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타데일리뉴스=서태양기자] 솔트룩스가 차세대 인공지능(AI) 모델 ‘루시아2.5(LUXIA2.5)’를 공개하며 글로벌 AI 시장에서 경쟁력을 강화하고 있다.
이번 모델은 AI 환각(잘못된 정보 생성) 발생률을 획기적으로 낮추는 동시에 논리적 추론 능력을 대폭 향상한 것이 특징이다.
솔트룩스는 2023년 자체 개발한 거대언어모델(LLM) ‘루시아’를 처음 선보였으며, 이후 지속적인 업그레이드를 통해 국내외 AI 경쟁력을 키워왔다. 지난해 공개된 ‘루시아2.0’은 검색증강생성(RAG) 기술을 최적화해 법률, 의료, 제조 등 특정 도메인에서 GPT-4, 딥시크와 견줄 만한 성능을 보여주었다.
지난 13일 발표된 ‘루시아2.5’는 AI의 추론 능력을 극대화해 단순한 답변을 제공하는 것이 아니라 문제 해결을 위한 다양한 접근법을 제시할 수 있도록 개선됐다. 특히, AI가 정보를 단순히 검색하고 요약하는 기존 방식에서 벗어나 보다 심층적인 분석을 수행할 수 있는 것이 특징이다.
이를 통해 법률 문서 요약, 기업 분석, 자동 보고서 생성 등의 서비스에서 보다 정교한 결과를 제공할 것으로 기대된다.
솔트룩스는 AI 모델 사용 비용 절감을 위해 자체 인프라 최적화에도 집중했다. 기존 오픈AI GPT나 딥시크보다 저렴한 모델 API를 제공하기 위해 GPU 클라우드 동적 확장, GPU 슬라이싱 등의 기술을 적용했다.
이에 따라 루시아2.5는 1000토큰당 사용 비용이 0.0007달러 수준으로 책정되며, 기업들이 AI 도입 비용을 기존 대비 10분의 1로 절감할 수 있도록 했다.
솔트룩스는 루시아2.5를 기반으로 ‘구버(Goover)’라는 AI 기반 자동 리서치 서비스를 운영 중이다. 구버는 사용자의 요청을 바탕으로 심층 분석 보고서를 자동 생성하는 AI 리포트 시스템으로, 현재 10만 명 이상의 사용자를 확보했으며, 하루 2만 건 이상의 AI 질의 처리와 함께 25만 개 이상의 보고서를 생성했다.
오는 4월부터는 루시아2.5가 구버에 적용되며, 검색 시 AI가 200개 이상의 데이터를 활용해 보다 정교한 분석을 수행하는 ‘딥리서치’ 기능이 추가될 예정이다.
또한, 기업 분석을 위한 ‘컴퍼니 브리프 에이전트’가 도입돼 2000개 이상의 기업 데이터를 AI가 실시간 모니터링하고 보고서를 자동 생성하는 기능이 추가된다.
솔트룩스의 루시아2.5가 글로벌 AI 시장에서 GPT와 딥시크에 맞서 어떤 성과를 거둘지 관심이 집중되고 있다.
최신순
추천순
답글순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