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아시아경제 ] 삼성화재, KB손해보험, 현대캐피탈이 금융소비자보호 실태평가에서 가장 높은 등급한 '양호' 평가를 받았다. 반면 소비자보호 관련 기관제재, 불완전판매 등으로 사적으로 물의를 일으킨 경남은행, 국민은행, 하나은행, iM뱅크, 키움증권, 한투증권, 신한카드 등은 보통에서 미흡 등급으로 하향조정됐고 유안타증권, 메리츠캐피탈은 미흡에서 취약 등급으로 추락했다.
16일 금융감독원은 평가대상 74개사 중 올해 26개사에 대해 금융소비자보호 실태평가를 실시한 결과 3개사가 양호, 14개사가 보통, 7개사가 미흡, 2개사 취약 등급을 받았다고 밝혔다. 금감원은 올해부터 평가제도를 개선해 기본적인 내부통제체계는 물론 내부통제체계의 실질적 작동여부 등을 중점 평가했다.
삼성화재, KB손보, 현대캐피탈은 상품개발시 소비자 의견을 적극 반영하고 민원 모니터링 체계를 내실있게 운영하는 한편, 취약계층 접근성 제고를 위해 노력하는 등 상대적으로 양호하게 평가됐다.
공모주 청약 전산장애 사고가 있었던 유안타증권은 민원 대량발생 및 처리지연으로 취약 등급을 받았다. 신규 평가대상인 메리츠캐피탈은 상품개발·판매, 성과보상체계 운영 관련 소비자보호체계 미흡으로 취약 등급으로 평가됐다.
금감원 관계자는 "계량부문은 대체로 양호한 반면 비계량부문의 경우 소비자보호 관련 기본적인 내부통제체계는 갖추고 있으나 대부분의 금융회사가 부분적으로 내부통제체계 작동이 미흡한 사례가 있었다"면서 "성과보상체계 운영, 내부통제 자체점검, 소비자보호 관련 조직ㆍ인력 운영 등은 보다 적극적인 개선이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고 설명했다.
부분별로 계량부문은 '양호' 이상 회사가 18개사로 전체의 약 70%를 차지하는 등 다수의 금융회사가 좋은 평가를 받았다. 민원발생이 상대적으로 적은 키움증권이 '우수' 등급으로 평가됐고, 2022년 공모주 청약 관련 전산장애로 민원이 대량 발생한 유안타증권이 '미흡' 등급으로 평가됐다.
비계량부문의 경우 기본적인 내부통제체계는 갖추고 있으나 부분적으로 내부통제체계 작동이 미흡한 사례가 있어 대부분 '보통' 등급으로 평가됐다. 평가 항목별로는 ‘소비자 정보제공 및 취약계층 등의 피해방지’ 관련은 모든 금융회사가 ‘보통’ 이상 등급(‘양호’ 이상 15개사)으로 대체로 양호한 수준이나 ‘성과보상체계 및 소비자보호 교육 운영’ 관련은 ’미흡‘ 이하 등급이 8개사(’양호‘이상 1개사)로 전반적으로 낮은 평가를 받았다.
금감원 관계자는 "소비자보호 실태평가 결과는 금융회사에 통보해 개별 금융회사 홈페이지에 공시토록 하고 미흡한 것으로 평가된 부문에 대해서는 개선계획을 제출하도록 해 사후관리 해 나갈 계획"이라며 "평가 결과 종합등급이 ‘미흡’ 이하인 유안타증권, 메리츠캐피탈에 대해서는 피드백 절차를 통해 개선·보완할 사항을 상세히 안내해 전사적인 개선노력을 독려할 예정"이라고 설명했다.
임철영 기자 cylim@asiae.co.kr
최신순
추천순
답글순
![](https://cdn.trend.rankify.best/dctrend/front/images/ico_nocomment.svg)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