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앙이코노미뉴스 정재혁] 삼성생명이 삼성화재를 자회사로 편입하는 방안을 검토 중인 것으로 알려졌다.
5일 금융권에 따르면 삼성화재가 최근 상장 보험사 최초의 밸류업(기업가치 제고) 계획을 발표한 뒤 삼성생명의 자회사로 편입될 가능성이 거론되고 있다.
삼성화재는 지난달 31일 공시를 통해 지급여력비율(K-ICS)과 자기자본이익률(ROE)의 목표 수준을 각각 220%, 11~13%로 설정하고 주주환원율을 오는 2028년까지 50%로 단계적으로 확대한다고 밝혔다.
아울러 현재 보유중인 자사주 15.93%는 5% 미만으로 점차 축소하기로 했다. 이 과정에서 삼성화재의 최대주주인 삼성생명은 지분 확대 효과가 발생한다.
삼성생명은 삼성카드·삼성증권 등 금융계열사의 지주사 역할을 하고 있지만, 삼성화재는 여전히 별도법인으로 남아있는 상태다.
증권사 리포트 등에 따르면 삼성화재가 자사주를 5%까지 소각하면 삼성생명의 지분율은 14.98%에서 16.93%로 오른다.
현행 보험업법은 보험사가 다른 보험사의 주식을 15% 이상 보유할 시 금융위원회의 승인을 받아 자회사로 편입해야 한다. 또한 공정거래위원회의 기업결합심사도 받아야 한다.
따라서 삼성생명이 보유 중인 삼성화재 지분을 처분하지 않는 한 삼성화재를 자회사로 편입해야 하는 상황이 벌어질 수 있다.
다만, 삼성생명이 삼성화재 자회사 편입을 피하기 위해 보유 지분을 처분할 경우엔 '오버행(잠재적 매도물량)'에 따른 주가 하락 가능성도 있다.
삼성생명은 현재 삼성화재의 자회사 편입 여부 등에 대해 금융당국과 논의 중인 것으로 전해졌다.
이와 관련, 삼성생명 관계자는 “삼성화재 자회사 편입 이슈와 관련해 정해진 것은 없다"며 "오는 20일 예정된 삼성생명의 IR(기업설명회)에서 일정 부분 설명할 기회가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최신순
추천순
답글순
![](https://cdn.trend.rankify.best/dctrend/front/images/ico_nocomment.svg)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