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
0
5
0
오피니언
오줌으로 도시 폐수를 정화한다고? [달콤한 사이언스]
    유용하 과학전문기자
    입력 2025.01.23 12:15
    0

소변 에서 농작물 비료뿐만 아니라 도시 폐수를 정화할 수 있는 물질을 추출하는 방법이 개발됐다.미국 리치어스 연구소 제공
소변 에서 농작물 비료뿐만 아니라 도시 폐수를 정화할 수 있는 물질을 추출하는 방법이 개발됐다.미국 리치어스 연구소 제공

1980~1990년대 남자 중고등학교 화장실에는 소변 수거통이 따로 있었다. 오줌 속에 있는 요소를 이용해 비료를 추출하기 위해서였다. 옛날이야기 같지만, 최근 환경 보호를 위해 소변을 활용해 비료 원료를 추출하는 기술이 다시 주목받고 있다.

이런 가운데, 중국 헤이난대 물리·전자공학부, 칭다오대 물리학부, 미국 스탠퍼드대 기계공학과 공동 연구팀은 소변에서 농작물 비료뿐만 아니라 도시 폐수를 정화할 수 있는 물질을 추출할 수 있는 방법을 새로 개발했다고 23일 밝혔다. 이 연구 결과는 화학 분야 국제 학술지 ‘네이처 촉매’ 1월 21일 자에 실렸다.

오줌에는 비료의 핵심 성분인 질소가 풍부한 요소라는 화합물이 포함돼 있다. 이 때문에 소변은 농업 분야에서 활용도가 높아 ‘액체 황금’이라고 불리기도 하지만, 실제로는 폐기물로 처리되는 경우가 훨씬 많다. 그래서, 폐수 처리 공학 분야에서는 방대한 양의 소변을 저장하고 요소를 유용한 화학 물질로 전환하는 메커니즘 개발이 주요 관심사로 떠오르고 있다.

연구팀은 전기화학 반응을 이용해 복잡한 처리 단계를 거치지 않고 폐수와 소변에서 거의 100% 순수한 요소의 고체 유도체 ‘퍼카바마이드’(percarbamide)로 변환시키는 데 성공했다. 연구팀은 탄소 기반 전극을 촉매로 사용하고 대기 중 산소를 사용해 기존 반응보다 낮은 온도와 압력에서 퍼카바마이드를 생성했다. 이렇게 추출해 수집된 퍼카바마이드는 수처리, 소독, 작물 성장 개선 등 다양한 분야에서 활용될 수 있다.

이번에 개발된 메커니즘은 사람과 포유류 소변 모두에 적용할 수 있으며, 다른 방법보다 더 간단하고 저렴하며 순도가 높은 제품을 생산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연구팀은 경제적 분석을 통해 하루 1t의 퍼카바마이드를 생산하기 위해서는 100㎡의 공간과 6382가구나 소 3800마리의 소변을 수집하면 되는 것으로 조사돼 비용 효율성도 높은 것으로 확인됐다.

연구를 이끈 시아오린 챙 미국 스탠퍼드대 교수는 “이번 연구 결과는 경제적이고 환경적 가치를 지닌 대규모 폐수 처리 기술 개발에 도움을 줄 것”이라며 “화학적 방법으로 합성하는 비료보다 토양에도 부담을 덜하고 추출 방법도 훨씬 저렴하다”라고 설명했다.

    #사이
    #오줌
    #추출
    #언스
    #개발
    #정화
    #방법
    #소변
    #도시
    #비료
포인트 뉴스 모아보기
트렌드 뉴스 모아보기
이 기사, 어떠셨나요?
  • 기뻐요
  • 기뻐요
  • 0
  • 응원해요
  • 응원해요
  • 0
  • 실망이에요
  • 실망이에요
  • 0
  • 슬퍼요
  • 슬퍼요
  • 0
댓글
정보작성하신 댓글이 타인의 명예훼손, 모욕, 성희롱, 허위사실 유포 등에 해당할 경우 법적 책임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최신순
    추천순
    답글순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오피니언 주요뉴스
  • 1
  • [인사] 중앙이코노미뉴스
    중앙이코노미뉴스
    0
  • [인사] 중앙이코노미뉴스
  • 2
  • [인사] 우리카드
    중앙이코노미뉴스
    0
  • [인사] 우리카드
  • 3
  • 고충 직접 듣고, 맞춤 정책으로… 광진 청년들은 좋겠네
    서울신문
    0
  • 고충 직접 듣고, 맞춤 정책으로… 광진 청년들은 좋겠네
  • 4
  • ‘돌직구’ 발언보다 풍자가 더 위험한 이유…[달콤한 사이언스]
    서울신문
    0
  • ‘돌직구’ 발언보다 풍자가 더 위험한 이유…[달콤한 사이언스]
  • 5
  • 설 자리 잃은 재야·시민사회… 한국 정치는 거대 여야만 남았다 [87년 체제 ‘대한민국’만 빼고 다 뜯어고치자]
    서울신문
    0
  • 설 자리 잃은 재야·시민사회… 한국 정치는 거대 여야만 남았다 [87년 체제 ‘대한민국’만 빼고 다 뜯어고치자]
  • 6
  • “어케왔나” 여행금지령 뚫고 북한 여행한 미국인[월드핫피플]
    서울신문
    0
  • “어케왔나” 여행금지령 뚫고 북한 여행한 미국인[월드핫피플]
  • 7
  • 적지 않지만 인생 역전도 애매한 5000만원에 꼬여버린 우리 [오경진 기자의 노이즈캔슬링]
    서울신문
    0
  • 적지 않지만 인생 역전도 애매한 5000만원에 꼬여버린 우리 [오경진 기자의 노이즈캔슬링]
  • 8
  • [최보기의 책보기] 내 인생은 어떻게 흘러갈까?
    서울신문
    0
  • [최보기의 책보기] 내 인생은 어떻게 흘러갈까?
  • 9
  • 예술로 가슴 뛰는 강남[서울펀! 동네힙!]
    서울신문
    0
  • 예술로 가슴 뛰는 강남[서울펀! 동네힙!]
  • 10
  • [부고] 이희범(부영그룹 회장)씨 모친상
    중앙이코노미뉴스
    0
  • [부고] 이희범(부영그룹 회장)씨 모친상
트렌드 뉴스
    최신뉴스
    인기뉴스
닫기
  • 뉴스
  • 투표
  • 게임
  • 이벤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