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
0
5
0
오피니언
백악관 최연소 대변인 남편은 32살 더 많은 억만장자 [월드핫피플]
    윤창수 전문기자
    입력 2025.02.10 22:17
    0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과 최연소 백악관 대변인 캐롤라인 레빗. 인스타그램 캡처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과 최연소 백악관 대변인 캐롤라인 레빗. 인스타그램 캡처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의 ‘입’으로 활약하는 캐롤라인 레빗(27) 백악관 대변인은 임명 당시 나이로 많은 화제를 모았다.

미국 역사상 최연소로 백악관 대변인을 맡은 레빗은 억만장자 남편과의 나이 차이 때문에 한번 더 폭발적 관심을 끌고 있다.

2023년 레빗은 자신보다 32살이나 많은 부동산 사업가 니콜라스 리치오(59)와 결혼했다. 부부는 지난해 7월 아들을 봤다.

트럼프 대통령도 셋째 부인 멜라니아 여사와 24살 차이가 나는데 레빗 부부의 나이 차는 무려 32살이나 된다.

미국에서도 파격적으로 젊은 나이 때문에 ‘젠지 세대 정치인’으로 불리는 레빗은 지난달 28일 트럼프 대통령 취임 이후 첫 브리핑을 성공적으로 마쳤다.

46분 동안 트럼프 대통령에 적대적인 기자들을 포함한 언론의 질문을 성공적으로 소화해 트럼프 지지자들로부터 ‘마스터클래스’(거장의 전문 과정)란 칭찬을 들었다.

캐롤라인 레빗 백악관 대변인과 그의 남편인 억만장자 부동산 사업가 니콜라스 리치오. 인스타그램 캡처
캐롤라인 레빗 백악관 대변인과 그의 남편인 억만장자 부동산 사업가 니콜라스 리치오. 인스타그램 캡처

역대 대변인들이 백과사전처럼 두꺼운 서류철을 들고 기자 브리핑에 임했던 것과 달리 종이 몇 장만 들고 나타난 레빗은 첫 질문을 받는 권한도 파격적으로 행사했다.

전 언론사에 기사를 서비스하는 AP통신 출입 기자가 아니라 온라인 매체인 악시오스 기자의 질문을 가장 먼저 받은 것이다.

레빗은 또 기성 언론에 대한 미국인의 신뢰도가 기록적으로 떨어졌다는 여론조사업체 갤럽의 조사결과를 근거로 백악관 출입 기자의 관행도 무너뜨렸다.

언론 담당 비서진이 앉았던 브리핑룸 제1열을 ‘뉴 미디어 좌석’으로 부르겠다고 한 뒤 백악관 기자실을 독립 언론, 팟캐스트, 소셜미디어 인플루언서 등에게도 개방하겠다고 선언했다.

레빗은 이미 트럼프 1기 정부 시절 백악관에서 일한 경험이 있다.

캐롤라인 레빗 백악관 대변인과 그의 남편인 억만장자 부동산 사업가 니콜라스 리치오. 인스타그램 캡처
캐롤라인 레빗 백악관 대변인과 그의 남편인 억만장자 부동산 사업가 니콜라스 리치오. 인스타그램 캡처

그는 백악관 언론실에서 인턴으로 근무하다가 2019년 세인트 안셀름 대학을 졸업하고 대통령 연설문 작성자로 일하기 시작했다.

이후에는 보도 담당 보조원으로 일한 레빗을 두고 트럼프 대통령은 “똑똑하고 강인하며 매우 효과적인 전달자임이 입증되었다”라고 말했다.

레빗과 남편 리치오의 나이 차이가 주목받게 된 것은 팟캐스트 진행자 라이언 쉬드가 소셜미디어 엑스(X)에 그녀의 사생활을 언급했기 때문이다.

쉬드는 레빗 부부의 사진과 함께 “레빗이 태어났을 때 리치오는 32살이었다”며 “두 사람의 결혼에 그의 돈은 아무 관련이 없을 것이라 확신한다”고 썼다.

뉴햄프셔주 플리머스 주립대학을 졸업한 리치오는 2000년대 초반부터 부동산 사업을 시작했는데 주로 뉴욕에서 가까운 바닷가인 햄튼 지역에 집을 지었다.

대학 학비를 스스로 충당한 자수성가형 사업가인 리치오는 정치 행사에서 레빗을 만난 것으로 알려졌다.

    #억만장자
    #연소
    #남편
    #백악관
    #레빗
    #라인
    #리치
    #캐롤
    #캡처
    #대변인
포인트 뉴스 모아보기
트렌드 뉴스 모아보기
이 기사, 어떠셨나요?
  • 기뻐요
  • 기뻐요
  • 0
  • 응원해요
  • 응원해요
  • 0
  • 실망이에요
  • 실망이에요
  • 0
  • 슬퍼요
  • 슬퍼요
  • 0
댓글
정보작성하신 댓글이 타인의 명예훼손, 모욕, 성희롱, 허위사실 유포 등에 해당할 경우 법적 책임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최신순
    추천순
    답글순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오피니언 주요뉴스
  • 1
  • “난 늘 벽을 뚫어 온 사람… 체육회 개혁, 현장과 함께 뛰겠다” [월요인터뷰]
    서울신문
    0
  • “난 늘 벽을 뚫어 온 사람… 체육회 개혁, 현장과 함께 뛰겠다” [월요인터뷰]
  • 2
  • 5호선 배차 단축·3호선 연장 추진…교통 인프라 확충에 행정력 집중
    서울신문
    0
  • 5호선 배차 단축·3호선 연장 추진…교통 인프라 확충에 행정력 집중
  • 3
  • [부고] 최욱(현대해상화재보험 상무)씨 모친상
    중앙이코노미뉴스
    0
  • [부고] 최욱(현대해상화재보험 상무)씨 모친상
  • 4
  • ‘월급 루팡’ 잡아라[주 4일 논란-노동생산성을 돌아본다]
    서울신문
    0
  • ‘월급 루팡’ 잡아라[주 4일 논란-노동생산성을 돌아본다]
  • 5
  • 적지 않지만 인생 역전도 애매한 5000만원에 꼬여버린 우리 [오경진 기자의 노이즈캔슬링]
    서울신문
    0
  • 적지 않지만 인생 역전도 애매한 5000만원에 꼬여버린 우리 [오경진 기자의 노이즈캔슬링]
  • 6
  • [부고] 이지나(신한카드 홍보팀 차장)씨 부친상
    중앙이코노미뉴스
    0
  • [부고] 이지나(신한카드 홍보팀 차장)씨 부친상
  • 7
  • [인사] 중앙이코노미뉴스
    중앙이코노미뉴스
    0
  • [인사] 중앙이코노미뉴스
  • 8
  • [최보기의 책보기] 내 인생은 어떻게 흘러갈까?
    서울신문
    0
  • [최보기의 책보기] 내 인생은 어떻게 흘러갈까?
  • 9
  • “미래에셋에 2세 경영은 없다”… 장학재단 통해 지분 승계 구상 [2025 재계 인맥 대탐구]
    서울신문
    0
  • “미래에셋에 2세 경영은 없다”… 장학재단 통해 지분 승계 구상 [2025 재계 인맥 대탐구]
  • 10
  • [인사] IBK캐피탈
    중앙이코노미뉴스
    0
  • [인사] IBK캐피탈
트렌드 뉴스
    최신뉴스
    인기뉴스
닫기
  • 뉴스
  • 투표
  • 게임
  • 이벤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