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아시아경제 ] SK바이오팜이 남미 최대 제약사 중 하나인 유로파마(Eurofarma)와 미국 내 조인트벤처(JV·합작법인)를 설립한다.
SK바이오팜은 지난 13일(현지시간) 미국 샌프란시스코에서 열린 JP모건 헬스케어 콘퍼런스에서 이 같은 계획을 밝혔다. 북미 시장에서 인공지능(AI) 기반 뇌전증 관리 플랫폼 사업화를 본격적으로 개시하기 위한 전략적 행보다.
SK바이오팜과 유로파마는 2022년부터 SK바이오팜의 혁신 뇌전증 신약 '세노바메이트'의 중남미 지역 출시를 위해 협력해 왔다. 이번 JV는 SK바이오팜이 2018년부터 자체적으로 개발해 온 뇌파 분석 AI 기술과 뇌파 측정 웨어러블 디바이스 기술을 기반으로 한다. 이를 통해 'AI 기반 뇌전증 관리 솔루션'의 상용화 개발을 본격화할 예정이다. 이 솔루션은 뇌전증 발작 여부를 실시간으로 모니터링하고 의료진에게 데이터 기반의 최적 치료 계획 수립을 지원하며 환자와 의료진 간의 소통을 돕는다.
세계 디지털 헬스 시장은 연평균 25% 성장이 예측되며, 특히 AI를 활용한 진단, 예방, 관리 영역에 투자가 집중되고 있다. 이번 JV의 주요 사업인 '원격 뇌전증 치료(Tele Epilepsy) 시장'은 2032년까지 18억달러 규모로 성장할 전망이며, 이 가운데도 북미 시장은 세계 시장의 약 47%를 차지하는 최대 규모의 단일 시장이다.
JV의 본사는 북미 시장 공략을 위해 미국에 설립될 예정이며, SK바이오팜은 현지 경영진 채용 및 현지화 전략을 수립하고 있다. 또 기존 세노바메이트 직판을 통해 구축된 미국 내 의료진 네트워크와 파트너십을 적극 활용해 빠른 시장 진입과 체계 구축을 목표로 한다. JV는 최소 3년간의 개발 및 운영 자금을 확보한 상태로, 이를 기반으로 장기적인 성장 전략을 실행할 예정이다.
유로파마는 중남미 지역의 주요 제약사로서, 다년간 다양한 디지털 헬스케어 사업에 직간접적으로 투자해온 경험을 보유하고 있다. 이번 JV에서 유로파마는 사업 전략 수립과 AI 학습 데이터 확보에 기여하며, JV가 북미 시장에서 성공적으로 자리 잡을 수 있도록 지원할 예정이다.
이동훈 SK바이오팜 사장은 "유로파마와의 협력은 SK바이오팜의 글로벌 사업 확장에 있어 새로운 장이 될 것"이라며 "이번 JV를 통해 북미 시장에서 AI 기반 뇌전증 관리 솔루션을 성공적으로 선보여 새로운 성장 동력으로 만들어 나가겠다"고 전했다.
조인경 기자 ikjo@asiae.co.kr
최신순
추천순
답글순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