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
0
5
0
경제
국산 배터리 탑재 전기차 보조금 2배… 트럼프 악재 넘는다
    세종 이영준 기자
    입력 2025.01.22 00:20
    0

기아 ‘더 뉴 EV6’
기아 ‘더 뉴 EV6’

기아 준중형 전기차 ‘더 뉴 EV6 롱레인지’를 사는 고객은 최대 580만원의 보조금을 받는다. 지방자치단체가 주는 보조금을 더하면 할인 혜택은 1000만원이 넘는다.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은 20일(현지시간) 취임과 동시에 미국 내 전기차 보조금 폐지 검토를 지시했지만, 우리 정부는 전기차 보급 확대에 올해 1조 5000억원의 예산을 투입하기로 해 극명한 대조를 이뤘다.

환경부는 21일 이런 내용의 ‘2025년 전기차 차종별 국비 보조금’을 공개했다. 더 뉴 EV6 모델 중 롱레인지 2WD 19인치를 샀을 때 받는 보조금 580만원은 전기차 중 최대액이다. 차종과 휠에 따라 범위는 232만~580만원이다.

기아 EV3는 479만~565만원, EV9은 257만~275만원, 니로 EV는 499만원으로 책정됐다.

현대자동차 아이오닉6를 사면 526만~575만원, 더 뉴 아이오닉5를 사면 493만~577만원을 지원받는다. 코나 일렉트릭은 447만~524만원, 캐스퍼 일렉트릭은 500만원씩이다. KG모빌리티 토레스 EVX는 356만원이 지원된다.

테슬라 모델 Y 보조금은 169만~202만원, 모델 3은 183만~202만원으로 정해졌다. BMW 전기차는 154만~189만원, 아우디 전기차는 131만~132만원, 폭스바겐 전기차는 215만~422만원의 보조금이 책정됐다.

특히 올해는 19~34세 청년이 생애 첫차로 전기차를 사면 국비 보조금의 20%를 추가로 깎아준다. 다자녀 가구가 전기차를 사면 최대 300만원이 인센티브로 지급된다.

환경부는 주행거리 440㎞ 미만 차량에 대한 보조금을 줄이고 충전 속도에 따른 추가 인센티브 지급 구간을 높였다. 그 결과 국산 전기차가 수입 전기차보다 상대적으로 더 많은 혜택을 보게 됐다. 현대차 기아 등 국산 전기차는 중국산 리튬·인산철(LFP) 배터리가 아닌 니켈·코발트·망간을 배합한 삼원계(NCM) 배터리를 장착한다. NCM 배터리는 LFP 배터리보다 주행 거리가 길고 충전 속도도 더 빠르다. 국내 배터리 기업 3대장인 LG에너지솔루션과 삼성SDI, SK온이 NCM 배터리를 주로 생산한다.

중국산 LFP 배터리를 장착한 테슬라 모델 Y RWD 보조금이 169만원이지만, LG에너지솔루션의 NCM 배터리를 장착한 폭스바겐 2025 ID.4의 보조금이 2배 이상인 422만원으로 책정된 이유가 여기에 있다.

중국 비야디(BYD)의 준중형 전기차 아토3 보조금은 환경부의 배출가스·소음 인증 절차를 거쳐 다음달 확정된다.

    #배터리
    #조금
    #기아
    #탑재
    #국산
    #모델
    #전기차
    #NCM
    #트럼프
    #악재
포인트 뉴스 모아보기
트렌드 뉴스 모아보기
이 기사, 어떠셨나요?
  • 기뻐요
  • 기뻐요
  • 0
  • 응원해요
  • 응원해요
  • 0
  • 실망이에요
  • 실망이에요
  • 0
  • 슬퍼요
  • 슬퍼요
  • 0
댓글
정보작성하신 댓글이 타인의 명예훼손, 모욕, 성희롱, 허위사실 유포 등에 해당할 경우 법적 책임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최신순
    추천순
    답글순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경제 주요뉴스
  • 1
  • 애플, AI 탑재한 99만원짜리 보급형 ‘아이폰 16e’ 출시
    서울신문
    0
  • 애플, AI 탑재한 99만원짜리 보급형 ‘아이폰 16e’ 출시
  • 2
  • 경제6단체 “상속세 최고세율 30%까지 내려야”
    서울신문
    0
  • 경제6단체 “상속세 최고세율 30%까지 내려야”
  • 3
  • 호반건설, ‘2025 코리아빌드위크’ 참가 협력사 지원
    아시아경제
    0
  • 호반건설, ‘2025 코리아빌드위크’ 참가 협력사 지원
  • 4
  • HD현대인프라코어 수소엔진, 영하 20도서 버텼다…2027년 수소엔진 트럭 출시 목표
    서울신문
    1
  • HD현대인프라코어 수소엔진, 영하 20도서 버텼다…2027년 수소엔진 트럭 출시 목표
  • 5
  • 송미령 장관 "전통주 산업 활성화…주류용 쌀 소비 6배 늘릴 것"
    아시아경제
    0
  • 송미령 장관 "전통주 산업 활성화…주류용 쌀 소비 6배 늘릴 것"
  • 6
  • 금감원 "금융감독 업무설명회 7회 걸쳐 개최"
    아시아경제
    0
  • 금감원 "금융감독 업무설명회 7회 걸쳐 개최"
  • 7
  • 건설 드론·스마트 충전· 주차 솔루션까지…‘미래 신기술’ 한곳에
    서울신문
    0
  • 건설 드론·스마트 충전· 주차 솔루션까지…‘미래 신기술’ 한곳에
  • 8
  • ‘한한령 해제’ 기대감에 화장품·여행업 화색
    서울신문
    0
  • ‘한한령 해제’ 기대감에 화장품·여행업 화색
  • 9
  • KT&G, ‘릴 솔리드 3.0’자발적 리콜 시행
    중앙이코노미뉴스
    0
  • KT&G, ‘릴 솔리드 3.0’자발적 리콜 시행
  • 10
  • 박수홍·김다예, 70억 최고가에 압구정 아파트 샀다… 부부 공동명의
    서울신문
    0
  • 박수홍·김다예, 70억 최고가에 압구정 아파트 샀다… 부부 공동명의
트렌드 뉴스
    최신뉴스
    인기뉴스
닫기
  • 뉴스
  • 투표
  • 게임
  • 이벤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