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
0
5
0
IT
네이버 최수연, 작년 연봉 20억원…전년比 46% 증가
    입력 2025.03.18 16:47
    0

[ 아시아경제 ] 최수연 네이버 대표가 지난해 보수총액으로 19억6900만원을 수령했다. 이는 직전 연도인 2023년도(13억4900만원) 대비 45.96% 늘어난 액수다.

18일 네이버가 금융감독원 전자공시시스템에 공시한 사업보고서에 따르면 최 대표는 지난해 급여로 7억원, 상여 12억2800만원, 기타 근로소득 4110만원 등을 수령했다. 기타소득은 복리후생 등으로 구성돼 있다.

최수연 네이버 대표가 지난해 8월 서울 강남구 그랜드인터컨티넨탈 서울파르나스에서 열린 '팀 네이버 콘퍼런스 단23'에서 초거대 인공지능(AI) 서비스를 위한 거대언어모델 '하이퍼 클로바X'를 공개하고 있다. 강진형 기자

급여와 인센티브는 네이버 이사회 산하 리더십&보상위원회에서 책정하고 있다. 이 위원회는 이사회 의장인 변대규 휴맥스홀딩스 회장이 이사무엘·정도진 사외이사와 운영한다. 급여는 개인의 역할과 수행 직무의 가치를 고려해 결정하고, 인센티브는 세금·이자·감가상각 전 영업이익(EBITDA)을 비롯한 비계량 지표를 기준으로 판단한다. 비계량 지표로는 ▲인공지능(AI) 모델 다각화 ▲B2B 비즈니스 방향성 제시 ▲네이버 애플리케이션(앱) 개편 ▲클립·치지직 같은 신규 서비스 등이 고려됐다. 이와 함께 양도제한 조건부 주식(RSU)가 3031주(기준주가 18만7400원) 지급됐다.

복귀를 예고한 창업자 이해진 글로벌투자책임자(GIO)는 지난해 19억3700만원의 보수를 수령한 것으로 나타났다. 급여 12억4000만원, 상여 5억6000만원, 기타소득 1억3660만원 등이 지급됐다.

같은 기간 네이버 직원들의 1인 평균 급여액은 1억2900만원(스톡옵션 행사차익 반영)으로 2023년(1억1900만원) 대비 소폭 상승했다. 성별로는 남성·여성 직원들의 평균 수령액이 각각 1억4100만원과 1억1300만원으로 집계됐다.

전영주 기자 ange@asiae.co.kr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연봉
    #지난해
    #급여
    #네이
    #전년
    #수령
    #대표
    #증가
    #작년
    #최수연
트렌드 뉴스 모아보기
이 기사, 어떠셨나요?
  • 기뻐요
  • 기뻐요
  • 0
  • 응원해요
  • 응원해요
  • 0
  • 실망이에요
  • 실망이에요
  • 0
  • 슬퍼요
  • 슬퍼요
  • 0
댓글
정보작성하신 댓글이 타인의 명예훼손, 모욕, 성희롱, 허위사실 유포 등에 해당할 경우 법적 책임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최신순
    추천순
    답글순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IT 주요뉴스
  • 1
  • [SK 리밸런싱 중간점검]SK하이닉스 실적 반등 이후 '의존도 75%' 이익 쏠림
    아시아경제
    0
  • [SK 리밸런싱 중간점검]SK하이닉스 실적 반등 이후 '의존도 75%' 이익 쏠림
  • 2
  • 서울시, 천일에너지와 '국제정원박람회 기업동행정원' 조성 협약
    아시아경제
    0
  • 서울시, 천일에너지와 '국제정원박람회 기업동행정원' 조성 협약
  • 3
  • "벌써 무더위"…KBO 손잡은 탱크보이, 길어진 여름 사냥
    아시아경제
    0
  • "벌써 무더위"…KBO 손잡은 탱크보이, 길어진 여름 사냥
  • 4
  • 연구장려금 지원 대상 2배 늘이는 등 과학기술 인재양성 박차
    아시아경제
    0
  • 연구장려금 지원 대상 2배 늘이는 등 과학기술 인재양성 박차
  • 5
  • 5월부터 29개 대학 이공계 대학원생에 매달 80만~110만원 지원
    아시아경제
    0
  • 5월부터 29개 대학 이공계 대학원생에 매달 80만~110만원 지원
  • 6
  • 삼성, 임원들에게 "SK 유심 교체하라" 긴급 지시
    아시아경제
    0
  • 삼성, 임원들에게 &quot;SK 유심 교체하라&quot; 긴급 지시
  • 7
  • [딥테크]HBM을 과학관에서 볼 수 있어야 하는 이유
    아시아경제
    0
  • [딥테크]HBM을 과학관에서 볼 수 있어야 하는 이유
  • 8
  • 전기차 만들때 수작업 필수인데…로봇화 성공한 이 기업[테크토크]
    아시아경제
    0
  • 전기차 만들때 수작업 필수인데…로봇화 성공한 이 기업[테크토크]
  • 9
  • 수출 제조기업 53.4% "공급망 악화 우려"‥대응 전략 마련 시급
    아시아경제
    0
  • 수출 제조기업 53.4% &quot;공급망 악화 우려&quot;‥대응 전략 마련 시급
  • 10
  • 현대그린푸드, 청년 농부 지원 확대…온·오프라인 전문관 조성
    아시아경제
    0
  • 현대그린푸드, 청년 농부 지원 확대…온·오프라인 전문관 조성
트렌드 뉴스
    최신뉴스
    인기뉴스
닫기
  • 투표
  • 스타샵
  •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