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아시아경제 ] 우리나라 금융시스템의 주요 리스크 요인으로 가계의 높은 부채 수준과 미국 대선 이후 정책 변화 등이 꼽혔다.
한국은행이 21일 발표한 '2024년 시스템 리스크 서베이 결과'에 따르면 우리나라 금융시스템의 주요 리스크 요인으로 ▲가계의 높은 부채 수준 및 상환부담 증가 ▲미 대선 이후 정책 변화 ▲내수회복 지연 등으로 인한 국내 경기부진 ▲저출생·고령화 등 인구구조 변화 ▲미국의 공급망 재편전략 등 주요국 자국 우선주의 산업정책 강화 등이 지적됐다.
이번 조사는 국내 금융기관·연구소·대학·해외 투자은행(IB) 등 금융·경제전문가 총 78명을 대상으로 지난달 29일부터 8일까지 진행됐다.
응답자들은 1순위 리스크 요인으로 '가계의 높은 부채 및 상환부담 증가'(26.9%)와 '미 대선 이후 정책 변화'(20.5%) 등을 꼽았다.
응답자들이 언급한 5개 리스크 요인을 단순집계한 응답 빈도수 기준으로 보면 대내 리스크 요인으로는 가계의 높은 부채 수준 및 상환부담 증가(61.5%), 내수회복 지연 등으로 인한 국내 경기부진(51.3%), 저출생·고령화 등 인구구조 변화(39.7%) 등으로 조사됐다. 대외 리스크 요인으로는 미 대선 이후 정책 변화(56.4%), 미국의 공급망 재편전략 등 주요국 자국 우선주의 산업정책 강화(39.7%) 등이 지목됐다.
단기(1년 이내)적으로 보면 미 대선 이후 정책 변화, 국내 경기부진, 자영업자 부실 확대 등의 위험이 현재화될 가능성이 높다고 판단하는 것으로 조사됐다. 중기(1~3년)적으로는 가계부채, 인구구조 변화, 자국 우선주의 정책 등의 위험이 꼽혔다.
응답자들은 인구구조 변화, 미 대선 이후 정책 변화, 주요국 자국 우선주의 산업정책 강화가 금융시스템에 미치는 영향력과 발생 가능성 모두 높은 요인으로 평가됐다. 국내 경기부진, 자영업자 부실 확대의 경우 금융시스템에 미치는 영향력은 크지 않지만 발생 가능성은 높은 요인으로 조사됐다. '가계의 높은 부채 수준 및 상환부담 증가'는 금융시스템에 미칠 영향력이 크지만 발생 가능성은 높지 않은 것으로 평가됐다.
지난 서베이와 비교해보면 동일하게 가계부채 리스크(61.5%)가 가장 큰 리스크 요인인 것으로 나타났다. 가계부채를 제외한 5개 요인은 신규 리스크로 조사돼 지난 서베이에 비해 상황인식이 크게 변화했다. 미 대선 이후 정책 변화(56.4%), 내수회복 지연 등으로 인한 국내 경기 부진(51.3%), 저출생·고령화 등 인구구조 변화(39.7%), 미국의 공급망 재편 전략 등 주요국 자국 우선주의 산업정책 강화(39.7%), 자영업자 부실 확대(34.6%)가 상위 6개 신규 리스크 요인으로 진입했다.
한편 우리나라 금융시스템의 안정성에 대한 신뢰도(향후 3년간)는 지난 서베이와 비교해 상승한 것으로 나타났다. 금융시스템의 안정성을 저해할 수 있는 충격이 발생할 가능성은 지난 서베이 대비 다소 낮아진 것으로 조사됐다.
박재현 기자 now@asiae.co.kr
최신순
추천순
답글순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