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대차에서 "출근길 브리핑 해줘"라고 말하면 네이버의 생성형 AI가 길 안내서부터 날씨, 뉴스, 일정 등을 브리핑한다. 운전자가 추가로 필요한 정보를 음성으로 검색하거나 일정과 관련된 음식점에서 메뉴를 주문하거나 예약·결제까지 하도록 지원한다.
네이버는 현대자동차그룹과의 첫 파트너십으로 현대자동차그룹의 개발자 콘퍼런스 ‘Pleos 25’에서 차량용 AI 에이전트 모습의 일부를 미리 공개했다고 28일 밝혔다.
네이버는 현대자동차그룹의 SDV(Software Defined Vehicle, 소프트웨어 중심 차량)에 네이버앱, 네이버 지도를 탑재하고, 네이버의 AI 기술과 서비스로 차량에서의 AI 에이전트 서비스의 시동을 걸 예정이다.
모빌리티 환경에서 끊김없는 사용자 흐름을 설계하는 이재후 네이버앱 부문장은 'AI 기반으로 연결되는 모바일 네이버 서비스 – 모빌리티'를 주제로 Pleos25 콘퍼런스 연사로 참여한다.
이 부문장은 사용자가 SDV 차량 내에 탑재된 하이퍼클로바X를 사용할 경우 사용자의 발화 의도를 파악하고, 이를 기반으로 차량 내에서 모바일 서비스 간의 경험을 자연스럽게 연결하는 음성검색, AI 브리핑, 장소 추천 등 개인화된 서비스를 경험할 수 있다는 점을 강조했다.
네이버는 현대자동차그룹의 Pleos OS 및 Gleo AI에, 하이퍼클로바X를 적용한 새로운 모빌리티 AI 에이전트를 개발하는데 협업했다.
네이버는 'Pleos 25'에 별도 부스를 설치하고, 네이버가 현대자동차그룹에 선보이게 될 모빌리티 AI 에이전트 서비스를 사용자들이 미리 경험해볼 수 있도록 했다.
한편, 네이버는 최수연 대표 2기 체제를 시작하며 ‘온 서비스(on Service) AI’라는 방향성 아래 AI를 활용해 검색, 커머스 등 자체 서비스도 강화해나가고 있다. 또한 서울대병원 등 의료 분야 AI 협력을 확대해 나가는 등 외부와 함께 다양한 분야로의 AI 적용을 추진하고 있다.
최신순
추천순
답글순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