 한계기업 비중은 23.7%로, 코스피(10.9%)에 비해 12.8% 높게 나타났다. 추이를 보면 코스피는 2016년 이후 2.5% 늘었지만, 같은 기간 코스닥은 17.1% 증가했다. 경기 부진 장기화로 인한 타격을 중소기업이 더 크게 받고 있다는 점을 시사한다.

마찬가지로 지난해 3분기 기준 업종별 분석에선 ▲부동산업(33.3%) ▲전문·과학 및 기술 서비스업(24.7%) ▲도소매업(24.6%) ▲정보통신업(24.2%) 순으로 한계기업 비중이 높게 나타났다. 2016년 이후 한계기업이 크게 오른 업종은 ▲전문·과학 및 기술 서비스업(4.0%→24.7%) ▲정보통신업(4.5%→24.2%) ▲제조업(7.4%→18.1%) ▲도소매업(15.0%→24.6%) 등이다.

이상호 한경협 경제산업본부장은 "최근 국내 기업들은 극심한 내수 부진과 트럼프 2기 출범에 따른 수출 불확실성으로 경영 압박이 크게 가중되고 있는 상황"이라고 진단했다. 이어 "기업들이 직면한 난관을 극복하고 미래 글로벌 경쟁력을 선점할 수 있도록 제도적 지원을 강화해야 한다"며 "글로벌 스탠다드에 맞지 않는 상법 개정 논의는 지양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장희준 기자 junh@asiae.co.kr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기업
    #급증
    #미국
    #한계
    #악화
    #비중
    #증가
    #한국
    #기인
    #주요국
포인트 뉴스 모아보기
트렌드 뉴스 모아보기
이 기사, 어떠셨나요?
  • 기뻐요
  • 기뻐요
  • 0
  • 응원해요
  • 응원해요
  • 0
  • 실망이에요
  • 실망이에요
  • 0
  • 슬퍼요
  • 슬퍼요
  • 0
댓글
    최신순
    추천순
    답글순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IT 주요뉴스
  • 1
  • 컴투스 '서머너즈 워' 한일 라이벌전 국가대표 라인업 공개
    일간스포츠
    0
  • 컴투스 '서머너즈 워' 한일 라이벌전 국가대표 라인업 공개
  • 2
  • 달탐사선 '다누리' 임무기간 2년 추가 연장
    아시아경제
    0
  • 달탐사선 '다누리' 임무기간 2년 추가 연장
  • 3
  • [알짜배기 지식재산]황금알 낳는 표준특허, AI 분야는 ETRI가 1위
    아시아경제
    0
  • [알짜배기 지식재산]황금알 낳는 표준특허, AI 분야는 ETRI가 1위
  • 4
  • 휴머노이드는 국력, '패스트 팔로워' 돼야
    아시아경제
    0
  • 휴머노이드는 국력, '패스트 팔로워' 돼야
  • 5
  • "삼성·LG 세탁기 때문에 우리가 망해" 트럼프 주장에…"가격만 올랐다"
    아시아경제
    0
  • "삼성·LG 세탁기 때문에 우리가 망해" 트럼프 주장에…"가격만 올랐다"
  • 6
  • 롯데칠성, 과일탄산주 '레몬진' 패키지 4년 만에 새단장
    아시아경제
    0
  • 롯데칠성, 과일탄산주 '레몬진' 패키지 4년 만에 새단장
  • 7
  • 카카오게임즈-다나와, '배그·POE 1,2' 마케팅 업무협약 체결
    중앙이코노미뉴스
    0
  • 카카오게임즈-다나와, '배그·POE 1,2' 마케팅 업무협약 체결
  • 8
  • NHN 클라우드, ‘NHN Cloud 기술 인증 자격증’ 출시
    중앙이코노미뉴스
    0
  • NHN 클라우드, ‘NHN Cloud 기술 인증 자격증’ 출시
  • 9
  • 시민단체 "닭가슴살서 체모 검출"…하림 "식물성 유기체"
    아시아경제
    0
  • 시민단체 "닭가슴살서 체모 검출"…하림 "식물성 유기체"
  • 10
  • HD한국조선해양, LNG 벙커링선 4척 수주…5000억대 규모
    아시아경제
    0
  • HD한국조선해양, LNG 벙커링선 4척 수주…5000억대 규모
트렌드 뉴스
    최신뉴스
    인기뉴스
닫기
  • 뉴스
  • 투표
  • 게임
  • 이벤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