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아시아경제 ] 박상우 국토교통부 장관은 23일 김포공항에서 국내 저비용항공사(LCC) 최고경영자(CEO)들과 만나 항공안전 특별점검 회의를 했다. 179명이 숨진 항공기 사고로 항공산업 위기론이 불거진 가운데 안전 관리에 만전을 기해줄 것을 당부했다.
이날 회의에는 제주항공을 비롯해 티웨이항공, 이스타항공, 에어부산, 진에어, 에어서울, 에어인천, 에어프레미아, 에어로케이 등 9곳의 CEO가 참석했다. 박 장관은 "안전을 무시하는 항공사는 국민의 외면과 함께 사라질 것"이라며 "항공운송 9위 규모인 우리나라 항공 수송의 절반 이상을 차지하는 LCC가 수익에만 급급하고 근본적인 안전 개혁을 단행하지 않으면 항공산업의 미래를 보장할 수 없다"고 강조했다.
정부 차원에서 한층 강화된 안전기준을 마련하는 한편 감독할 방침도 전했다. 항공기 가동률을 비롯해 정비인력 확보, 정비 기준·절차 준수 여부 등을 집중적으로 살피기로 했다. 신규 항공기 도입 전 검증도 강화할 방침이다. 정비인력의 숙련도를 확보하기 위해 운항정비 인력 산출기준도 손본다.
안전수준 기준에 못 미치는 항공사는 운항증명 정지 등 강력한 제재를 취하기로 했다. 운항증명은 비행기를 띄울 때 필요한 허가로 정지될 경우 사업이 불가능하다. 법규를 어기거나 안전사고가 빈발한 항공사에 대해선 국민에게 적극 알리기로 했다.
항공사 지배구조도 직접 살펴보기로 했다. 안전 분야에 충분히 투자하기 위해서는 재무역량은 물론 전문성을 갖춘 경영진이 필요하다고 봤다. 제대로 된 지배구조를 갖추지 못했다면 강도 높게 관리할 계획이라고 국토부는 전했다.
이날 회의에서 각 항공사는 항공기 가동률을 낮춰 추가 정비시간을 확보하거나 정비사를 확충하는 등 도입했거나 앞으로 추진할 안전 강화 방안을 내놨다. 조류충돌 등 비상 상황 대응 조종사 훈련프로그램을 강화하고 신규 항공기 도입, 정비설비·훈련시설 확대 등 안전투자 계획을 공유했다.
국토부는 이달 말까지 민관 합동점검단을 꾸려 국적항공사 11곳과 전국 공항의 안전 체계, 시설·장비를 점검하기로 했다. 점검 결과를 바탕으로 항공 안전 혁신대책을 4월까지 내놓기로 했다.
최대열 기자 dychoi@asiae.co.kr
최신순
추천순
답글순
![](https://cdn.trend.rankify.best/dctrend/front/images/ico_nocomment.svg)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