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
0
5
0
경제
K뷰티 이끌던 명동 ‘로드숍’ 줄폐점…판로 확장·해외 공략에 성과 달려
    박은서 기자
    입력 2025.02.16 18:06
    0

서울 중구 명동 거리의 모습. 박은서 기자
서울 중구 명동 거리의 모습. 박은서 기자

외국인 관광객 증가에 힘입어 2022~23년 서울 중구 명동 일대에 생겼던 중저가 화장품 점포 ‘로드숍’ 여러 곳이 지난해 하반기 문을 닫은 것으로 나타났다. 온라인 수요가 커진 데다 여러 브랜드를 성분 중심으로 한꺼번에 비교해보고 사는 화장품 쇼핑 트렌드가 자리 잡으면서 로드숍의 설자리가 좁아진 것이다.

16일 서울신문 취재에 따르면 2023년 2월 연 에뛰드 명동1번가점이 지난해 말 문을 닫았다. 2022년 12월과 2023년 1월 연 네이처리퍼블릭의 명동 점포 2곳도 지난해 9, 11월 각각 폐점했다. 코로나19 엔데믹 전환 후 외국인 관광객 수가 회복하자 야심차게 매장을 열었지만 2년을 못 버틴 셈이다.

글로벌 부동산 컨설팅 기업 쿠시먼앤드웨이크필드 코리아에 따르면 지난해 명동의 공실률은 6.8%로 전년(14.5%) 대비 크게 줄며 팬데믹 이전 수준을 회복했다.

전 세계적인 K뷰티 열풍에도 로드숍이 부진한 건 달라진 소비 트렌드로 풀이된다. CJ올리브영 같은 멀티 브랜드샵이 화장품 쇼핑의 중심이 돼서다. 올리브영은 현재 명동에 6곳의 점포가 있다. 1·2층 규모의 명동타운점은 일평균 방문 고객이 1만명을 넘고 90%가 외국인으로 로드숍 수요를 대체하고 있다.

이런 탓에 갈수록 화장품 로드샵 점포 수는 줄고 있다. 공정거래위원회에 따르면 2021년 535곳, 113곳에 이르던 아모레퍼시픽그룹의 이니스프리, 에뛰드 점포 수는 2023년 각각 338곳, 49곳으로 줄었다. LG생활건강은 아예 2023년 더페이스샵, 네이처컬렉션의 화장품 가맹사업을 철수하고 가맹점주가 타사 제품도 팔 수 있도록 했다.

로드숍 브랜드의 실적은 채널 다각화와 해외 시장 공략 여부로 갈렸다. 미샤의 운영사 에이블씨엔씨의 지난해 영업이익은 203억원으로 전년 대비 77.7% 늘었다. 저수익 채널 의존도를 낮추고, 유럽 매출이 62.6% 증가하는 등 해외 시장 성장이 두드러지면서다. 국내에선 전용 제품을 출시한 다이소에서만 매출이 546% 급증했다.

반면 이니스프리(16억원)와 에뛰드(91억원)의 영업이익은 전년 대비 각각 84.1%, 38.6% 감소했다. 아모레퍼시픽 그룹 전체 영업이익(2493억원)이 전년보다 64.0% 늘었음에도 흐름을 타지 못한 것이다. 두 브랜드 모두 로드숍을 줄이는 등 판매 채널 재정비를 한 여파라고 회사 측은 설명했다. 이니스프리는 타사보다 늦은 2023년 올리브영에 입점했고, 로고와 디자인을 바꾸며 진행한 리브랜딩의 효과를 보지 못했다.

명동은 사실상 외국인 대상의 상권인데 점포를 줄이는 건 해외 시장 진출이 더 효과적이어서라는 해석도 있다. 아모레퍼시픽의 지난해 미주 매출(5246억원)이 전년보다 83% 증가하며 처음 중화권(5100억원)을 넘어섰다. 화장품업계 관계자는 “비싼 임대료의 명동 점포를 유지하는 것보다 아마존 직접 진출 등 해외 시장을 공략하는 게 낫다고 보는 것”이라고 설명했다.

    #명동
    #성과
    #지난해
    #서울
    #공략
    #로드
    #뷰티
    #폐점
    #확장
    #해외
포인트 뉴스 모아보기
트렌드 뉴스 모아보기
이 기사, 어떠셨나요?
  • 기뻐요
  • 기뻐요
  • 0
  • 응원해요
  • 응원해요
  • 0
  • 실망이에요
  • 실망이에요
  • 0
  • 슬퍼요
  • 슬퍼요
  • 0
댓글
정보작성하신 댓글이 타인의 명예훼손, 모욕, 성희롱, 허위사실 유포 등에 해당할 경우 법적 책임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최신순
    추천순
    답글순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경제 주요뉴스
  • 1
  • 한화손보, 미혼남녀 만남 '설렘, 아트나잇' 성료…22커플 탄생
    중앙이코노미뉴스
    0
  • 한화손보, 미혼남녀 만남 '설렘, 아트나잇' 성료…22커플 탄생
  • 2
  • 관세 사정권 반도체·제약도 예의주시… “메모리 대체재 없어 피해 크지 않을 것”
    서울신문
    0
  • 관세 사정권 반도체·제약도 예의주시… “메모리 대체재 없어 피해 크지 않을 것”
  • 3
  • 기업 10곳 중 8곳 “중처법 개정해야”… 63% 안전 인력 늘려도 실효성 낮아
    서울신문
    0
  • 기업 10곳 중 8곳 “중처법 개정해야”… 63% 안전 인력 늘려도 실효성 낮아
  • 4
  • "이사장 집에 점심 배달까지"…고용부, 강원학원 '특별근로감독'
    아시아경제
    0
  • "이사장 집에 점심 배달까지"…고용부, 강원학원 '특별근로감독'
  • 5
  • 빅테크 기업도 올해부터 금감원 정기검사…738회 검사예고
    아시아경제
    0
  • 빅테크 기업도 올해부터 금감원 정기검사…738회 검사예고
  • 6
  • 이병래 손보협회장 “난임치료 지원 보험 개발…실손보험 청구전산화 확대 지원할 것”
    서울신문
    0
  • 이병래 손보협회장 “난임치료 지원 보험 개발…실손보험 청구전산화 확대 지원할 것”
  • 7
  • 한국투자증권, 지난해 4분기 퇴직연금 디폴트옵션 수익률 1위
    중앙이코노미뉴스
    0
  • 한국투자증권, 지난해 4분기 퇴직연금 디폴트옵션 수익률 1위
  • 8
  • 이종오 금감원 부원장보 "은행 디지털화 빨라져, IT통제 강화해야"
    아시아경제
    0
  • 이종오 금감원 부원장보 "은행 디지털화 빨라져, IT통제 강화해야"
  • 9
  • 車 대미 수출 9.1조 증발… “美에 공장 세우면 무관세” 투자 압박
    서울신문
    0
  • 車 대미 수출 9.1조 증발… “美에 공장 세우면 무관세” 투자 압박
  • 10
  • [캐시닥 정답] 타임스프레드 동일 문제 용돈 퀴즈 정답 리스트 2월 19일 공개
    스타데일리뉴스
    0
  • [캐시닥 정답] 타임스프레드 동일 문제 용돈 퀴즈 정답 리스트 2월 19일 공개
트렌드 뉴스
    최신뉴스
    인기뉴스
닫기
  • 뉴스
  • 투표
  • 게임
  • 이벤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