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아시아경제 ] 지난해 전국 땅값이 2.15% 상승한 것으로 나타났다. 2023년과 비교하면 상승폭이 확대됐으며 수도권과 지방 간의 양극화 현상도 두드러졌다.
국토교통부와 한국부동산원은 23일 2024년 연간 지가변동률과 토지거래량 현황을 발표했다. 두 기관에 따르면 2024년 전국 지가는 전년 대비 2.15% 상승했다. 2023년(0.82%) 대비 상승폭이 1.33%포인트 확대됐다. 2022년(2.73%)과 비교하면 상승폭이 0.58%포인트 축소됐다.
특히 수도권(2.77%)과 지방권(1.10%) 모두 상승세를 기록했으며, 서울(3.10%)과 경기(2.55%)는 전국 평균을 상회했다. 지역별로는 용인 처인구(5.87%), 서울 강남구(5.23%), 성남 수정구(4.92%) 등 54개 시·군·구가 전국 평균을 웃돌았다. 인구감소 지역은 지가변동률이 0.92%로, 비대상 지역(2.26%)보다 1.34%포인트 낮은 수준을 보였다.
용도지역별로는 상업지역(2.46%)과 공업지역(2.50%)에서 가장 높은 상승률을 기록했으며, 이용 상황별로는 상업용(2.42%)과 공업용(2.50%)에서 두드러진 상승세를 보였다.
2024년 전체 토지 거래량은 약 187.6만 필지로, 전년 대비 2.7% 증가했다. 그러나 건축물 부속토지를 제외한 순수 토지 거래량은 약 66.1만 필지로, 전년 대비 7.0% 감소하며 감소세가 이어졌다. 서울(12.3%)과 울산(18.4%) 등 9개 시·도에서는 전체 토지 거래량이 증가했지만, 8개 시·도는 감소했다. 순수 토지 거래량에서는 서울(22.1%)과 대전(11.0%)에서 증가한 반면, 13개 시·도에서 감소했다.
용도별로 보면 공업지역(13.8%), 주거용 건물용도(17.7%)에서 많이 증가했다. 지목별로는 대지(8.2%) 거래가 활발했다. 한편 2024년 하반기 들어 지가 상승폭이 둔화되며(12월 0.176%), 토지 거래는 지역별, 용도별로 차별된 양상을 보였다. 수도권 중심의 상승세와 지방 일부 지역의 감소는 지역 간 격차를 여실히 드러냈다.
오유교 기자 5625@asiae.co.kr
최신순
추천순
답글순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