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앙이코노미뉴스 엄현식] '괴물 산불'에 서울 면적 80% 이상이 피해 영향권에 놓였다.
중앙재난안전대책본부에 따르면 이번 산불로 산림 4만8150㏊ 규모가 피해 영향에 놓였다고 밝혔다.
이는 산불 피해 1위를 기록했던 2000년 동해안 산불 피해를 뛰어넘는 수치다.
4만8150㏊는 축구장 크기(0.714㏊)로 환산할 경우 약 6만7400개, 여의도 면적(290㏊)의 166배, 서울 면적(6만523㏊)의 80%, 제주도(18만5천27㏊)의 26%에 달한다.
이번 산불로 많은 인명피해도 발생했다.
중대본에 따르면 이날 오전 6시 기준 산불 피해가 극심한 경북지역에서 중상 1명, 경상 4명이 추가돼 사망 28명, 중상 9명, 경상 28명 등 65명으로 늘어났다.
이재민도 늘고 있다. 산불 사태로 이재민 3만3000여명이 발생했고 아직 귀가하지 못한 주민은 2407세대·8078명으로 파악됐다
진화율은 이날 오전 5시 기준 경북 의성(진화율 95%)과 안동(85%), 영덕(65%), 영양(76%), 청송(89%), 경남 산청·하동(86%) 등 6곳이다. 평균 진화율은 83%다.
전북 무주와 경남 김해, 충북 옥천, 울산 울주 언양·온양 등 5곳은 앞서 진화작업이 마무리됐다.
임상섭 산림청장은 이날 오전 9시 브리핑에서 "오늘 내로 주불을 진화할 수 있도록 모든 자원을 집중적으로 투입할 방침"이라고 밝혔다.
그는 "밤사이 내린 비로 연무가 적어져 시야 확보가 유리하고, 기온이 이전보다 낮아져 산불 진화에 유리한 상황"이라며 "헬기와 인력 등 자원을 최대한 투입해 진화가 가능하도록 총력을 기울이겠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하회마을 등 안동 지역 주요 시설물은 현재로써 피해가 거의 없을 정도로 산불 정리가 잘된 상태" 설명했다.
또 "항공 드론은 공중헬기가 있는 주간에는 투입이 불가능해 야간에만 운용한다"며 "그간 진화 면적, 풍속, 산불의 세기 등 여건을 봤을 때 드론을 투입할 수준은 아니었다"고 전했다.
최신순
추천순
답글순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