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
0
5
0
경제
돈줄 막힌 P2P대출…온투업 줄폐업 현실화
    입력 2025.01.09 06:20
    0

[ 아시아경제 ] 온라인투자연계금융업(온투업)체 줄폐업이 본격화하며 업계 위기감이 고조되고 있다. 얼어붙은 투심에 개인간 대출(P2P) 투자자가 이탈하면서 소형사 상당수는 영업을 이어가기 어려워진 상황이다.

9일 금융당국과 금융권에 따르면 금융위원회는 6개월 이상 영업실적이 없는 온투업체 2~3곳에 등록취소 처분 사전통지(청문실시 통지)를 실시한 것으로 파악됐다. 이들 온투업체가 다음 달 초로 예정된 청문에서 저조한 영업실적을 소명하지 못한다면 현행법상 ‘사실상 영업종료’에 해당해 등록이 취소된다.

특히 모두의핀테크(옛 HB핀테크)는 지난해 초 사명을 변경하고 재도약에 나섰지만 2023년 6월 이후 현재까지 영업실적이 없는 것으로 확인됐다. 준법감시인과 전산인력을 해고하고 플랫폼 운영을 중단하면서 등록요건 유지의무도 위반했다. 금융위는 온투업법 제49조에 따라 6개월 이상 영업실적이 없거나 인력·전산설비 등 등록요건을 유지하지 않은 업체의 등록을 취소할 수 있다.

금융위 관계자는 “모두의핀테크를 비롯해 6개월 이상 영업실적이 없는 온투업체들을 대상으로 청문 통지를 보냈다”며 “사실상 영업종료인 상태로 금융사를 남겨두면 추후 범죄 등에 악용될 가능성이 있는 만큼 온투업법 및 행정절차법에 따라 라이선스 반납을 유도하거나 직권으로 등록을 취소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픽사베이

온투업계 줄폐업은 2022년 하반기부터 본격화했다. 그해 12월 업계 7위권 그래프펀딩(옛 BF펀드)이 부동산 경기침체를 이유로 영업을 종료한 데 이어, 지난해 3월엔 비드펀딩·슈가펀딩·티지에스파이낸스 등 온투업체 3곳도 등록이 취소됐다. 온투협회에 따르면 등록 온투업체 수는 최고 54개사에 달했지만 이번 조치 이후 50개 선이 깨질 것으로 관측된다.

이같이 온투업체들이 영업종료 및 폐업에 이르는 것은 투자 가뭄과 대출잔액 감소로 실질적인 영업이 어려워서다. 온투업은 투자자 자금을 모아 차입자에게 대출을 내주는 구조인데, 지난해 10월까지 고금리 환경이 이어지자 신용대출 부실화 및 부동산 경기회복 지연 등으로 연체 가능성이 커졌다. 이에 온투업계 대출잔액은 2022년 5월 1조4152억원(온투업 중앙기록관리기관 기준)으로 역대 최고치 기록한 뒤 내림세를 거듭하고 있다. 지난달엔 고점보다 3000억원 넘게 빠진 1조1060억원으로 집계됐다.

금융당국이 규제개선 안을 내놓으며 ‘온투업 살리기’에 나섰으나 관련 서비스 시행 시점이 미뤄지는 모양새다. 금융위는 지난 7월 온투업계 3년 묵은 숙원사업인 국내 금융기관 투자 유치를 가능케 했다. 이에 저축은행 29곳은 당초 지난해 하반기 중 온투업 신용대출 차주에게 연계투자를 실행할 계획이었지만, 빨라야 다음 달 말 관련 상품이 출시될 것으로 보인다. 업권 간 돈이 오가는 시스템을 구축하고 채무자 정보를 재평가하는 데 시간이 걸리는 탓이다.

온투업계 관계자는 “실물경제는 물론 스타트업 업황도 차가운 상황”이라며 “올해를 넘기지 못하고 폐업 수순을 밟는 온투업체가 더 나올 것으로 보인다”고 토로했다. 또 다른 관계자도 “대형 온투업체의 상황은 비교적 낫겠지만 소형사는 더 이상 영업을 이어가기 어렵다는 이야기가 자주 들린다”고 귀띔했다.

전영주 기자 ange@asiae.co.kr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실적
    #업계
    #업체
    #금융
    #대출
    #돈줄
    #현실
    #영업
    #P2P
    #폐업
포인트 뉴스 모아보기
트렌드 뉴스 모아보기
이 기사, 어떠셨나요?
  • 기뻐요
  • 기뻐요
  • 0
  • 응원해요
  • 응원해요
  • 0
  • 실망이에요
  • 실망이에요
  • 0
  • 슬퍼요
  • 슬퍼요
  • 0
댓글
    최신순
    추천순
    답글순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경제 주요뉴스
  • 1
  • BNK금융, 부산은행 물총강도 잡은 시민 포상
    아시아경제
    0
  • BNK금융, 부산은행 물총강도 잡은 시민 포상
  • 2
  • 너도나도 사재기에… 조폐공사, 골드바 판매 중단
    서울신문
    0
  • 너도나도 사재기에… 조폐공사, 골드바 판매 중단
  • 3
  • SK바이오사이언스, WHO와 SARS 국제표준물질 확립 성공…백신 개발 기여
    중앙이코노미뉴스
    0
  • SK바이오사이언스, WHO와 SARS 국제표준물질 확립 성공…백신 개발 기여
  • 4
  • LG엔솔, 전고체전지 충전속도 '10배' 높이는 기술 개발
    아시아경제
    0
  • LG엔솔, 전고체전지 충전속도 '10배' 높이는 기술 개발
  • 5
  • 증권사도 연기금 투자풀 주간 운용사 참여 가능해진다
    아시아경제
    0
  • 증권사도 연기금 투자풀 주간 운용사 참여 가능해진다
  • 6
  • 토스인슈어런스, 대면 영업 3주년…지난해 신계약 15만8798건 기록
    중앙이코노미뉴스
    0
  • 토스인슈어런스, 대면 영업 3주년…지난해 신계약 15만8798건 기록
  • 7
  • “호반그룹·두왓처럼 상생 협업”… 정부, 혁신 스타트업에 1.2억 쏜다
    서울신문
    0
  • “호반그룹·두왓처럼 상생 협업”… 정부, 혁신 스타트업에 1.2억 쏜다
  • 8
  • NH농협은행, '농식품 바우처' 단독 금융기관 업무약정 체결
    중앙이코노미뉴스
    0
  • NH농협은행, '농식품 바우처' 단독 금융기관 업무약정 체결
  • 9
  • [100세시대 재테크]치솟는 금값, 조정 있어도 장기적 상승
    아시아경제
    0
  • [100세시대 재테크]치솟는 금값, 조정 있어도 장기적 상승
  • 10
  • [금융현미경]노인 자산 80%가 부동산…초고령사회에 주택연금이 주목받는 까닭
    아시아경제
    0
  • [금융현미경]노인 자산 80%가 부동산…초고령사회에 주택연금이 주목받는 까닭
트렌드 뉴스
    최신뉴스
    인기뉴스
닫기
  • 뉴스
  • 투표
  • 게임
  • 이벤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