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
0
5
0
경제
평당 6억 명동에도 주인없는 땅이?…여의도 188배 국유화 추진
    입력 2025.01.27 10:53
    0

[ 아시아경제 ] 1㎡당 1억원이 훌쩍 넘는 명동 땅이 국유화된다. 정부가 전국의 주인 없는 땅의 국유화를 추진하기 때문이다. 대상은 100년 넘게 주인이 없는 것으로 추정된 미등기 토지로 공시지가 기준 2조2000억원 규모다.

국민권익위원회는 27일 100년 넘게 등기가 이뤄지지 않은 ‘미등기 사정 토지’를 국가가 관리하도록 하는 특별법(미등기 사정토지 국유화 특별법)을 마련해 법무부를 비롯한 7개 부·처·청에 제도 개선을 권고했다고 밝혔다.

미등기 사정(査定) 토지란 일제강점기(1910~1935년) 토지 조사 당시 소유자와 면적·경계가 정해졌지만, 소유자의 사망이나 월북 등의 이유로 100년 넘게 등기가 이뤄지지 않은 땅을 말한다. 뿐만 아니 1960년 민법 시행으로 등기가 의무화된 이후에도 비용 문제 등을 이유로 등기를 하지 않은 사례가 적지 않았다.

이번 특별법에는 미등기 토지에 대해 초기에 소유자로 등록된 사람이나 그 상속자에게 우선 등기 기회를 주고, 나머지 땅은 국가가 소유하도록 하는 내용을 담았다. 이후에라도 진짜 소유자가 나타나면 소유권을 돌려주거나 돌려줄 수 없는 경우에는 보상금을 지급한다.

1㎡당 1억원이 훌쩍 넘는 명동 땅이 국유화된다.

이러한 ‘미등기 사정 토지’안에는 전국에서 땅값이 가장 비싼 곳으로 언급되는 명동도 포함돼 있다. 규모는 3필지(약 1041㎡)다. 18일 국토교통부가 발표한 ‘2025년 전국 표준주택·표준지 공시지가(안)’에 따르면 서울 중구 충무로 1가 네이처리퍼블릭 부지(169.3㎡)가 1㎡당 1억8050만 원으로 가장 비싼 땅으로 나타났다. 평(약 3.3㎡)으로 환산하면 약 5억9565만 원 수준이다. 전국에서 가장 비싼 토지 1위부터 8위 타이틀은 모두 네이처리퍼블릭 부지 인근 명동 일대 토지가 차지했다. 명동 미등기 토지를 평당 1억으로만 잡아도 1조원이 훌쩍 넘는다. 전국적으로는 여의도(2.9㎢)의 약 188배, 국내 토지 면적의 약 1.6%에 달하는 미등기 토지가 있는 것으로 파악된다. 이러한 토지는 개발 사업에 포함되면 소유권을 확인할 수 없어 사업이 지연되거나 취소되기도 해 문제가 됐다.

국민권익위원회 유철환 위원장이 24일 서울 종로구 정부서울청사에서 열린 1월 정례 브리핑에서 지난 4년간 실태조사와 정책 연구용역을 거쳐 국무회의에 보고한 미등기의 사정토지의 일제 정비 방안을 브리핑하고 있다. 연합뉴스

권익위는 법무부·기획재정부·국토교통부·농림축산식품부·행정안전부·법원행정처·조달청에 특별법이 시행될 수 있도록 제도 개선을 지원하라고 권고했다.

유철환 권익위원장은 “미등기 토지를 정리하면 주거 환경이 개선되고, 민간 토지 개발사업도 더 빨리 진행될 것으로 기대된다”며 “관련 부처들과 협업해 올해 말까지 법률을 제정하도록 노력할 것”이라고 말했다.

김은하 기자 galaxy656574@asiae.co.kr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사정
    #전국
    #특별
    #국유화
    #명동
    #주인
    #여의도
    #추진
    #토지
    #소유
포인트 뉴스 모아보기
트렌드 뉴스 모아보기
이 기사, 어떠셨나요?
  • 기뻐요
  • 기뻐요
  • 0
  • 응원해요
  • 응원해요
  • 0
  • 실망이에요
  • 실망이에요
  • 0
  • 슬퍼요
  • 슬퍼요
  • 0
댓글
정보작성하신 댓글이 타인의 명예훼손, 모욕, 성희롱, 허위사실 유포 등에 해당할 경우 법적 책임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최신순
    추천순
    답글순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경제 주요뉴스
  • 1
  • 포스코, 회장 3연임 문턱 높인다… 주총서 ‘3분의2’ 동의 얻어야
    서울신문
    0
  • 포스코, 회장 3연임 문턱 높인다… 주총서 ‘3분의2’ 동의 얻어야
  • 2
  • NH투자증권, 'THE100리포트' 97호 발간
    중앙이코노미뉴스
    0
  • NH투자증권, 'THE100리포트' 97호 발간
  • 3
  • "계엄發 악화 후 완만한 회복" 2月 소비심리, 두 달 연속 '개선'
    아시아경제
    0
  • "계엄發 악화 후 완만한 회복" 2月 소비심리, 두 달 연속 '개선'
  • 4
  • 신한은행 땡겨요, 충청남도 공공배달앱 선정 
    중앙이코노미뉴스
    0
  • 신한은행 땡겨요, 충청남도 공공배달앱 선정 
  • 5
  • "해외 IR 직접 챙긴다" 빈대인 BNK금융지주 회장, 유럽행行
    아시아경제
    0
  • "해외 IR 직접 챙긴다" 빈대인 BNK금융지주 회장, 유럽행行
  • 6
  • 오리온, '꼬북칩 빠삭고사' 이벤트 진행… 패키지에 이름 새긴다
    중앙이코노미뉴스
    0
  • 오리온, '꼬북칩 빠삭고사' 이벤트 진행… 패키지에 이름 새긴다
  • 7
  • 카카오페이, 한국해비타트와 청년 주거취약계층 지원 업무협약
    아시아경제
    0
  • 카카오페이, 한국해비타트와 청년 주거취약계층 지원 업무협약
  • 8
  • 금감원, 올해부터 네·카·토 등 빅테크 정기검사
    서울신문
    0
  • 금감원, 올해부터 네·카·토 등 빅테크 정기검사
  • 9
  • 美 상무부 장관 의회 인준…빨라지는 한미 협상 시계
    아시아경제
    0
  • 美 상무부 장관 의회 인준…빨라지는 한미 협상 시계
  • 10
  • 순금 가격 60만원대 유지…금 가격 상승 곡선 더 그리나?
    중앙이코노미뉴스
    0
  • 순금 가격 60만원대 유지…금 가격 상승 곡선 더 그리나?
트렌드 뉴스
    최신뉴스
    인기뉴스
닫기
  • 뉴스
  • 투표
  • 게임
  • 이벤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