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아시아경제 ] 정부가 전기차·반도체 등 첨단산업 필수 원료로 활용되는 핵심광물 공급망 안정화를 위해 민간 핵심광물 투자 지원에 나선다.
산업통상자원부와기획재정부, 외교부는 18일 ‘핵심광물 투자 협의회’ 출범 회의를 개최해 국내·외 핵심광물 개발 활성화 및 성과 제고 방안을 논의했다.
협의회는 정부가 발표한 '공급망 안정화 기본계획'과 '2025년 경제정책방향'을 바탕으로 출범한 협의체로, 민간 중심의 유망 핵심광물 투자 프로젝트를 발굴하는 역할을 한다. 민간 협단체, 기업들도 참여하며 해외자원산업협회·한국광해광업공단이 공동간사로 운영한다.
공급망안정화기금 투자를 비롯해 해외자원개발조사·융자(광해광업공단·에너지공단), 해외투자보험(무역보험공사) 및 공급망컨설팅(KOTRA) 지원 등 기존 해외자원개발 지원제도를 포괄하는 민관협력 종합 지원체계를 구축하는 게 목표다.
그간 정부는 '핵심광물 확보전략' 마련으로 해외자원개발 조사·융자 지원 등 민간의 핵심광물 확보를 간접적으로 지원해 왔으나, 직접투자 지원 수단이 없고 지원사업간 연계가 미흡하다는 지적이 있었다. 이에 정부는 공급망안정화기금을 통해 우리 기업의 핵심광물 확보 프로젝트에 직·간접적으로 투자 할 수 있는 계기를 마련하고 지원사업간 연계를 강화하기로 했다.
이를 위해 공급망안정화기금으로 올해부터 연간 500억원 수준에서 핵심광물에 대해 민관 공동투자를 추진한다. 연도별로 수요를 감안해 지속·장기투자를 추진할 계획이다. 공급망안정화기금 투자가 단기·일회성 투자에 그치는 것이 아니라 꾸준한 장기 투자로 민간의 핵심광물 투자 활성화를 적극 뒷받침할 예정이다.
정부 관계자는 "핵심광물안보파트너십(MSP·Minerals Security Partnership) 의장국으로서의 역할을 차질없이 수행해나가면서, 핵심광물 투자 협의회와의 연계를 통해 채굴·가공 등 다양한 해외 핵심광물 투자 사업에 참여하는 우리 기업들을 적극 지원해나갈 예정"이라고 말했다.
세종=강나훔 기자 nahum@asiae.co.kr
최신순
추천순
답글순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