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
0
5
0
경제
[실전재테크] 금리 인하기 아파트 대신 '꼬마빌딩' 투자해볼까
    입력 2024.10.23 07:00
    0


기준금리 인하로 서울 오피스 시장에 숨통이 트이면서 비교적 저렴한 '꼬마빌딩'이 주목받고 있다. 올해 2분기 들어 매매가가 오른 데다, 한국은행이 기준금리를 내리기 시작하면서 수익 부동산 중 하나인 꼬마빌딩 가격 상승에 대한 기대감이 커지고 있다.
꼬마빌딩 평균 가격 올해 1분기 86억원→올해 2분기 91억원 상승23일 KB부동산에 따르면 올해 2분기 꼬마빌딩의 가격이 상승하고 있다. 올해 2분기 서울 소재 중소형 빌딩 매매가격지수(2022년 1분기=100 기준)는 102.91로, 전 분기(101.84)보다 올랐다. 이 지수는 올해 2분기 오름세로 전환했다.
서울 소재 꼬마빌딩 평균 매매가격은 올해 2분기 91억원으로 전 분기(86억원)보다 약 5억원 올랐다. 같은 기간 중위 가격도 66억원에서 71억원으로 상승했다. 꼬마빌딩은 연면적이 330㎡ 이상 3300㎡ 이하에 대지면적이 100㎡ 이상인 중소형 빌딩을 말한다. 가격은 주로 100억원 미만이다.
전문가들은 지난 11일 한국은행이 기준금리를 인하(3.50%→3.25%)하면서 꼬마빌딩의 가격이 오를 가능성이 크다고 내다봤다. 김효선 NH농협은행 부동산 수석전문위원은 "꼬마빌딩 같은 상업용 부동산은 주택보다 더 빨리 금리 인하의 영향을 받는다"며 "기준금리가 한 차례 내렸고, 언제인지는 알 수 없지만 앞으로도 내려갈 것이라는 기대감이 있어 수요가 늘고 가격이 오를 가능성이 크다"고 전했다.


기준금리 인하 기대감으로 대지면적 100㎡ 이상, 연면적 1만㎡가 안 되는 서울 소재 빌딩의 거래량은 크게 늘어나고 있다. 리얼티코리아에 따르면 이 같은 빌딩의 거래건수는 올해 2분기 715건으로 전년 동기(556건) 대비 28.6% 증가했다. 올해 1분기 거래량(598건)보다 19.6% 늘었다. 지난해 1분기 최저 거래량(362건)을 찍고 서서히 회복하는 모습이다.
이들 건물의 임대 수익률도 개선되고 있다. 올해 2분기 중소형 빌딩 평균 임대 수익률은 3.11%로 3%를 넘겼다. 올해 1분기 수익률은 2.97%였다.
"꼬마빌딩, 시세 차익 얻기 유리… 공실률도 감소"꼬마빌딩은 시세 차익을 얻기에도 유리하다. 권영선 신한은행 부동산 투자자문센터 팀장은 "상업용 부동산에 투자할 때 구분상가를 사는 것보다 꼬마빌딩을 통으로 사는 것이 유리하다"고 말했다. 그는 "꼬마빌딩을 매입하면 리모델링 등을 통한 시세 차익을 기대할 수 있으며, 지가가 오르면 건물의 가치도 오른다"며 "이와 달리 구분상가는 되팔기도 어려울뿐더러 리모델링 등 활용이 어렵다"고 덧붙였다.
오피스 시장의 공실률은 줄어드는 추세다. 한국부동산원에 따르면 전국 오피스의 공실률은 지난해 1분기(9.47%) 이후 매 분기 감소했다. 올해 2분기 전국 오피스 공실률은 8.60%다. 서울의 공실률도 지난해 1분기(6.50%) 이후 내림세를 보이고 있다. 올해 2분기 서울 공실률은 5.38%까지 내려갔다.


