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아시아경제 ] 침체한 경기를 살리기 위해 금융위원회가 산업 현장에 지난해보다 더 많은 정책금융 자금을 더 빨리 공급하고 있다고 밝혔다. 오는 4월까지 작년 대비 최대 13조원 확대된 122조원 규모의 정책금융을 집행하는 등 경기 회복을 위해 상반기 중 전체 자금의 60%를 신속 집행할 예정이다.
김소영 금융위 부위원장은 19일 오전 정부서울청사에서 한국산업은행, IBK기업은행, 수출입은행, 신용보증기금, 기술보증기금 등 5대 정책금융기관과 정책금융 조기집행 점검 회의를 열고 "상반기 정책금융 조기집행을 통해 산업현장의 활력 회복을 지원하겠다"고 말했다.
김 부위원장은 "5대 정책금융기관은 지난 14일까지 총 33조원의 자금을 공급해 전년 같은 기간 대비 17%(4조9000억원) 많은 자금을 집행했다"며 "이는 대내외 불확실성 확대와 길었던 설 연휴 등을 고려할 때 매우 빠른 집행 속도라고 할 수 있다"고 설명했다.
그는 빠른 속도로 2조원 이상 자금을 집행 중인 수출입은행이나 어려운 수출 여건에 대응해 수출기업 지원을 확대하고 있는 신용보증기금을 모범사례로 꼽았다.
김 부위원장은 "5개 정책금융기관은 1분기 중 88조원을 공급하고, 오는 4월 말까지는 예년 수준 대비 13조원 이상 확대된 122조원 이상의 자금을 산업현장에 공급하겠다"며 "이를 통해 정책금융기관 공급계획의 60% 이상을 상반기 내에 달성할 것"이라고 발표했다. 122조원은 금융위가 연초 '주요현안 해법회의'에서 발표한 내용보다 3조원 추가 확대된 것으로 수출입은행의 목표치가 추가로 반영됐다.
그는 "3월부터는 각 기업의 재무제표가 순차적으로 확정되고, 본격적인 설비투자가 시작되는 만큼, 산업 현장에도 활기가 가득하도록 금융위가 지원해 나갈 것"이라며 "관계 기관들이 적극적으로 협조해 달라"라고 당부했다.
지분투자를 위한 정책펀드의 결성 시점도 빨라진다. 올해 3년 차를 맞이한 연 3조원 규모의 혁신산업 육성·스케일업 목적 펀드인 '혁신성장펀드'는 예산안이 확정된 직후인 작년 12월 조성계획을 조기에 발표한 데 이어, 지난 10일에는 모펀드 운용사 선정을 마무리했다. 이는 재작년(3월31일), 작년(4월5일)에 비해 2개월가량 빠른 것으로 산업현장에 자금이 실제 공급되는 속도도 더 빨라질 것으로 예상된다.
김 부위원장은 "펀드 조성이 예년 대비 두 달 빠르게 진행되고 있는 만큼 산업현장에 지분투자 등의 방식으로 자금이 공급되는 속도도 더 빨라질 것"이라고 기대했다.
그는 "2%대 저성장이 굳어진 가운데, 올해 실질성장률 전망치가 1%대로 하향되는 등 경제전망도 밝지 않다"며 "실물경기 회복 속도가 늦춰지면 산업 생태계 구성 기업들의 어려움이 가중될 수밖에 없는 만큼 정책금융이 적극적인 역할을 수행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한편 산업은행은 정부의 산은 자본금 증자가 실제로 집행되기 전인 1월24일부터 4조2500억원 규모의 '반도체 설비투자 지원 특별프로그램'을 출시했다. 반도체 산업을 영위하는 기업이 설비투자를 하려는 경우 산업은행을 통해 2%대 국고채 수준 금리로 자금을 대여받을 수 있으며, 작년 7월 산업은행의 자체 여력으로 먼저 제공된 프로그램을 이용한 기업의 경우 새로 생긴 프로그램으로 대환(재원변경)을 진행할 수도 있다고 금융위는 밝혔다.
이창환 기자 goldfish@asiae.co.kr
최신순
추천순
답글순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