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
0
5
0
경제
[100세시대 재테크]치솟는 금값, 조정 있어도 장기적 상승
    입력 2025.02.12 10:30
    0

[ 아시아경제 ] 최근 뉴욕상품거래소에서 금 가격이 사상 처음으로 온스당 2900달러를 넘어섰다. 금값을 결정하는 요인을 보면 금값은 단기 조정을 거치더라도 장기적으로는 더 오를 수 있다.

금 가격을 결정하는 가장 중요한 요인은 달러 인덱스(달러화지수)와 더불어 미국 금리와 물가이다. 금 가격은 달러로 표시되기에 달러 가치가 하락하면 금값은 상승한다. 미국 금리(10년물 국채수익률)가 하락할 때 달러 가치가 떨어졌고 금 가격은 올랐다. 금은 인플레이션을 헤지할 수 있는 상품 가운데 하나이다. 그래서 물가가 오를 때 금 가격도 오른다. 이 외에 금 수급이나 글로벌 정치·경제적 불확실성도 금 가격에 영향을 준다.

2000년 1월에서 2025년 1월 통계를 대상으로 금값을 달러 인덱스, 미국 10년 만기 국채수익률, 소비자물가지수로 회귀 분석해보면 달러 인덱스가 1% 하락했을 때 금값은 1.33% 상승했다. 또 국채수익률이 1% 하락하면 금값은 0.09% 상승했고, 소비자물가지수가 1% 오르면 금값은 3.34% 오르는 것으로 나타났다.

최근 달러 인덱스가 약간 오르고 있지만, 장기 하락 추세에서 일시적 반등일 확률이 높다. 우선 세계 국내총생산(GDP)에서 차지하는 미국 비중이 줄고 있고 앞으로도 더 낮아질 것이다. 국제통화기금(IMF)에 따르면 세계 GDP에서 미국 비중이 2001년 31.2%에서 2024년에는 26.5%로 낮아졌다. 세계 경제에서 미국 비중 축소는 곧 달러 가치의 하락을 의미한다.

다음으로 세계 중앙은행의 달러 보유 축소가 달러 인덱스 하락 요인으로 작용하고 있다. IMF에 따르면 2001년 세계 중앙은행의 외환 보유액 가운데 달러 비중이 71.5%였으나 지난해 3분기에는 57.4%로 낮아졌다. 특히 중국의 인민은행이 미 국채를 팔고 금을 매수하고 있다. 여기다가 미국의 대내외 불균형 확대도 달러 가치 하락 요인으로 작용하고 있다. 2000년 GDP 대비 54.9%였던 미국 연방정부의 부채가 2024년에 3분기에는 120.7% 증가했다. 미국의 대외순부채(대외부채-대외자산)도 같은 기간 GDP 대비 15.0%에서 80.3%로 급등했다.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의 수입 상품에 대한 관세 부과도 인플레이션 기대심리를 키우고 있다. 트럼프 대통령은 대선 공약으로 주요국의 수입 상품에 20% 관세를, 특히 중국산에 대해서 60%의 추가 관세를 부과하겠다고 했다. 지난해 12월 미 의회예산국(CBO) 분석에 따르면, 트럼프 대통령의 구상대로 모든 수입품에 이처럼 관세가 부과될 경우 2026년까지 인플레이션이율이 1%포인트 상승한다. 2000~2024년에 미국의 소비자물가 상승률이 월평균 2.6%였는데 금값은 10.1%나 상승했다. 금이 가장 확실한 인플레이션 헤지 수단인 것이다.

금값을 결정하는 요인 특히 달러 인덱스를 보면 금값은 장기적으로 상승할 확률이 높다. 미국이 금본위제로 간다는 극단적 가정을 하고, 지난해 12월 미국의 본원통화량(5조6041달러)과 금 보유량(8133.5t)을 고려한다면 적정 금 가격은 온스당 21431달러이다. 물론 가까운 시일 내에 금값이 여기까지 갈 가능성은 낮다. 최근 금 가격을 결정하는 요인에 비해서 일시적으로 금값이 과대평가 영역에 있기에 조정을 보일 수도 있다. 금은 이자나 배당금이 없는 ‘알을 낳지 않은 암탉’이다. 그러나 금 가격은 장기적으로 상승했고 앞으로도 그럴 확률이 높다. 우리 자산 가운데 일부는 금을 보유해야 할 것이다.

김영익 서강대 경제대학원 겸임교수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상승
    #미국
    #장기
    #인덱스
    #재테크
    #가격
    #시대
    #조정
    #금값
    #하락
포인트 뉴스 모아보기
트렌드 뉴스 모아보기
이 기사, 어떠셨나요?
  • 기뻐요
  • 기뻐요
  • 0
  • 응원해요
  • 응원해요
  • 0
  • 실망이에요
  • 실망이에요
  • 0
  • 슬퍼요
  • 슬퍼요
  • 0
댓글
    최신순
    추천순
    답글순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경제 주요뉴스
  • 1
  • 원·달러 환율 0.8원 오른 1453.4원 마감
    아시아경제
    0
  • 원·달러 환율 0.8원 오른 1453.4원 마감
  • 2
  • 삼양식품, 창사 이래 최대 영업이익…농심 제치고 수익성 1위
    중앙이코노미뉴스
    0
  • 삼양식품, 창사 이래 최대 영업이익…농심 제치고 수익성 1위
  • 3
  • 1000원 빵집… 불황형 소비 확산
    서울신문
    0
  • 1000원 빵집… 불황형 소비 확산
  • 4
  • “3분만에 100만원 벌었다” 계좌 인증도… 상장 첫날 100% 급등한 코스닥 종목
    서울신문
    0
  • “3분만에 100만원 벌었다” 계좌 인증도… 상장 첫날 100% 급등한 코스닥 종목
  • 5
  • [마감시황] 아이에스티이·조선 관련주·올릭스
    중앙이코노미뉴스
    0
  • [마감시황] 아이에스티이·조선 관련주·올릭스
  • 6
  • [돈버는 퀴즈] 캐시워크 정답 2월 12일 정답 모음 추가 공개
    스타데일리뉴스
    0
  • [돈버는 퀴즈] 캐시워크 정답 2월 12일 정답 모음 추가 공개
  • 7
  • 농심, 작년 영업이익 1631억원...전년比 23.1%↓
    중앙이코노미뉴스
    0
  • 농심, 작년 영업이익 1631억원...전년比 23.1%↓
  • 8
  • 얼굴만 대면 편의점 결제 척척… ‘토스 페이스페이’ 시대 열린다’
    서울신문
    0
  • 얼굴만 대면 편의점 결제 척척… ‘토스 페이스페이’ 시대 열린다’
  • 9
  • 김철주 생보협회장 "해약환급금 제도, 밸류업과 상충…개선안 마련"
    중앙이코노미뉴스
    0
  • 김철주 생보협회장 "해약환급금 제도, 밸류업과 상충…개선안 마련"
  • 10
  • 롯데웰푸드, 작년 영업이익 1571억원...전년比 11.3%↓
    중앙이코노미뉴스
    0
  • 롯데웰푸드, 작년 영업이익 1571억원...전년比 11.3%↓
트렌드 뉴스
    최신뉴스
    인기뉴스
닫기
  • 뉴스
  • 투표
  • 게임
  • 이벤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