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
0
5
0
경제
"상품권 투자해서 월 3300만원"…금감원, 작년 불법 유사수신 35곳 적발
    입력 2025.02.11 12:00
    0

[ 아시아경제 ] #A씨는 지난해 12월께 유튜브에서 상품권 투자로 월 500만원을 번다는 영상을 봤다. 블로그 투자후기, 업체 관련 기사를 살펴본 뒤 홈페이지에서 사업구조와 원금보장 약정 안내를 확인했다. 업체가 안내한 계좌로 1000만원을 입금했고 초기 수익금을 제외한 전액을 날렸다. 업체 연락은 끊겼다.

#B씨는 1000만원을 맡기면 1500만원을 365일 분할 지급하는 업체가 있다는 지인 말을 듣고 투자했다. 투자액 150%를 자사 개설 전자지급결제플랫폼 포인트로 주고, 매달 일정 금액을 현금화할 수 있다고 했다. 지인 비롯 수많은 이들의 출금 사실을 확인하고 투자한 뒤 3개월간 일정액을 돌려받았지만, 이후 업체가 잠적했다.

유튜브에 게재된 불법 유사수신·사기 홍보영상. 금융감독원 제공

금융감독원은 지난해 유사수신 관련 신고 410건이 들어왔다고 11일 밝혔다. 전년(328건) 대비 25%(82건) 증가했다. 이 중 35개 업체를 적발해 경찰에 넘겼다. 업체 수는 전년(47개) 대비 12개(26%) 줄었지만 적발 인원은 90명으로 3명(3%) 늘었다. 유사수신 행위는 인·허가, 등록 없이 원금 이상 지급을 약정한 뒤 불특정 다수의 출자금, 예·적금 등을 조달하는 행위다.

금감원에 따르면 경찰에 수사를 의뢰한 유사수신 유형은 신기술·신사업 투자(17건, 48.6%), 가상자산 및 주식·채권 등 금융상품 투자(12건, 34.3%), 부동산 투자(6건, 17.1%) 순이었다. 최근엔 사회관계망서비스(SNS)에서 고수익 보장을 내건 온라인 전용 불법 사기가 늘었다. 금감원 관계자는 "온라인 사기를 당하면 사실상 회복 불가능"이라고 말했다.

금감원은 대표 유사수신 사기 4건을 공개했다. 불법 업자들은 ▲온라인에서 유망 사업체로 가장 ▲경매학원 수강생 대상 부동산 실전 투자 빙자 ▲어르신 대상 다단계 모집 ▲금융업계 종사자를 이용하여 재테크를 가장해 서민 자금을 쓸어 담았다.

소비자를 유인하는 주요 키워드로는 '원금보장' '부동산경매' '평생 연금' '가상자산 상장' '목돈 관리' 등을 꼽았다. 특히 가짜 투자성공 후기를 올린 뒤 투자금을 모으고 잠적하는 온라인 '유령' 유사수신, 어르신에게 가상자산사업자, 코인 발행 재단 임직원 등을 사칭하며 접근하는 사기 행위 등에 주의하라고 강조했다.

금감원은 소비자 유의사항 및 대응 요령 6가지를 제시했다. 이는 ▲'고수익·원금보장 투자'는 없다는 진리 기억 ▲온라인 투자 성공 후기는 불법 업체의 유혹일 가능성 유념 ▲가치평가가 어려운 투자 대상은 더 꼼꼼히 사실 확인 ▲지인 고수익 보장 권유도 의심 ▲보험설계사 등 금융 종사자 맹신 주의 ▲불법 행위 의심 시 신속 제보 등이다.

금감원 관계자는 "수사 기관과의 공조를 강화하고 소비자 경보를 적극 발령해 금융범죄 척결에 앞장설 계획"이라며 "유사수신업체로부터 피해를 보거나 사기 행위로 의심되면 지체 없이 신고, 제보해주길 바란다"고 당부했다.

문채석 기자 chaeso@asiae.co.kr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적발
    #유사
    #업체
    #상품권
    #금감원
    #라인
    #불법
    #작년
    #사기
    #투자
포인트 뉴스 모아보기
트렌드 뉴스 모아보기
이 기사, 어떠셨나요?
  • 기뻐요
  • 기뻐요
  • 0
  • 응원해요
  • 응원해요
  • 0
  • 실망이에요
  • 실망이에요
  • 0
  • 슬퍼요
  • 슬퍼요
  • 0
댓글
    최신순
    추천순
    답글순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경제 주요뉴스
  • 1
  • 북한강부터 제주까지…할리스가 추천하는 로맨틱 드라이브 카페
    중앙이코노미뉴스
    0
  • 북한강부터 제주까지…할리스가 추천하는 로맨틱 드라이브 카페
  • 2
  • 한화호텔, 아워홈 인수한다… 8695억에 지분 58.62% 매입
    서울신문
    0
  • 한화호텔, 아워홈 인수한다… 8695억에 지분 58.62% 매입
  • 3
  • 30년 이상 노후 저수지 96.5%…올해 180곳서 수리시설개보수사업
    아시아경제
    0
  • 30년 이상 노후 저수지 96.5%…올해 180곳서 수리시설개보수사업
  • 4
  • 불경기에 고객 지갑 비어간다…4대 은행 잠재 부실 여신 1년 새 13% 늘어
    서울신문
    0
  • 불경기에 고객 지갑 비어간다…4대 은행 잠재 부실 여신 1년 새 13% 늘어
  • 5
  • 최태원 “기업이 경제적 가치 추구하려면 사회문제 해결해야”
    서울신문
    0
  • 최태원 “기업이 경제적 가치 추구하려면 사회문제 해결해야”
  • 6
  • 삼성생명·화재, 삼성전자 주식 매각…"금산법 위반 리스크 해소"
    아시아경제
    0
  • 삼성생명·화재, 삼성전자 주식 매각…"금산법 위반 리스크 해소"
  • 7
  • [Why&Next]건설채 완판 또 완판…건설사 유동성에 '단비'
    아시아경제
    0
  • [Why&Next]건설채 완판 또 완판…건설사 유동성에 '단비'
  • 8
  • [금융현미경]노인 자산 80%가 부동산…초고령사회에 주택연금이 주목받는 까닭
    아시아경제
    0
  • [금융현미경]노인 자산 80%가 부동산…초고령사회에 주택연금이 주목받는 까닭
  • 9
  • “호반그룹·두왓처럼 상생 협업”… 정부, 혁신 스타트업에 1.2억 쏜다
    서울신문
    0
  • “호반그룹·두왓처럼 상생 협업”… 정부, 혁신 스타트업에 1.2억 쏜다
  • 10
  • 현대카드, 국내 첫 메탈 신용카드 상품확대…프리미엄→일반회원
    아시아경제
    0
  • 현대카드, 국내 첫 메탈 신용카드 상품확대…프리미엄→일반회원
트렌드 뉴스
    최신뉴스
    인기뉴스
닫기
  • 뉴스
  • 투표
  • 게임
  • 이벤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