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
0
5
0
포토 & 영상
비싸진 토마토… 햄버거서 "Bye"
    입력 2025.04.09 15:10
    0

[ 아시아경제 ] 기후변화에 따른 작황 부진과 생산비 상승으로 외식업계가 식자재 수급 불안에 흔들리고 있다. 특히 햄버거 브랜드들은 토마토 등 식자재 가격 상승에 직면하면서 원가 압박이 커지고 있다. 일부 업체는 메뉴 조정과 가격 인상 등 구조적 대응에 나서고 있다.

토마토 단가 30% 인상 계약…지난해 폭염으로 공급 차질

9일 유통업계에 따르면 버거킹, 맥도날드, 롯데리아 등은 올해 생토마토 연중 단가를 전년 대비 30% 가까이 올려 식자재 업체들과 계약을 체결했다. 현재 도매가격은 10㎏당 2만9000원으로 전년보다 30% 하락했지만 이상기후로 작황 예측이 어려워지며 연간 계약가는 오히려 상승했다. 지난해 여름 기록적인 폭염으로 토마토 생장이 부진했던 점이 반영된 결과다.

실제로 지난해 10월 기준 토마토 도매가격은 8만원으로, 4개월 전보다 60% 넘게 급등한 바 있다. 이에 따라 외식업체들은 토마토 사용량을 줄이거나 아예 제외했다. 샌드위치 브랜드 써브웨이는 15㎝ 샌드위치에 들어가는 토마토를 3장에서 2장으로 줄였고, 제빵브랜드 뚜레쥬르는 가맹점 공급 단가를 30% 인상했다.

햄버거 브랜드 맥도날드는 일부 메뉴에서 토마토를 제외한 채 판매했다. 버거 프랜차이즈 업체 관계자는 "자재 업체는 연간 작황 전망과 생산비용, 이상기후 여파를 반영해 계약 단가를 결정한다"며 "지난해 기록적인 폭염으로 공급에 차질이 빚어지면서 올해 단가가 조정됐다"고 말했다.

생과실과 열매 채소, 전량 국내산 의존
게티이미지뱅크

문제는 토마토 수입을 통한 수급 안정도 기대하기 어렵다는 점이다. 생토마토·참외·사과 등 생과실과 열매 채소는 식물방역법상 수입이 금지돼 전량 국내산에 의존하고 있다. 이는 외래 병해충 유입을 막고 국내 농작물을 보호하기 위한 조치다. 일본을 제외한 해외산 토마토는 수입이 불가능하며, 수입을 허용하더라도 절차상 수입 위험분석에만 평균 8년 이상 소요돼 단기간 해결은 사실상 불가능하다. 일본산 토마토 역시 가격 경쟁력이 낮아 활용이 어렵다는 것이 업계의 설명이다.

수입위험분석은 수출국 요청부터 수입 위험분석 절차 착수, 예비위험평가, 개별 병해충 위험평가, 위험관리방안 작성, 수입허용기준 초안 작성, 수입허용기준 입안 예고, 수입허용기준 고시·발효까지 총 8단계로 돼 있다. 이 과정은 품목 특성, 병해충 분포, 국가 간 협의 속도 등 다양한 변수에 따라 기간이 달라진다.

업계에서는 기후변화와 소비자 후생을 위해선 수입을 통해 공급을 늘려야 한다는 목소리도 나온다. 하지만 국내 농가 생산 기반 붕괴에 대한 우려가 여전한 상황이다. 햄버거 업계 관계자는 "작황이 부진한 시기인 8월에서 11월에 가격이 고공 행진한다"면서 "매년 같은 상황이 되풀이되고 있는데, 정부가 가격 안정화를 위한 정책을 마련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햄버거 가격 인상…토마토 빼기도

이처럼 식자재 수급 불확실성이 매년 반복되자 외식업계는 가격 조정과 제품 전략 다변화로 대응하고 있다. KFC, 롯데리아, 맥도날드, 노브랜드 버거, 버거킹 등은 최근 제품 가격을 100~300원 인상했다.

