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
0
5
0
경제
공무원 '타임오프' 최종 합의…유급 노조 활동 가능해진다
    입력 2024.10.22 12:04
    0
정부와 공무원 노동조합이 유급 노조 활동을 할 수 있도록 하는 근무시간 면제(타임오프) 논의 마침표를 찍었다. 앞으로 조합원 규모에 따라 8개 구간으로 나눠 연간 면제 시간 한도를 두게 된다. 행정부 교섭 상황에 따라 연간 최대 6000시간의 추가 타임오프가 가능해진다.


경제사회노동위원회 소속 기구인 공무원 근무시간면제심의위원회는 22일 11차 전원회의를 열고 공무원 근무시간 면제(타임오프) 한도를 최종 의결했다. 공무원의 노동조합 설립 및 운영 등에 관한 법률 제7조의2에 의거, 근무시간 면제 '시간'과 '사용인원' 관련 논의를 마무리했다.
타임오프는 노동조합 간부가 근무 시간 중 합법적으로 노동조합 활동에 종사할 수 있도록 하고 그 한도를 규정하는 제도다. 공무원 타임오프의 경우 21대 국회에서 도입 법안이 마련돼 2022년 5월 국회 본회의를 통과했다.
이후 정부가 지난해 11월 관련 시행령 개정을 추진하는 등 후속 행보가 이어졌지만 마침표를 찍진 못했다. 지난 6월부터는 공무원 노사관계를 다루는 근면위에서 4개월여간 심의를 진행, 그간 열한 번의 전원회의와 함께 간사회의, 공익회의를 여럿 개최해 의견을 조율해왔다.
앞으로 조합원 규모에 따라 공무원 노동조합을 총 8개 구간으로 구분해 연간 면제 시간 한도를 부여한다. 가장 많은 교섭 단위가 존재하는 구간(300~1299명)의 경우 연간 근무시간 면제자를 1~2명 둘 수 있게 된다.
또 인사혁신처장이 행정부 교섭 등에 필요할 경우 행정부 단위로 설립된 공무원 노동조합에 연간 6000시간 이내 근무시간 면제 한도를 추가로 부여할 수 있게 됐다. 이때 연간 사용 가능 인원은 풀타임으로 사용 가능한 인원의 두 배를 넘기지 않도록 했다. 단, 조합원 수 229명 이하의 노동조합의 경우 사용 가능 인원을 2명 두도록 했다.
권기섭 경사노위 위원장은 "공무원 근무시간 면제한도 의결은 지난해 말 사회적 대화 복원 이후 상호 논의와 신뢰를 바탕으로 한 '첫 노사 합의 결과'라는 점에서 의미가 크다"며 "이번 노·정 합의 경험과 자산이 미래 세대 일자리 관련 사회적 대화 흐름에 원동력이 될 수 있도록 하겠다"고 말했다.
한편 이날 회의에선 부대 의견으로 공무원 근무시간 면제 한도 고시 2년 후 경사노위에서 실태조사를 실시하는 등 향후 재심의를 준비하도록 했다. 의결 사항은 경사노위 위원장이 고용노동부 장관에게 즉시 통보하고 고용부 장관이 법제 심사, 행정 예고 등을 거쳐 고시하게 된다.




세종=김평화 기자 peace@asiae.co.kr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가능
    #시간
    #최종
    #공무원
    #노동조합
    #합의
    #활동
    #오프
    #근무
    #타임
포인트 뉴스 모아보기
트렌드 뉴스 모아보기
이 기사, 어떠셨나요?
  • 기뻐요
  • 기뻐요
  • 0
  • 응원해요
  • 응원해요
  • 0
  • 실망이에요
  • 실망이에요
  • 0
  • 슬퍼요
  • 슬퍼요
  • 0
댓글
    최신순
    추천순
    답글순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경제 주요뉴스
  • 1
  • 롯데렌탈, 작년 영업이익 6.7% 감소… 4분기 실적은 최대 기록
    중앙이코노미뉴스
    0
  • 롯데렌탈, 작년 영업이익 6.7% 감소… 4분기 실적은 최대 기록
  • 2
  • “주식재산 1조원 넘는 단 한 명”…백종원도 제친 78년생 ‘주식 부자’ 정체
    서울신문
    0
  • “주식재산 1조원 넘는 단 한 명”…백종원도 제친 78년생 ‘주식 부자’ 정체
  • 3
  • 황상하 SH공사 사장 "미리내집 공급 확대, 토지임대부 계획 물량도 전환할 것"
    아시아경제
    0
  • 황상하 SH공사 사장 "미리내집 공급 확대, 토지임대부 계획 물량도 전환할 것"
  • 4
  • [마감시황] 한화에어로스페이스·삼양엔씨켐·남양유업
    중앙이코노미뉴스
    0
  • [마감시황] 한화에어로스페이스·삼양엔씨켐·남양유업
  • 5
  • 불경기에 고객 지갑 비어 간다… 4대 은행 잠재 부실 여신 1년 새 13% 늘어
    서울신문
    0
  • 불경기에 고객 지갑 비어 간다… 4대 은행 잠재 부실 여신 1년 새 13% 늘어
  • 6
  • “우리도 발등에 불”…자동차·반도체·의약품 업계도 대책 비상
    서울신문
    0
  • “우리도 발등에 불”…자동차·반도체·의약품 업계도 대책 비상
  • 7
  • ‘294만대 1’ 줍줍 이젠 없다…무순위 청약, 무주택자 한정
    서울신문
    0
  • ‘294만대 1’ 줍줍 이젠 없다…무순위 청약, 무주택자 한정
  • 8
  • 프랜차이즈·유통업계 가격 인상 러시...정부, 업계와 대응책 모색
    중앙이코노미뉴스
    0
  • 프랜차이즈·유통업계 가격 인상 러시...정부, 업계와 대응책 모색
  • 9
  • 현대ADM, 임상시험 전문가 조두연 박사 영입… CRO·항암제 개발 본격화
    중앙이코노미뉴스
    0
  • 현대ADM, 임상시험 전문가 조두연 박사 영입… CRO·항암제 개발 본격화
  • 10
  • [캐시워크 정답] 2월 11일 퀴즈 정답 리스트
    스타데일리뉴스
    0
  • [캐시워크 정답] 2월 11일 퀴즈 정답 리스트
트렌드 뉴스
    최신뉴스
    인기뉴스
닫기
  • 뉴스
  • 투표
  • 게임
  • 이벤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