온라인 소비가 확대되면서 물가상승률을 끌어내렸지만, 숙박과 음식점업 취업자 수를 끌어내려 전반적인 고용에는 하방 압력으로 작용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https://cdn.inappnews.net/news/522665/ian-1730170805-819815.jpg)
29일 한국개발연구원(KDI)은 이런 내용의 ‘온라인 소비 확대가 물가와 고용에 미치는 영향’(김지연 연구위원)을 발간했다.
KDI에 따르면 2017년부터 올해까지 온라인 소비 비중은 14%에서 27%로 증가했다. 소비 형태의 온라인 전환은 같은 기간 상품 물가를 2.4%가량 낮췄다. 소비자물가에서 상품이 44.8%를 차지하고 있는 것을 고려하면, 온라인 소비 확대가 같은 기간 소비자물가를 약 1.1%가량 낮췄다.
고용에는 부정적인 영향이 나타났다. 온라인 소비 비중이 1%포인트 증가하면 숙박과 음식점업 취업자 증가 폭이 2분기 후 최대 2만7000명까지 축소되는 것으로 분석됐다. 이런 파급효과는 2년가량 지속됐다. 도소매업 또한 온라인 소비 충격이 발생한 이후 분기 취업자 수 증가 폭이 최대 2만7000명 축소됐다.
택배·물류 부분 관련 종사자들이 포함된 운수·창고업 고용에는 긍정적인 영향이 나타났다. 온라인 소비 충격이 발생한 분기에 취업자 수 증가 폭이 1만7000명 확대되는 등 단기적으로 고용이 창출됐다. KDI는 경제 전반적으로는 고용 축소 효과가 더 크게 나타난 만큼 온라인 소비 확대로 인한 물가 안정 효과가 관련 산업의 독과점화로 저해되지 않도록 해야 한다고 제언했다.
김 연구위원은 “택배·물류 일자리를 포함하는 운수·창고업에서는 고용 창출 효과가 있었으나, 대면서비스업에서의 감소세를 소폭 완화하는 데 그치고 있어 종사자들의 업종 간 이동이 원활하지 않다”며 “(온라인 소비 확대는) 노동시장에서 고용 간, 업종 간 고용 조정을 촉발하고 있는 만큼 이에 대응한 경제·사회 정책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세종=이은주 기자 golden@asiae.co.kr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최신순
추천순
답글순
![](https://cdn.trend.rankify.best/dctrend/front/images/ico_nocomment.svg)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