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앙이코노미뉴스 윤남웅] 홈플러스가 어음 부도로 인해 당좌계좌가 정지됐지만, 이는 금융채권 상환 유예에 따른 기술적인 조치로 실제 영업에는 영향이 없다는 입장을 11 밝혔다.
홈플러스는 "현재 상거래 채권은 정상적으로 지급되고 있으며, 회생절차 개시에 따라 금융채권 상환이 유예된 상태"라며 "4일 이후 만기가 도래하는 금융채권 역시 회생절차에 따라 상환될 것"이라고 설명했다.
이어 "금융사들이 내부 절차에 따라 만기 도래 채권을 부도 처리한 것이며, 일반적인 지불 불능으로 인한 부도 상황은 아니다"라고 강조했다. 또한 "당사는 당좌계좌를 사용하지 않고 전자지급시스템을 이용하고 있어 실제 영업 활동에는 차질이 없다"고 덧붙였다.
협력사 납품 정상화 진행 중
홈플러스는 주요 협력사들과의 납품 합의를 속속 완료하며 상품 공급 안정화에 박차를 가하고 있다. 현재 납품 합의가 완료된 기업은 삼성, CJ제일제당, 롯데웰푸드, 농심, 삼양, 오뚜기, 남양, 동서, 캘로그, 샘표, 정식품, 팔도 등이다.
홈플러스 측은 "대부분의 주요 협력사들과 납품 합의를 마쳤으며, 다른 협력사들과도 조속한 합의를 통해 상품 공급을 원활하게 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CP·전단채 및 ABSTB 관련 입장
홈플러스는 테스코 시절부터 매월 7000억 원 규모의 CP(기업어음) 및 전단채를 정기적으로 발행하며 단기 운전자금을 조달해 왔다고 설명했다. 이는 다른 기업들과 마찬가지로 일반적인 재무활동이라는 입장이다.
또한 신영증권이 수년 전부터 홈플러스의 카드매입채권을 기초로 ABSTB(자산유동화전자단기사채)를 발행했으며, 금융기관에서 인수한 것으로 파악된다고 밝혔다. 다만 "증권사가 이를 리테일 창구를 통해 개인 투자자에게 재판매한 부분에 대해선 인지하지 못했다"고 말했다.
회생절차 개시로 인해 금융채권이 유예되면서 일부 ABSTB의 지급도 연기됐다. 이로 인해 이를 발행한 SPC(특수목적법인)가 부도 처리됐지만, CP 및 ABSTB 역시 다른 금융채권과 동일하게 회생절차를 통해 상환될 것이라고 설명했다.
협력사 대금 지급 순차적 진행
홈플러스는 현재 상거래 채권 지급을 순차적으로 진행하고 있으며, 특히 소상공인과 영세사업자를 우선적으로 고려하고 있다고 밝혔다. 대기업 채권은 분할 지급 방식으로 진행된다.
홈플러스 측은 "일시적으로 지급이 중단됐던 상거래 채권의 약 3분의 1 이상이 이미 지급 완료됐으며, 지속적으로 순차 지급이 이뤄지고 있다"고 전했다.
또한 회생절차 개시일인 3월 4일 이후의 거래 대금은 정상 지급되고 있으며, 이번 주 중으로 상세한 지급 계획을 수립해 협력사에 전달할 예정이다. 이를 통해 협력사 및 임대주들의 불안을 최소화하겠다는 방침이다.
이와 함께 홈플러스는 "대금 지급이 지연돼 협력사가 긴급 운영자금을 대출받아야 하는 경우, 그로 인한 이자 비용도 보전할 계획"이라며 협력사 및 임대주들의 피해를 최소화하겠다고 강조했다.
최신순
추천순
답글순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