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
0
5
0
경제
"요소 딜레마"…국내 생산 하자니 中 밀어내기 폭탄엔 '속수무책'
    입력 2024.10.22 07:40
    0
정부가 국내 생산을 비롯해 요소 수급 안정화를 위한 방안을 다각도로 검토하고 있지만, 중국산 영향력이 시장에선 여전히 절대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국내 생산 보다 수입산을 들여오는 게 원가경쟁력에서 유리한 만큼, 중국의 ‘밀어내기’에 업계가 타격을 입을 수 있다는 우려도 여전하다.
22일 한국무역협회가 집계한 월별 공업용 요소수 수입액을 살펴보면 중국산 비중은 현지의 밀어내기 물량에 따라 크게 출렁이는 경향을 보였다. 단가 차액의 50%를 보조하는 정부의 물류비 지원이 시작된 지난해 12월 이후에도 이 흐름은 과거와 유사한 상황이다. 수출을 틀어막아 국내 요소 대란을 일으켰던 중국에서의 수입 비중은 올해 1~2월 10%대를 거쳐 3월 8.6%, 4월 1.9%까지 줄었으나 5월엔 57.9%, 6월에는 78.4%까지 커졌다. 7월(58.7%)과 8월(26.6%)에는 다소 감소했지만, 지난달에는 36.9%로 반등했다.


업계 관계자는 "중국이 요소 수출을 통제하는 배경 중 하나는 춘분기 비료 수요 급증"이라면서 "이 시기가 지나면 수출이 증가하고, 수출업자들도 완급을 조절하기 때문에 국내 시장에서는 그 영향이 크다"고 설명했다.
이산화탄소와 암모니아 화합물인 요소를 물에 녹여 만드는 요소수는 배기가스 오염물질 저감 등 차량용을 비롯해 산업 곳곳에 쓰인다. 하지만 원가와 공정이 간단해 저가 중국산 대비 직접 생산하기엔 경제성이 떨어졌고 롯데정밀화학(당시 삼성정밀화학)은 2011년 국내 요소 생산을 중단한 바 있다.
정부는 내년 1분기 국내 요소 생산 시설 지원 방안을 발표하겠다는 방침이지만 현재까지 생산 업체 선정 등 실질적 진척은 없는 상황이다. 산업부 관계자는 "비축 확대와 국내 생산 등 여러 가지 사항을 짚어보고 있다"면서 "특정 사업자를 대상으로 논의하고 있는 단계는 아니다"라고 설명했다.
무역협회 관계자는 "과거 생산 중단 역시 중국의 적극적인 밀어내기에 따라 시장 논리에 의해 어려운 상황을 맞게 된 것"이라면서 "안정화 논리로 경제성이 가장 높은 중국산 수입을 막을 수는 없는 만큼, 국내 생산에 대해 신중해야 할 필요가 있다"고 지적했다. 업계 관계자는 "수입이 생산보다 경제성 있다는 점은 명확하다"면서 "국내 생산 여부는 정부 지원 규모나 방식이 관건"이라고 말했다.




김현정 기자 alphag@asiae.co.kr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요소
    #국내
    #딜레마
    #밀어내기
    #정부
    #중국
    #속수무책
    #경제
    #생산
    #폭탄
포인트 뉴스 모아보기
트렌드 뉴스 모아보기
이 기사, 어떠셨나요?
  • 기뻐요
  • 기뻐요
  • 0
  • 응원해요
  • 응원해요
  • 0
  • 실망이에요
  • 실망이에요
  • 0
  • 슬퍼요
  • 슬퍼요
  • 0
댓글
정보작성하신 댓글이 타인의 명예훼손, 모욕, 성희롱, 허위사실 유포 등에 해당할 경우 법적 책임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최신순
    추천순
    답글순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경제 주요뉴스
  • 1
  • 아키사운드, 하이엔드 이어폰 퓨어톤과 퓨어톤 프로 출시
    아시아경제
    0
  • 아키사운드, 하이엔드 이어폰 퓨어톤과 퓨어톤 프로 출시
  • 2
  • [오늘의 금시세] 귀금속 시세 동향 금값 상승, 은값 하락
    중앙이코노미뉴스
    0
  • [오늘의 금시세] 귀금속 시세 동향 금값 상승, 은값 하락
  • 3
  • 교보증권, '2025 연간전망’ 유튜브 공개
    중앙이코노미뉴스
    0
  • 교보증권, '2025 연간전망’ 유튜브 공개
  • 4
  • 외국인 관광 도우미 나선 최상목… “방한 관광 지원해 내수 활력”
    서울신문
    0
  • 외국인 관광 도우미 나선 최상목… “방한 관광 지원해 내수 활력”
  • 5
  • 코리아그랜드세일 찾은 최 대행 "관광 인프라 총력 지원"
    아시아경제
    0
  • 코리아그랜드세일 찾은 최 대행 "관광 인프라 총력 지원"
  • 6
  • “제4인뱅, 소상공인 전문은행으로 거듭나야”
    아시아경제
    0
  • “제4인뱅, 소상공인 전문은행으로 거듭나야”
  • 7
  • 디어유, TME와 협력 효과 본격화…한한령 해제 수혜 기대
    스타데일리뉴스
    0
  • 디어유, TME와 협력 효과 본격화…한한령 해제 수혜 기대
  • 8
  • KB리브모바일, 60대 은퇴 고객 위한 '시니어 요금제' 출시
    중앙이코노미뉴스
    0
  • KB리브모바일, 60대 은퇴 고객 위한 '시니어 요금제' 출시
  • 9
  • 정부, 11차 전기본 확정…원전 3기 신규 건설
    아시아경제
    0
  • 정부, 11차 전기본 확정…원전 3기 신규 건설
  • 10
  • 캠코, 국유부동산 143건 공개 대부 및 매각
    아시아경제
    0
  • 캠코, 국유부동산 143건 공개 대부 및 매각
트렌드 뉴스
    최신뉴스
    인기뉴스
닫기
  • 뉴스
  • 투표
  • 게임
  • 이벤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