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아시아경제 ] 한국의 상장사 가운데 '한계기업' 비중이 코스닥 상장기업을 중심으로 크게 높아지는 경향이 나타났다. 경기 침체 장기화로 기업들의 수익성이 악화한 데 기인한 결과라는 분석이 나왔다.
한국경제인협회는 미국·일본·독일·영국·프랑스 등 주요국(G5)과 한국 상장사의 한계기업 추이를 분석한 결과, 한국의 한계기업 증가 속도가 미국 다음으로 빠르다고 6일 밝혔다.
한계기업은 3년 연속 이자보상배율(영업이익/이자비용)이 1 미만, 일시적 한계기업은 당해 연도 1 미만인 기업을 뜻한다. 한계기업이 많다는 건 그만큼 산업 경쟁력이 떨어진다는 뜻이다.
지난해 3분기 기준 한국의 한계기업 비중은 19.5%로 나타났다. 미국(25.0%)에 이어 두 번째로 높은 것이다. 한국의 한계기업 비중은 2016년 7.2%에서 지난해 3분기까지 12.3% 늘었다. 증가 폭도 미국(15.8%)에 이어 두 번째로 높았다. 같은 기간 영국(6.7%→13.6%), 프랑스(14.0%→19.4%), 일본(1.7%→4.0%), 독일(17.1%→18.7%) 등은 1~6%대로 비교적 증가율이 낮았다.
한경협은 한국의 한계기업이 주요국 대비 빠르게 증가한 이유에 대해 경기 부진 장기화에 따른 판매 부진 및 재고 증가로 기업의 수익성이 크게 악화됐기 때문이라고 분석했다.
일시적 한계기업도 같은 양상을 보였다. 미국(37.3%)에 이어 한국(36.4%)이 두 번째다.
특히 지난해 3분기 코스닥의 한계기업 비중은 23.7%로, 코스피(10.9%)에 비해 12.8% 높게 나타났다. 추이를 보면 코스피는 2016년 이후 2.5% 늘었지만, 같은 기간 코스닥은 17.1% 증가했다. 경기 부진 장기화로 인한 타격을 중소기업이 더 크게 받고 있다는 점을 시사한다.
마찬가지로 지난해 3분기 기준 업종별 분석에선 ▲부동산업(33.3%) ▲전문·과학 및 기술 서비스업(24.7%) ▲도소매업(24.6%) ▲정보통신업(24.2%) 순으로 한계기업 비중이 높게 나타났다. 2016년 이후 한계기업이 크게 오른 업종은 ▲전문·과학 및 기술 서비스업(4.0%→24.7%) ▲정보통신업(4.5%→24.2%) ▲제조업(7.4%→18.1%) ▲도소매업(15.0%→24.6%) 등이다.
이상호 한경협 경제산업본부장은 "최근 국내 기업들은 극심한 내수 부진과 트럼프 2기 출범에 따른 수출 불확실성으로 경영 압박이 크게 가중되고 있는 상황"이라고 진단했다. 이어 "기업들이 직면한 난관을 극복하고 미래 글로벌 경쟁력을 선점할 수 있도록 제도적 지원을 강화해야 한다"며 "글로벌 스탠다드에 맞지 않는 상법 개정 논의는 지양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장희준 기자 junh@asiae.co.kr
최신순
추천순
답글순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