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
0
5
0
오피니언
고대 그리스·로마 시대에도 심각한 납 오염 있었다 [달콤한 사이언스]
    유용하 과학전문기자
    입력 2025.02.03 13:40
    0

고대 그리스, 로마 시대에는 화폐 주조와 귀금속 세공 등이 활발해 이미 이 때부터 해양 납 오염이 시작됐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프랑스 화가 프랑수아 페리에(1590~1650)의 작품 ‘벌칸의 대장간’.위키피디아 제공
고대 그리스, 로마 시대에는 화폐 주조와 귀금속 세공 등이 활발해 이미 이 때부터 해양 납 오염이 시작됐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프랑스 화가 프랑수아 페리에(1590~1650)의 작품 ‘벌칸의 대장간’.위키피디아 제공

서양 문명의 시작이라는 그리스 문명의 기원은 기원전 약 3000년 전 시작된 미노스 문명까지 거슬러 올라간다. 에게해 크레타섬 중심에서 발생한 문명으로 해상 무역을 통해 번영했으며, 이집트와 메소포타미아와 교류하며 문화를 발전시킨 것으로 알려져 있다. 그런데, 최근 인간 활동으로 인한 납 오염은 지금까지 알려진 것과 달리 인류 문명과 함께 시작됐다는 충격적인 사실이 밝혀졌다.

독일 하이델베르크대 지구과학 연구소, 원시·선사·근동 고고학 연구소, 함부르크대 지리학 연구소, 라이프치히 생명 다양성 변화 분석 연구소, 호헨하임대 생물학 연구소, 프랑크푸르트 괴테대 지구과학과, 베를린 자유대 지질과학 연구소, 튀빙겐대 지질과학과, 그리스 헬레니즘 해양연구센터 공동 연구팀은 에게해 지역의 납 오염은 약 5200년 전부터 시작됐다고 3일 밝혔다. 이 연구 결과는 지구과학 분야 국제 학술지 ‘커뮤니케이션즈 지구와 환경’(Communications Earth & Environment) 1월 31일 자에 실렸다.

해양 납 오염 시기를 추적하기 위해 연구팀이 조사한 에개해 주변 퇴적물 코어 채취 지역들독일 하이델베르크대 제공
해양 납 오염 시기를 추적하기 위해 연구팀이 조사한 에개해 주변 퇴적물 코어 채취 지역들독일 하이델베르크대 제공

연구팀은 에게해 전역에서 채취한 해양 퇴적물 코어와 그리스 북동부의 테나기 필리폰 이탄 지대에서 채취한 퇴적물 코어의 납 함량을 분석했다. 또, 각각의 코어 내 꽃가루와 포자 함량을 분석하고 해당 지역에 대한 유사 데이터와 납 함량 데이터를 결합해 당시 사회적, 문화적 변화에 따라 생태계가 어떤 영향을 받았는지 조사했다.

그 결과, 지금으로부터 약 5200년 전 테나기 필리폰 코어에서 인간에 의한 납 오염 가능성에 대한 최초의 증거를 발견했다. 이는 발칸 반도의 이탄지대 코어에 기록된 가장 오래된 납 오염 의심 사례보다 약 1200년 빠른 것이다. 연구팀은 2150년 전 식생 기록의 변화와 납 오염 신호 증가를 발견했다. 이는 당시 로마 제국이 그리스 지역으로 영토를 확장한 것과 관계가 있는 것으로 연구팀은 분석했다. 해당 시기에는 화폐를 비롯해 각종 물품에 금, 은, 기타 금속들이 많이 사용되면서 납의 사용도 크게 증가했기 때문이라고 설명했다.

연구를 이끈 안드레아스 쿠츠소덴드리스 하이델베르크대 박사는 “이번 연구에 따르면 인간 활동으로 인한 납 오염은 이전에 생각했던 것보다 약 1200년 더 빠르고, 로마 제국이 에게해 지역으로 확장하면서 약 2150년 전 납 오염은 급증한 것으로 보인다”라고 말했다.

    #사이
    #오염
    #고대그리스
    #지역
    #해양
    #코어
    #로마
    #시대
    #연구소
    #시작
포인트 뉴스 모아보기
트렌드 뉴스 모아보기
이 기사, 어떠셨나요?
  • 기뻐요
  • 기뻐요
  • 0
  • 응원해요
  • 응원해요
  • 0
  • 실망이에요
  • 실망이에요
  • 0
  • 슬퍼요
  • 슬퍼요
  • 0
댓글
    최신순
    추천순
    답글순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오피니언 주요뉴스
  • 1
  • 분산에너지·국제정원박람회·트램… 울산, 경쟁력과 품격 높인다
    서울신문
    0
  • 분산에너지·국제정원박람회·트램… 울산, 경쟁력과 품격 높인다
  • 2
  • 이사장에서 ‘병두님’으로… “금융혁신, 먼저 규제와 친해져야”[월요인터뷰]
    서울신문
    0
  • 이사장에서 ‘병두님’으로… “금융혁신, 먼저 규제와 친해져야”[월요인터뷰]
  • 3
  • [인사] 핀포인트뉴스
    중앙이코노미뉴스
    0
  • [인사] 핀포인트뉴스
  • 4
  • 위태로운 K수출… 美 AI 수요 폭발·中제재 강화는 호재 될 수도 [트럼프 2.0 폭풍 시작됐다]
    서울신문
    0
  • 위태로운 K수출… 美 AI 수요 폭발·中제재 강화는 호재 될 수도 [트럼프 2.0 폭풍 시작됐다]
  • 5
  • 딥시크·휴머노이드 로봇까지… 中 ‘젊은 천재’가 이끄는 AI 돌풍[‘딥시크 충격’ AI전쟁 어디로 가나]
    서울신문
    0
  • 딥시크·휴머노이드 로봇까지… 中 ‘젊은 천재’가 이끄는 AI 돌풍[‘딥시크 충격’ AI전쟁 어디로 가나]
  • 6
  • 세계 휘저은 고래… “시장 확대” 기대 반 “데이터 독점” 우려 반[‘딥시크 충격’ AI전쟁 어디로 가나]
    서울신문
    0
  • 세계 휘저은 고래… “시장 확대” 기대 반 “데이터 독점” 우려 반[‘딥시크 충격’ AI전쟁 어디로 가나]
  • 7
  • “학생·교사 주도성 강화… 미래 사회 대응 능력 높일 것”
    서울신문
    0
  • “학생·교사 주도성 강화… 미래 사회 대응 능력 높일 것”
  • 8
  • 부정선거 음모론에 ‘세뇌’된 대통령의 나라 [세책길]
    서울신문
    0
  • 부정선거 음모론에 ‘세뇌’된 대통령의 나라 [세책길]
  • 9
  • 홍준표 “트럼프 취임식에 정부 대신해 간다… 對한국 정책 수립에 도움 줄 것”
    서울신문
    0
  • 홍준표 “트럼프 취임식에 정부 대신해 간다… 對한국 정책 수립에 도움 줄 것”
  • 10
  • 주말보다 월·금요일에 더 기운이 나는 이유, 알고 보니… [유용하 기자의 사이언스 톡]
    서울신문
    0
  • 주말보다 월·금요일에 더 기운이 나는 이유, 알고 보니… [유용하 기자의 사이언스 톡]
트렌드 뉴스
    최신뉴스
    인기뉴스
닫기
  • 뉴스
  • 투표
  • 게임
  • 이벤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