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앙이코노미뉴스 윤남웅] 인공지능(AI)과 첨단산업의 빠른 발전으로 전력 수요가 급증하는 가운데, 한국이 주도하는 ‘CFE(무탄소에너지) 이니셔티브’가 효과적인 탄소중립 해법으로 자리매김하고 있다.
18일 산업통상자원부와 대한상공회의소, CF연합은 서울 더플라자 호텔에서 ‘2024 CF연합 국제 콘퍼런스’를 개최하며 이니셔티브의 국제 확산 방안을 논의했다.
이날 행사에는 안덕근 산업부 장관과 이회성 CF연합 회장을 비롯해 노부오 타나카 전 국제에너지기구(IEA) 사무총장, 데이비드 샌들로우 전 미국 에너지부(DOE) 차관보 등 글로벌 기후·에너지 분야 전문가들이 참석했다.
‘CFE 이니셔티브’는 특정 에너지원에 국한되지 않고 탄소 감축이라는 목표를 중심으로 기술 중립적인 접근을 추구한다. 지난해 9월 한국이 국제사회에 제안한 이 캠페인은 산업공정(Scope1)과 사용전력(Scope2)의 무탄소 전환 실적을 포괄적으로 인정하며, 제조업 중심의 한국 산업계에 유리한 글로벌 규범을 제시하고 있다.
이회성 CF연합 회장은 개회사에서 "CFE 이니셔티브는 경제 시스템 전반의 무탄소화를 지향하며, 탄소규제 장벽을 극복하는 실질적 이행 수단"이라며 "선진국과 개도국 간 기후위기 대응 공조를 촉진하는 플랫폼"이라고 강조했다.
노부오 타나카 전 IEA 사무총장은 "인공지능과 첨단산업의 발전을 고려할 때, 재생에너지와 원전 등 무탄소 전력 공급 능력 확충이 국가 경쟁력의 핵심 요소가 될 것"이라고 말했다.
앙리 파이에르 국제원자력기구(IAEA) 경제분석 부장도 "2050 탄소중립 달성을 위해 원전을 포함한 저비용 청정전력이 필수"라고 밝혔다.
국내외 전문가들은 이날 △글로벌 빅테크 기업의 공급망 청정화(마이크로소프트) △반도체·철강 산업의 탈탄소 전략(삼성전자, 포스코) △미국 전력 탈탄소화 방안(NREL) △청정수소 활용 조기화(에너지경제연구원) △한국 CCUS 잠재력 활용(권이균 교수) 등 다양한 사례와 정책과제를 공유했다.
산업부와 CF연합은 올해 ‘CFE 이니셔티브’에 대한 국제사회의 지지를 확보하고, 5개 국가 및 국제기구(한국, 일본, UAE, 체코, IEA)가 참여하는 ‘CFE 글로벌 작업반’을 출범시켰다. 산업부는 내년에 ‘CFE 인증제도’를 마련하고 주요국 정부 및 민간부문과 협력을 확대할 계획이다.
특히, 내년 한국에서 개최되는 ‘APEC 정상회의’와 ‘청정에너지장관회의(CEM)’는 ‘CFE 이니셔티브’를 글로벌 무대로 확산하는 기회가 될 전망이다.
안덕근 장관은 "다양한 무탄소 에너지를 활용해야 한다는 국제사회의 공감대가 형성된 만큼, 한국이 글로벌 탄소중립 규범을 주도해 나갈 것"이라고 말했다.
최신순
추천순
답글순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