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아시아경제 ] 국토교통부는 항공·공항 분야 민간 전문가 20여명이 참여하는 ‘항공안전 혁신 위원회’를 구성하고 4일 서울에서 첫 기획회의(킥오프 회의)를 연다고 밝혔다.
이 협의체는 우리나라 항공 안전체계 전반에 대한 개선 방안을 만들기 위해 꾸려진 국토부 자체 심의·자문기구다. 지난해 12월 무안국제공항 제주항공 여객기 참사, 지난달 김해국제공항 에어부산 여객기 화재 등 최근 연달아 발생한 항공 사고의 후속 조치로 구성됐다.
위원회는 오는 4월까지 약 10주간 운영된다. 조종·정비·객실 등 전문가로 구성된 항공운항 안전 분과와 항공교통·조류·건설 등 전문가가 참여하는 공항시설 개선 분과로 나눠 활동할 계획이다. 분과별 10명씩이다. 논의 주제에 따라 추가로 전문가를 위원으로 뽑을 예정이다. 이날 회의에서는 위원장을 선출하고 구체적인 운영 방향을 정하기로 했다.
앞으로 저비용항공사(LCC)의 정비역량을 끌어올리는 한편 항공기 가동률, 공항 건설·운영 규정 간 불일치 등 제주항공 참사 이후 지적된 부분을 논의하기로 했다. 항공사의 운항 인허가 시 안전성 검토를 강화하는 방안을 비롯해 공항 건설·운영 규정 개정, 공항 운영 증명·운영검사, 항공안전 투자 공시 제도 내실화 등도 다룬다.
위원회는 다음 달 말까지 항공 전 분야의 안전 개선 방안을 마련하고 4월께 공청회를 열어 항공안전 혁신 대책을 확정하기로 했다. 백원국 국토교통부 제2차관은 "각종 항공기 사고에 따라 항공안전 관련 제도개선은 현재 정부가 최우선으로 다뤄야 할 과제"라며 "항공안전 체계를 처음부터 다시 세운다는 결심으로 뼈를 깎는 노력을 기울이겠다"고 전했다.
한편 국토부는 항공 관제·정비, 안전 등을 담당할 경력직 공무원을 채용키로 했다. 상·하반기 각각 따로 공고를 내고 총 30명가량 선발할 예정이다. 항공안전감독·운항자격심사 등을 할 전문임기제 공무원도 연내 뽑는다.
최대열 기자 dychoi@asiae.co.kr
최신순
추천순
답글순
![](https://cdn.trend.rankify.best/dctrend/front/images/ico_nocomment.svg)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