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아시아경제 ] CJ올리브영(이하 올리브영)이 글로벌 사업 확장을 위해 미국 캘리포니아주 로스엔젤레스(LA)에 현지 법인 'CJ 올리브영 USA'를 설립했다고 4일 밝혔다.
올리브영은 미국을 글로벌 K뷰티 1위 플랫폼 도약을 위한 전진기지로 삼고 국내에서 K뷰티 산업 생태계 조성에 기여한 경험과 노하우를 바탕으로 K뷰티 글로벌화를 가속화할 계획이다.
미국은 시장 규모와 파급력 측면에서 매력적인 시장이다. 글로벌 시장조사기관 유로모니터에 따르면 2023년 글로벌 뷰티시장 규모는 5700억달러(약 740조원)이다. 이중 미국의 뷰티 시장은 단일 국가로는 세계 최대인 1200억달러(약 156조원)로 추산된다. 지난해 K뷰티 전체 해외 수출액(102억달러)의 10배 이상이다.
K뷰티에 대한 미국 소비자의 반응도 뜨겁다. 식품의약품안전처 등 집계에 따르면 대미 K뷰티 수출액은 지난 2020~2023년 연평균 20% 이상 증가했다. 미국 인구의 약 40%가 유행에 민감하고 새로운 트렌드에 수용적인 1030세대인 점을 고려할 때 K뷰티 접근성이 좋아진다면 젊은 소비자층의 인기에 힘입어 빠르게 현지 시장이 성장할 것으로 기대된다.
올리브영은 미국 법인 설립과 함께 상품소싱·마케팅·물류시스템 등 사업 확장을 위한 핵심 기능 현지화를 적극적으로 추진하고 글로벌 몰 역량을 강화할 예정이다. 현지 오프라인 매장도 1호점 개점을 목표로 추진한다.
올리브영 글로벌 몰은 해외 소비자들이 K뷰티 상품을 직구(해외 직접 구매)할 수 있는 온라인몰이다. 전 세계 150개국에서 이용할 수 있다. 소비자 연령대가 낮고 이커머스에 친숙한 북미권에서 특히 반응이 좋아 올리브영 글로벌 몰 매출은 상당 부분이 북미 지역에서 발생하고 있다. 올리브영은 현지 고객 대상 최적의 사용자 환경과 결제수단, 상품 정보 노출 방식 등을 갖춰 현지화된 K뷰티 플랫폼으로 진화하겠다는 방침이다.
오프라인 매장은 현재 여러 후보 부지를 두고 검토 중이다. 글로벌 몰을 통해 누적된 현지 데이터와 인사이트를 국내 옴니채널 성공 공식과 결합해, 다양한 K뷰티 브랜드와 트렌드를 큐레이션한 매장을 선보인다는 구상이다.
물류 안정성과 배송 만족도도 개선할 예정이다. 올해는 글로벌 몰과 올리브영 한국 본사 시스템을 연동해 재고의 입출고를 실시간으로 관리하고, 향후에는 CJ대한통운 미국 법인과 협업해 현지에서 상품을 직접 발송하는 물류망을 구축할 계획이다.
이선정 올리브영 대표는 "미국 법인 설립은 올리브영의 핵심 파트너인 중소 브랜드와 함께 글로벌 시장에서 새로운 성장동력을 찾고 지속가능한 K뷰티 성장 환경을 만들어 나가기 위한 발판이 될 것"이라며 "K뷰티 산업의 성장세가 지속될 수 있도록 해외 시장에서도 K뷰티 성장 부스터 역할에 최선을 다할 것"이라고 말했다.
박재현 기자 now@asiae.co.kr
최신순
추천순
답글순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