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
0
5
0
경제
힘 얻는 日 1월 금리 인상… ‘검은 월요일’ 트라우마 재현될까
    최재성 기자
    입력 2025.01.23 00:51
    0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 취임 이후에도 비교적 안정세를 유지 중인 국내 증시가 일본을 주목하고 있다. 오는 24일 일본 중앙은행인 일본은행(BOJ)이 기준금리를 올릴 것이란 시장 예상이 힘을 얻으면서다. 지난해 ‘검은 월요일’의 트라우마가 남아있는 국내 증권가에선 ‘트럼프발(發) 불확실성과 맞물려 변동성이 커질 수 있다’는 우려와 ‘충격이 크지 않을 것’이란 전망이 엇갈린다.

22일 금융권에 따르면 BOJ는 23~24일 금융정책결정회의(금정위)에서 기준금리인 단기 정책금리 인상 여부 등을 결정한다. 트럼프 대통령 취임 이후 국내 시장이 주목할 만한 첫번째 글로벌 금융 ‘빅 이벤트’다.

시장에선 BOJ가 금리를 0.25% 포인트 인상할 것이란 전망이 힘을 얻는다. 2008년 10월 이후 17년 만에 다시 0.5%로 복귀할 가능성이 높아진 셈이다. 류진이 SK증권 연구원은 “0.25% 포인트 인상을 예상한다”며 “우에다 가즈오 BOJ 총재가 인상 조건으로 내세웠던 임금·소비의 선순환 구조가 나타나고 있고 물가 상승률이 심상치 않기 때문”이라고 했다.

시장이 BOJ의 이번 결정에 촉각을 곤두세우는 것은 지난해 8월 검은 월요일의 충격이 머릿속에 남아있어서다. BOJ는 지난해 7월 31일 시장 예상을 깨고 기준금리를 0.10%에서 0.25%로 인상했다. 다음달 2일 코스피는 3.65% 급락했고 다음 거래일인 5일 무려 8.77%나 떨어졌다. 하루에만 시가총액이 192조원 증발했다.

시장에선 ‘엔 캐리 트레이드’ 청산 우려가 다시 고개를 든다. 저렴한 엔화를 통해 해외 자산에 투자했던 이들이 엔화 가치 절상 이후 투자금을 대규모로 회수하는 것인데 검은 월요일을 초래했던 주범으로 꼽힌다.

한국은행은 전체 엔 캐리 트레이드 잔액은 506조 600억엔으로, 이 중 청산 가능성이 큰 자금은 32조 7000억엔으로 파악 중이다. 트럼프 대통령의 말 한 마디에 환율과 증시가 요동치는 상황에서 불확실성을 더할 변수로 작용하기에 충분한 규모라는 분석이다.

반면 충격이 이전만큼 크진 않을 것이란 관측도 제기된다. 지난해 검은 월요일은 엔 캐리 트레이드 청산 여파도 영향을 미쳤지만 미국의 경기 침체 우려가 함께 번졌기 때문이란 분석에서다.

김유미 키움증권 수석연구위원은 “일본은행의 금리 인상 가능성이 이미 엔화 가치에 일정 부분 반영된 것으로 보여 예상 범위(0.25% 포인트 인상)에서 움직인다면 충격이 크지 않을 것”이라며 “8월 엔 캐리 트레이드 대규모 청산 여파는 미국의 경기 침체 우려까지 겹치면서 충격을 야기했지만 현재 금융시장은 당시에 비해 안정적인 상황”이라고 했다.

한편 이날 코스피는 트럼프 대통령의 인공지능(AI) 투자 계획 발표에 힘입은 반도체 종목의 선전으로 지난해 11월 8일 이후 두달 반 만에 최고치인 2547.06으로 거래를 마쳤다. 원·달러 환율은 전 거래일 대비 1.9원 내린 1437.6원으로 주간거래를 마감했다.

    #검은월요일
    #금리
    #시장
    #재현
    #지난해
    #이란
    #캐리
    #이후
    #충격
    #트라우마
포인트 뉴스 모아보기
트렌드 뉴스 모아보기
이 기사, 어떠셨나요?
  • 기뻐요
  • 기뻐요
  • 0
  • 응원해요
  • 응원해요
  • 0
  • 실망이에요
  • 실망이에요
  • 0
  • 슬퍼요
  • 슬퍼요
  • 0
댓글
    최신순
    추천순
    답글순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경제 주요뉴스
  • 1
  • [캐시워크 정답] 2월 11일 돈버는 퀴즈 정답 공개
    스타데일리뉴스
    0
  • [캐시워크 정답] 2월 11일 돈버는 퀴즈 정답 공개
  • 2
  • 통상임금 판례 직격탄 맞은 유통업계
    서울신문
    0
  • 통상임금 판례 직격탄 맞은 유통업계
  • 3
  • 장사 안 돼 울고 싶은데… 통상임금 뺨 맞은 유통계 ‘비용 직격탄’
    서울신문
    0
  • 장사 안 돼 울고 싶은데… 통상임금 뺨 맞은 유통계 ‘비용 직격탄’
  • 4
  • GS, 4분기 영업이익 5501억원…전년 대비 25.9% 감소
    아시아경제
    0
  • GS, 4분기 영업이익 5501억원…전년 대비 25.9% 감소
  • 5
  • ‘294만대 1’ 줍줍 이젠 없다…무순위 청약, 무주택자 한정
    서울신문
    0
  • ‘294만대 1’ 줍줍 이젠 없다…무순위 청약, 무주택자 한정
  • 6
  • "상품권 투자해서 월 3300만원"…금감원, 작년 불법 유사수신 35곳 적발
    아시아경제
    0
  • "상품권 투자해서 월 3300만원"…금감원, 작년 불법 유사수신 35곳 적발
  • 7
  • HMM 지난해 영업익 3.5조, 501% 올라…역대 세 번째
    서울신문
    0
  • HMM 지난해 영업익 3.5조, 501% 올라…역대 세 번째
  • 8
  • 유료 멤버십 혜택 부풀린 네이버, 기만광고 공정위 제재
    아시아경제
    0
  • 유료 멤버십 혜택 부풀린 네이버, 기만광고 공정위 제재
  • 9
  • 한국거래소, 밸류업 우수기업 선정기준 발표…8종 인센티브 받는다
    아시아경제
    0
  • 한국거래소, 밸류업 우수기업 선정기준 발표…8종 인센티브 받는다
  • 10
  • 홈플러스, ESG 경영 강화…서울시 어린이병원과 발달장애인 일자리 창출 협약 체결
    중앙이코노미뉴스
    0
  • 홈플러스, ESG 경영 강화…서울시 어린이병원과 발달장애인 일자리 창출 협약 체결
트렌드 뉴스
    최신뉴스
    인기뉴스
닫기
  • 뉴스
  • 투표
  • 게임
  • 이벤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