금융당국의 대출 규제로 주택 매입에 대한 수요가 상업용 부동산으로 옮겨간 측면도 있다. 권 팀장은 "상업용 부동산은 대출 규제가 없다고 봐도 무방하다"라며 "이와 달리 당국이 주택에 대한 대출을 조이고 있어 이 수요가 상업용으로 옮겨간 것으로 분석된다"고 말했다. 지난달 정부는 스트레스 총부채원리금상환비율(DSR) 2단계를 도입해 주택담보대출을 규제했다. 상업용 부동산은 이 규제를 적용받지 않는다.
한편 박원갑 KB국민은행 부동산 수석전문위원은 "아직 대출금리가 내리지 않은 상황에서 꼬마빌딩 투자는 임대 수익률과 대출 이자율 간 차이를 고려해서 투자해야 한다"며 "꼬마빌딩 매입 시 대출을 80%까지도 받는데, 50% 이내로 받아서 리스크를 관리할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김 전문위원은 "꼬마빌딩은 입지별로도 차이가 나기에 입지도 잘 따져볼 필요가 있다"고 조언했다.




박승욱 기자 ty1615@asiae.co.kr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올해
    #금리
    #서울
    #꼬마
    #부동산
    #빌딩
    #분기
    #가격
    #상업
    #투자
포인트 뉴스 모아보기
트렌드 뉴스 모아보기
이 기사, 어떠셨나요?
  • 기뻐요
  • 기뻐요
  • 0
  • 응원해요
  • 응원해요
  • 0
  • 실망이에요
  • 실망이에요
  • 0
  • 슬퍼요
  • 슬퍼요
  • 0
댓글
    최신순
    추천순
    답글순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경제 주요뉴스
  • 1
  • ‘발등의 불’ 정부, 철강업계와 긴급 점검회의
    서울신문
    0
  • ‘발등의 불’ 정부, 철강업계와 긴급 점검회의
  • 2
  • 이복현 “불완전판매·금융사고 무관용… 자본시장 불법행위 엄단”
    서울신문
    0
  • 이복현 “불완전판매·금융사고 무관용… 자본시장 불법행위 엄단”
  • 3
  • [마감시황] 삼성전자·철강 관련주·휴림로봇
    중앙이코노미뉴스
    0
  • [마감시황] 삼성전자·철강 관련주·휴림로봇
  • 4
  • LH, 13일 매입임대 사업설명회
    아시아경제
    0
  • LH, 13일 매입임대 사업설명회
  • 5
  • 롯데칠성, 작년 영업이익 1849억원...전년比 12.2%↓
    중앙이코노미뉴스
    0
  • 롯데칠성, 작년 영업이익 1849억원...전년比 12.2%↓
  • 6
  • 알리 이어 테무도 한국 직접진출 가시화… 이커머스 시장 빨간불
    서울신문
    0
  • 알리 이어 테무도 한국 직접진출 가시화… 이커머스 시장 빨간불
  • 7
  • 美 25%관세 예고에…정부 "네트워크 총력 가동해 업계 영향 최소화"
    아시아경제
    0
  • 美 25%관세 예고에…정부 "네트워크 총력 가동해 업계 영향 최소화"
  • 8
  • [금시세 모음] 거래소별 14K·18K·순금 시세 비교…가격 차이 분석
    스타데일리뉴스
    0
  • [금시세 모음] 거래소별 14K·18K·순금 시세 비교…가격 차이 분석
  • 9
  • [부고]이지나(신한카드 홍보팀 차장)씨 부친상
    아시아경제
    0
  • [부고]이지나(신한카드 홍보팀 차장)씨 부친상
  • 10
  • 철강 다음은 자동차?… “투자 확대 지렛대 삼아 美 설득 나서야”
    서울신문
    0
  • 철강 다음은 자동차?… “투자 확대 지렛대 삼아 美 설득 나서야”
트렌드 뉴스
    최신뉴스
    인기뉴스
닫기
  • 뉴스
  • 투표
  • 게임
  • 이벤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