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아시아경제 ] 올해 소비자물가 상승률이 정부의 관리 목표치인 2%에 안착하며 지표상으로 안정적인 흐름을 나타냈지만, 저가 상품의 가격이 고가 상품에 비해 높이 오르는 이른바 '칩플레이션'(cheapflation) 현상이 나타나면서 서민들의 체감물가는 더 높아졌다. 서민들이 자주 먹는 과일인 사과·배 값이 평년보다 많게는 150%가량 올랐고, 원자재 가격 및 환율 상승으로 먹거리 물가도 들썩였다.
올해 소비자물가 상승 곡선은 지난해 보다 완만하게 그려지고 있다. 7월을 제외하고는 모두 전년동월보다 오름폭이 작았고 9월 이후 3개월 연속 물가상승률이 1%대를 기록했다. 통계청 국가통계포털을 보면 올해 소비자물가상승률(전년동월 대비)은 전반적으로 2%대를 유지했고 9~11월은 1%대로 낮아졌다. 2023년 1월 상승률이 5%를 기록하며 고점을 찍은 뒤 3~4%대로 내려온 것과 비교하면 물가 상승곡선은 작년보다 뚜렷하게 안정된 모습이었다.
지표만 보면 물가가 안정적인 것 처럼 보이지만, 체감 물가는 상황이 다르다. 지난해부터 시작된 사과, 배 가격 급등은 올해 햇과일 출하 전까지 지속되면서 '역대급 과일 물가'를 기록했다. 올해 1월의 경우 전체 인플레이션의 7분의 1을 과실류가 끌어올렸다.
과일가격이 물가 상승의 주범이라는 비판이 커지는 상황에서 과일값 상승 원인을 두고 두 기관이 대립된 해석을 내놓기도 했다. 농림축산식품부는 과일 가격 상승의 원인으로 유통 시스템이 아닌 생산 감소를 지목했다. 농식품부는 지난 2월16일 '사과·배 가격 설 지나도 오른다… "비싸진 이유 따로 있었다"' 기사와 관련 설명자료를 내고 "우리나라의 주요 농산물 유통비용은 선진국보다 낮다"며 "최근 사과 가격상승은 유통구조의 문제보다 생산 감소 영향이 더 큰 것으로 판단된다"고 밝혔다.
반면 한은은 농산물 가격 상승의 원인으로 낮은 생산성·개방도와 비효율적 유통구조를 지적했다. 한은은 '우리나라 물가수준의 특징 및 시사점' 보고서에서 "영세한 생산 농가에 비해 도매업체나 소매업체의 시장지배력이 큰 상황"이라며 "농산물 유통비용률(유통비용/소비자가격)이 1999년 39%에서 점차 상승해 2022년에는 50% 수준으로 높아졌다"고 지적했다.
현재 사과 가격은 평년과 비슷한 수준으로 회복됐다. 한국농수산식품유통공사(aT) 농산물유통정보(카미스)에 따르면 24일 사과(후지, 상품, 10개) 소매가격은 2만5734원으로, 3만4602원을 찍었던 지난 3월7일보다는 25% 떨어졌고 평년 가격인 2만5177원을 밑돌고 있다. 배(신고, 상품, 10개) 소매가격은 24일 기준 3만9645원이다. 배 가격은 지난 7월24일 8만5813원을 기록, 평년가격(3만3742원)보다 154% 오르기도 했다.
기후변화는 물가상승의 상수가 됐다. 세계 곳곳에서 극심한 가뭄, 폭우, 폭염 등 이상기후 현상이 나타나며 농작물 생산량 감소에 영향을 끼쳤다. 커피, 코코아, 올리브 모두 이상기후로 인한 작황 부진으로 가격이 급등했다.
국제 커피 원두 가격은 사상 최고치를 기록했다. 이달 초 3월 인도분 아라비카 원두 선물 가격은 미국 뉴욕 시장에서 파운드당 3.48달러까지 급등하면서 1977년 4월 기록한 최고치(3.38달러)를 경신했다. 코코아도 오름세다. 미국 ICE 선물거래소에서 거래되는 코코아 선물 가격은 지난 18일 종가 기준 t당 1만2565달러를 찍으며 처음으로 1만2000달러를 돌파했다. 한국은 커피 원두와 코코아를 전량 수입에 의존하고 있다.
고물가 속 소비 양극화는 더 뚜렷해졌다. 이같은 모습은 특히 커피 소비에서 두드러졌는데, 메가MGC커피(메가커피), 컴포즈커피, 빽다방 커피 등 저가 커피 3사의 전국 가맹점 수는 올해 7000개를 돌파하는 등 호황을 누렸다. 또 골드팟 350㎖ 기준 1만6000원부터 가격을 형성하고 있는 모로코의 바샤커피가 한국에 첫 매장을 열면서 인기를 끌었다.
내년 물가도 지표상으로는 안정적인 흐름이 예상된다는 진단이 지배적이다. 한국개발연구원(KDI)은 2025년 소비자물가 상승률 전망치를 1.6%로 제시했다. KDI는 "내년 물가 상승률은 2024년 2.3%보다 낮은 1.6%를 기록하면서 물가안정목표를 하회할 전망"이라고 밝혔다.
한은도 최근 '물가안정목표 운영상황' 보고서를 통해 "앞으로 물가의 안정 기조가 이어질 전망"이라고 진단했다. 다만 원재료 가격 상승과 더불어 강달러 영향으로 수입물가 등이 오르고 있는 것은 변수로 작용할 수 있다고 언급했다. 한은은 "내수가 완만하게 개선되는 가운데 환율상승, 공공요금 인상압력 등이 (물가) 상방요인으로, 유가하락 등은 하방요인으로 작용할 것"이라고 전망했다.
윤슬기 기자 seul97@asiae.co.kr
최신순
추천순
답글순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