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아시아경제 ] 소비자물가가 상승세를 이어가며 5개월 만에 다시 2%대로 올라섰다. 고환율 상황에서 석유류 가격이 뛰었고, 이상기후에 따른 작황 부진으로 채소값이 크게 오른 것도 영향을 끼쳤다. 함께 오른 국제유가와 환율이 향후 물가 불안을 키우는 요인으로 작용하면서 한국은행의 금리 인하 셈법도 복잡해지고 있다.
5일 통계청이 발표한 ‘1월 소비자물가동향’에 따르면 지난달 소비자물가지수는 1년 전과 비교해 2.2% 상승했다. 상승폭은 지난해 7월(2.6%) 이후 6개월 만에 가장 높았다. 지난해 소비자물가는 상승률이 가장 높았던 2~3월(3.1%)을 지나 4~8월 2%대로 둔화했고, 9월(1.6%)에는 1%대로 떨어진 뒤 5개월 연속 1%대 상승률이 이어졌다. 다만 10월 1.3%까지 떨어진 뒤 11월(1.5%)과 12월(1.9%)에 이어 지난달까지 3개월 연속 상승했다.
전체 물가를 끌어올린 건 석유류 상승세다. 지난달 석유류 물가는 7.3% 올라 전월(1.0%) 대비 상승폭이 크게 확대됐다. 지난해 말 국제유가가 상승세를 보인 가운데 최근 환율까지 변동성을 키우며 석유류 가격이 크게 올랐다. 석유류 물가 상승은 전체 물가를 0.27%포인트 끌어올렸다. 석유류는 각종 공업제품은 물론 에너지 물가 전반에 파급력이 크다.
외식을 제외한 개인서비스 물가는 2.8%에서 3.5%로 상승폭이 확대돼 전체 물가를 끌어올리는 또 다른 요인으로 작용했다. 이두원 통계청 경제동향통계심의관은 "연초 여행 수요가 늘며 해외 단체 여행비나 콘도 이용료가 올랐고, 실손보험료가 오른 것도 주요 상승 요인이었다"고 설명했다. 가공식품류도 2.7% 상승해 지난해 1월(3.2%) 이후 가장 크게 오르며 전체 물가를 0.23%포인트 높였다.
채소류도 크게 뛰었다. 지난해 장기간 이어진 폭염 등 이상기후로 수급에 어려움을 겪었던 무(79.5%)와 당근(76.4%), 배추(66.8%) 등 일부 채소가격은 전년 동월 대비 크게 뛰었다. 특히 배추 가격은 기상악화에 따른 산지 출하 물량이 줄어들며 2022년 10월(72.5%) 이후 2년 3개월 만에 가장 크게 뛰었다. 다만 파(-32.0%)와 오이(-11.6%), 토마토(-5.5%) 등 가격이 내려간 품목도 있었고, 사과(-2.2%)는 지난해 1~2월 가격이 급등했던 기저효과로 마이너스 상승률을 보였다.
물가의 기조적 흐름을 보여주는 근원물가(식료품 및 에너지 제외)는 1년 전보다 1.9% 올랐다. 전월(2.2%)보다 상승폭이 작아졌다. 황경임 기획재정부 물가정책과장은 "하반기로 물가 둔화 흐름이 유지될 것으로 본다"며 "근원물가를 보면 1%대 후반에서 2% 정도가 물가안정 목표 수준이라 아직 물가가 매우 높다고 단정 짓기 어렵다"고 말했다. 정부는 당분간 국제유가 변동성, 이상기후 불확실성 등이 이어질 것으로 보고 물가 안정을 위해 할당관세나 농산물 비축 물량 방출을 지속하겠다고 밝혔다.
2%대로 돌아온 물가에 한은의 고민은 깊어졌다. 그동안 시장에서는 한은이 오는 25일 열릴 금통위에서 기준금리를 0.25%포인트 내릴 것이라는 관측이 우세했다. 경기는 안 좋아지는데 물가는 안정돼 있으니, 한은이 경기 부양을 위해 금리를 더 내릴 것이라는 관측이었다. 지난해 4분기 쇼크 수준의 경제 성장률(0.1%)을 기록한 데다 지난해 말 1470원대까지 치솟은 원·달러 환율은 설 연휴 전 1430원대로 다소 안정세를 되찾으며 금리 인하 여건이 조성됐다는 판단도 있었다.
재차 뛴 물가는 한은의 금리 결정에 걸림돌이다. 올해 물가 전망도 밝지 않다. 추세적 고환율 흐름에 수입물가부터 오르는 데다 도널드 트럼프 신정부가 펼치는 정책들이 물가 상승을 부추기는 요인으로 작용하고 있기 때문이다. 국제정세 불안에 따른 국제유가 흐름도 불확실성을 키우는 요소다. 강성진 고려대 경제학과 교수는 "그동안 경기가 악화하는 가운데 물가는 안정되며 2월 금리 인하를 당연하게 받아들였지만, 물가가 재차 반등하면서 한은의 고민이 깊어질 것"이라며 "물가 상승이 추세적으로 갈지 일시적일지에 대한 판단이 (금리 인하 결정에) 중요한 판단 근거가 될 것"이라고 지적했다.
세종=조유진 기자 tint@asiae.co.kr세종=송승섭 기자 tmdtjq8506@asiae.co.kr
최신순
추천순
답글순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