식자재 리스크가 큰 재료를 뺀 신제품도 등장하고 있다. 롯데리아는 토마토 없이 구성된 '나폴리맛피아 모짜렐라버거' '오징어 얼라이브버거' '불고기 포텐버거' 등을 출시하며 공급 이슈를 피하고 있다. 프리미엄 제품 강화도 전략 중 하나다. 맥도날드는 '더블쿼터파운드치즈버거' '더블1955버거' '더블맥스파이시상하이버거' 등 인기 메뉴에 패티를 추가한 고단가 라인업을 내놓으며 수익성을 높이고 있다. 해당 제품 가격도 기존 대비 30%가량 올랐다.

외식업계 관계자는 "과거에는 일시적인 가격 변동에 대응하는 수준이었지만, 최근에는 식자재 수급 불확실성이 반복되고 있다"며 "기후 리스크를 구조적 변수로 보고 중장기적 관점에서 원가관리 전략을 수립할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임혜선 기자 lhsro@asiae.co.kr김보람 기자 kbram6457@asiae.co.kr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공급
    #토마토
    #비싸
    #기준
    #수입
    #업체
    #가격
    #브랜드
    #위험
    #식자재
트렌드 뉴스 모아보기
이 기사, 어떠셨나요?
  • 기뻐요
  • 기뻐요
  • 0
  • 응원해요
  • 응원해요
  • 0
  • 실망이에요
  • 실망이에요
  • 0
  • 슬퍼요
  • 슬퍼요
  • 0
댓글
정보작성하신 댓글이 타인의 명예훼손, 모욕, 성희롱, 허위사실 유포 등에 해당할 경우 법적 책임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최신순
    추천순
    답글순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포토 & 영상 주요뉴스
  • 1
  • 백기 든 정부, 의대정원 '백지화'
    아시아경제
    0
  • 백기 든 정부, 의대정원 '백지화'
  • 2
  • 보험사기 공화국…내가 낸 보험료 매년 1조원씩 누수
    아시아경제
    0
  • 보험사기 공화국…내가 낸 보험료 매년 1조원씩 누수
  • 3
  • "전쟁을 멈추세요"…큰 사랑이 눈을 감다
    아시아경제
    0
  • "전쟁을 멈추세요"…큰 사랑이 눈을 감다
  • 4
  • 한덕수 '불쏘시개'일까 '李쑤시개'일까
    아시아경제
    0
  • 한덕수 '불쏘시개'일까 '李쑤시개'일까
  • 5
  • 이재명은 왜 '베이지색 니트' 입고 출마했나
    아시아경제
    0
  • 이재명은 왜 '베이지색 니트' 입고 출마했나
  • 6
  • 훈련 아니다…전쟁 '실전 영상' 공개한 북한·러시아
    아시아경제
    0
  • 훈련 아니다…전쟁 '실전 영상' 공개한 북한·러시아
  • 7
  • 대형마트 쉬는 날 전통시장 대신 '여기'로 몰렸다
    아시아경제
    0
  • 대형마트 쉬는 날 전통시장 대신 '여기'로 몰렸다
  • 8
  • '법망 피한' 식자재마트에 골목상권 속수무책
    아시아경제
    0
  • '법망 피한' 식자재마트에 골목상권 속수무책
  • 9
  • 조금 늦은 '서울의 봄' 웃음꽃 피어도 될까요
    아시아경제
    0
  • 조금 늦은 '서울의 봄' 웃음꽃 피어도 될까요
  • 10
  • 화마에도 꺼지지 않은 생명… 반려동물은 집으로 돌아갈 수 있을까
    아시아경제
    0
  • 화마에도 꺼지지 않은 생명… 반려동물은 집으로 돌아갈 수 있을까
트렌드 뉴스
    최신뉴스
    인기뉴스
닫기
  • 투표
  • 스타샵
  •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